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타이완 침공 워게임 "中 해군 궤멸·美도 긴 고통"
중국은 대만 침공이라는 국운을 건 전쟁 시도를 위해서는 반드시 미국을 넘어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승률 높은 수많은 전쟁 모의 프로그램들을 돌려서 조금이라도 가능성이 높은 결과치를 놓고 해군력을 높이기 위해 전투함과 상륙함을 급격하게 제조하고 있는 것이며 미국의 전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시나리오들을 빼내와 중국의 전쟁 환경에 맞는 현지화 작업에 매진하고 있었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리는 내용은 중국의 War Game Simulation Program의 개발과 운용 그리고 실제 이 게임을 통해서 미국과 승부 전쟁을 벌여 나온 결과치들을 가지고
얼마나 현실적인 판단을 현 중국 지도부가 내리고 있는지 판단하기 위함입니다.
--------------------------------------------------------
■ 중국이 War Game Simulation Program에 깊은 관심을 갖게된 계기
2002년 12월 9일 월요일, Qatar(카타르) Doha(도하) 외곽 사막에 위치한 곳에서 전쟁이 시작되었는데 이는 실탄 사용과 병사들의 생명을 담보로 한 대결이 아닌 미군의 War Game 시스템을 이용해서 일명 『Move! Destroy!』전투계획의 예행연습을 위해 시행되었습니다.
이 War Game은 이라크 침공을 위한 사전예행 연습 성격으로서 시행된 것이었습니다. 이라크 현지 지형과 비슷한 카타르 도하 외곽 사막지형을 택하여 특정 지형의 전쟁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computer-assisted exercise를 한 것입니다.
당시 Tommy Franks 미 중부사령부 사령관을 필두로 쿠웨이트 육군 지휘관, 바레인 해군, 해병대 장교들, 사우디아라비아 공군 사령부 관계자, 미 중부사령부 Franks 사무실 스탭들, 미 국방부 요원들이 참여하였는데....
미 방위산업회사인 Raytheon(레이시온) 社가 건설한 모듈식 휴대용 건물 내에 설치된 War Game Simulation 프로그램 패널과 초고속 디지털 통신장비가 이때 처음 사용되었다고 하며 이 장비들은 극심한 열이나 추위와 같은 악천후의 기후 조건에서도 잘 작동되도록 설계된 현장 중심의 시스템이었기 때문입니다.
↓ 2002년 12월, 카타르 도하 외곽 지역에서 Raytheon社 가 건설한 모듈식 건물 내에서 War Game Simulation을 하고 있는 미군 (source : alamy , ID : 2D3T8JT)
중국은 미국의 극비 전쟁 시행 계획서들을 빼내오면서 특히 실전참가를 하기 얼마 남지 않은 때에 시행한 모의 전쟁 프로그램 자료들에 큰 관심을 가졌다고 합니다.
당시 2003년 3월 20일에 미국이 이라크를 침공하기 2달 전에 벌인 모의 전쟁 훈련은 4일간에 걸쳐서 마무리되었는데 모의 전쟁 개시 발발 시각은 07시 30분을 기준으로 행하였는데 중국으로서는 이 같은 실전에 준하는 사전 예행 전쟁 연습에 매우 큰 충격으로 받아들여졌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2002년 12월 9일 월요일에 행한 전쟁 시뮬레이션의 최종 결과가 2003년 3월에 정식으로 진행된 이라크 침공 공격 방식과 결말이 거의 똑같다는 점을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이 때를 기점으로 PLA의 War Game Syatem 연구의 중추를 맡고 있었던 인사는 "우리는 이것이 대만 침공과 같은 미래의 전쟁을 위한 추세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지적했다 합니다.
张国春 国防大学副教授(1969.04.03 ~ 2014.10.15.)
특히 중국군 최초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대규모 War Game System 연구 개발의 핵심 구성원이자 중국 국방 대학교 부교수였던 장국춘은 PLA의 War Game Simulation Program의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장국춘 부교수는 서양의 워게임 프로그램들의 기원과 실전 사례를 철저히 분석하여 중국군의 워게임 프로그램의 기반을 만드는데 큰 역할을 하였는데 그러기 위해서 제 2차 세계대전에서 활용한 워게임들의 철저한 사례분석을 통해 워게임을 통한 대만 침공이 미국을 견제하고 충분히 승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인물들 중 한 사람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 PLA가 분석한 과거 워게임 활용 사례
고대 중국에서는 전쟁을 하기 위해 사전에 전투 지형을 표현하여 보여주기 위해 지도에 쌀을 쌓아서 산을 만드는 방식으로 표현하여 전쟁에 대비하였지만 현대적인 워게임의 시초라고 보기에는 부족한 부분들이 있었습니다.
현대의 전쟁 게임은 200여 년 전 Preussen(프로이센)에서 창안되었고 육지 전쟁에서 사용하기 위한 chess pieces(체스말), 체스판 모델 및 전투 규칙을 정하고 생산하였습니다.
이것이 현대적인 수동형 전쟁 게임의 원형인 것입니다.
