위인.교육.기타/정치 판도라 한마당
[현장] ‘정치개혁 염원’ 사전투표 열기 높다…“한 시간 줄서기는 기본”
장대원
2025. 5. 29. 17:26
직장인·청년층 중심, 더위 불구 평일에도 투표 열기 ‘후끈’
참관인·관리인력 촘촘 배치, 투표 절차·보안 강화된 현장
“투표함 관리 감시가 선거 감시 핵심”…“부정선거 없어”
장혜원 기자 기자페이지 +입력 2025-05-29 14:14:45

제21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 첫날인 29일 서울 강남구 역삼1동주민센터 전시실(사전투표소)에는 아침부터 긴 줄이 만들어졌다. 오전 6시 투표 시작부터 오후까지 종일 100여 명이 줄을 잇는 등 평일임에도 불구하고 역삼1동 투표소는 하루 종일 붐볐다.
이날 줄을 선 시민들은 대부분 인근 직장인과 청년층이었다. 점심시간이 되자 더 많은 직장인들이 몰려들었고, ‘한 시간은 기본’이라는 말이 곳곳에서 나올 정도로 대기시간이 길었다. 한 20대 직장인은 “본투표 날에는 친구들과 여행을 가기로 해서 미리 투표하려고 왔다”며 “30분에서 35분 정도 기다린 후 투표했다”고 밝혔다. 그는 “정치개혁에 대한 염원을 가지고 왔다”고도 했다.
이날부터 이틀간 열리는 사전투표는 전국 모든 사전투표소에서 진행된다. 투표 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며, 별도의 사전 신청 없이 신분증만 있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유권자는 가까운 사전투표소를 찾아가 줄을 서서 대기한 뒤, 신분증을 제시하고 본인 확인을 거쳐 투표할 수 있다.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여권 등 사진이 부착된 공공기관 발행 신분증은 물론, 모바일 신분증(네이버 자격증, 카카오톡 지갑, PASS 앱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단, 캡처된 화면은 인정되지 않으며, 앱 실행 과정을 직접 보여줘야 한다.
투표 절차는 주소지에 따라 구분된다. 관내선거인(해당 구·시·군에 주소) 투표용지를 받아 기표 후 투표함에 직접 넣는다. 관외선거인(타 지역 주소) 기표 후 회송용 봉투에 투표지를 넣어 밀봉한 뒤, 관외투표함에 넣는다.

기자가 찾은 투표소 내부 투표소 관계자들은 매뉴얼을 계속 확인하며 바삐 움직였고, 시민들은 더위 속에서도 질서를 지키며 차례를 기다렸다. 관리관들은 ‘줄서기 → 신분확인 → 투표용지 수령 → 기표 → 투표지 처리 → 퇴장’이라는 투표 관리를 위해 관외와 관내 투표줄을 나눈 후 신분증을 확인하고 본인 확인 절차를 진행한 후 지문 인식기 또는 서명패드를 이용해 본인 확인을 거쳤다.
등록된 정당이나 후보자가 1~2인을 지명해 선거관리위원회에 요청한 참관인들이 오전·오후 조를 나눠 교대 근무를 하고 있었으며 △유권자 본인 확인 절차가 적절한지 △관내/관외 투표용지가 올바로 분류되고 배부되는지 △투표지가 중복 배부되거나 잘못 처리되지 않았는지 △투표함이 봉인된 상태로 유지되고, 유권자가 직접 투입하는지 △투표관리관이나 사무원의 업무가 공정한지 등을 살펴 보고 있었다.
이날 오전 서울 광진구 중곡동에서 투표 참관을 한 소식통은 스카이데일리에 “사전선거는 과정 보다 사후 보관 절차가 중요하다”며 “사전선거 관외 투표함이 이전과 동일한 것이 사용된 만큼, 투표 후 선관위가 지정한 투표함 보관소를 지키면서 가짜투표용지가 투입되는 것을 막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사전투표의 투표용지 날인 방식은 ‘인쇄식 날인’으로 기존과 동일한 형태로 관외·관내 구분에 따라 중앙선관위에서 미리 제작된 용지가 사용됐다. 이곳에서는 일반 투표소에서처럼 투표 당일 스탬프를 찍는 방식이 아니라, 날인이 인쇄된 상태로 유권자에게 배부되고 있었다.
종이 수천만 장을 빠르게 배부해야 하는 사전투표 특성상, 현장에서 일일이 날인을 찍는 것은 행정적 부담이 크고 위·변조 우려가 높아 대법원 판례 등에 따라 이 같은 방식을 택했다는 게 선관위 측 설명이다.
경기도에서 왔다는 40대 여성은 “매번 사전투표를 하는데, 투표 용지를 시리얼 넘버가 붙은 호송용 봉지에 넣은 후 봉인하여 투표함에 집어 넣었다”며 “이전 투표 보다 훨씬 보안이 강화한 모습”이라고 밝혔다. 그 옆의 50대 여성도 “설명은 못 받았지만, 신분증을 앞뒤로 스캔 한 후 투표지를 배부 받았다”며 “신분확인 절차가 좀 더 구체화되어진 기분”이라고 귀띔했다.
서울 동작구에서 거주중인 30대 남성은 “직장에 근무중이라 사전투표를 하러 왔으며 1시간 정도 대기했다”고 말했다. 그는 “투표를 하는 모든 과정에 참관인들이 매의 눈으로 지켜보고 있었기 때문에, 투표 과정 자체에서 부정 투표는 발생할 수가 없을 것이다”고 했다.

서울 강남구에 거주중인 70대 사전 관내 투표를 한 부부는 “부정선거는 대한민국 헌정이래 한 번도 발생한적이 없다”며 “사전선거에 대량 가짜 투표용지가 들어간다는 의혹제기 자체가 4.19 부정선거를 극복하고자 하는 우리 헌법정신에 어긋나는 것”이라고도 했다.
‘정치개혁’을 염원한다는 20·30 청년들도 만났다. 인근에서 직장을 다니며, 점심시간을 활용해 사전투표를 위해 이곳을 찾았다고 밝힌 청년들은 “청년에게 올바른 미래를 선물해줄 수 있는 이가 반드시 차기 대통령이 되기를 바란다”고 입을 모았다.
과도한 사전투표 부정선거론에 관리인력이 지나치게 많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한 50대 여성은 “안에 들어가보면 실제 일하는 이들은 줄 정리하는 극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 휴대전화를 보거나 수다를 떨고 있다”며 “저 같은 행정력이 모두 국민 세금에서 나오는 것일텐데, 과도한 인원배치로 아까운 혈세가 낭비되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