수동형 전쟁 게임은 실제 지형을 반영하기 위해 Grid(격자무늬)가 있는 종이 지도 위에 체스 말들을 유추하여 다양한 전투임무와 무기를 가진 전투 유닛을 나타내기 위해 위력, 전투 효율성 등 다양한 매개 변수가 인쇄된 기호를 표시하여 놓여지게 하였습니다.
수동형 전쟁 게임은 추론을 통해 전쟁의 역사적 경험을 요약하고 개연성 원리와 결합하여 전쟁에 참가하는 사람들을 규제하는 관련 규정을 설계하기까지 하였습니다.
1938년 末, 독일 잠수함 부대 사령관이었던 Karl Dönitz(칼 되니츠)는 악명 높은 『Wolf Pack Attacks』 전술을 워게임을 통해 공식화 하여 연합군에 막대한 손실을 입혔습니다.
↓ Derby House 내의 오퍼레이션 룸, Liverpool 소재(1944)
1942년, 일본 연합함대사령부가 실시하였던 Midway 海戰 War Game에서 일본군은 워게임 상에서는 미국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지만 실전에서는 참패하였습니다. 이는 宇垣 纏(우가키 마토메)제독이 객관적인 상황을 무시하고 마음대로 워게임 승률상 감점 규칙을 따르지 않은데서 나온 것에서 기인한 승리라고 합니다.
제 2차 세계대전 후반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군은 사이판과 필리핀을 차례대로 점령하였는데 당시 일본군은 승산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반자이 돌격 정신을 주창한 일본군은 광란의 공격을 감행하여 미군에게 큰 손실을 치루게 하였습니다.
미군은 이러한 전쟁 과정을 단축하고 인명 손실을 줄이기 위해 일본군의 저항 의지를 빠르게 낮추게 하고 일본군의 사기를 와해시키는 방법이 시급하게 필요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당시 미 해군사관학교에서는 연구팀을 꾸려 일본 열도 봉쇄를 위한 기뢰 활용에 대한 기술적 검증과 전술적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당시 연구팀은 그때까지 미군이 사용한 적이 없었던 전술을 사용해야 할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연구에 돌입하였습니다.
↓ 1944 technological and tactical research on the use of mines to block the Japanese archipelago (The U.S. Naval Academy)
이에 미 해군 장교들은 미 과학자 집단들과 협력하여 기뢰전 워게임 규칙을 마련하고 실내 훈련을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연습을 통해 가능한 한 실전에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많은 전술 방법들이 고안되어 채택되었고
마침내 해양 기뢰 봉쇄 작전의 많은 세부 사항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기뢰전 워게임을 통해 일본 해군에 대한 기뢰 봉쇄 계획의 성공적인 구현을 위한 강력한 뒷받침을 제공한 것입니다.
2007년 중국 국방대학교 War Game 팀은 전략적 워게임 연습 시스템의 연구 개발이라는 중요한 임무를 맡았는데 처음 시작하는 고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약 30개의 군사 및 지방 과학연구 기관 및 약 1,000명의 기술 인력과 협력하여 공동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핵심 분야에서 10개 이상의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고 합니다.
↓ 张国春과 PLA 장교들이 워게임 Program을 하는 모습
2014년 중국의 알려지지 않은 기지에서 전략 전투 War Game 대결 훈련이 시작되었는데 당시 이 War Game Simulation System에 수십 명의 인원이 자리를 잡고 프로그램 작업을 수행하였습니다.
대형 화면에는 지상, 해상, 공중의 연합 합동 작전을 볼 수 있었는데, 수백 명의 중국군 지휘장교들이 적색, 청색, 녹색의 3者 진영을 구성하여 온라인으로 공유되는 상황 지도에 따라 실탄사격 없이 전장에서 전투를 벌였던 것입니다.
이 War Game Simulation Program을 개발한 곳은 바로 国防大学兵棋团队研发的战略战役兵棋系统(국방 대학교 War Game Team이 개발한 전략 전투 워게임 시스템)이었던 것입니다.
↓ 청색 완장을 찬 지휘장교팀들이 워게임 시뮬레이션에 참여하고 있는 모습과 모자이크로 가려진 왼쪽 화면의 워게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들이 가동되는 모습
중국이 개발한 War Game Simulation Program은 서양의 전략 게임인 체스 게임도 프로그램화 하여 적용시켰다고 합니다. 이로서 생생한 실전과 같은 전쟁 시뮬레이션 게임이 반영되었다는 정도로 기술되고 있습니다.
원래 워게임은 제 1차 세계대전과 제 2차 세계대전의 실제 전투 모델들을 적용한 이후 초기 워게임 형식과는 전혀 다른 컴퓨터 워게임 Drill 시스템으로 발전시켰는데 정보화된 모의 전투, 전쟁 대결에서 미국의 CSIS나 Rand Corporation 워게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보다도 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워게임을 컴퓨터 시스템에 처음 적용하여 도입한 것은 독일이었습니다. 그러나 독일은 관련 데이터를 정량화할 수 없었기 때문에 독일의 컴퓨터 워게임 시스템 개발은 실패로 끝났습니다.
바로 독일의 실패한 워게임 시스템을 참고하여 중국식 환경에 맞는 대만 침공 프로그램 워게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현실화 시켰던 사람이 张国春 부교수였던 것입니다.
张国春 부교수는 1980년 Cold War를 배경으로 미국은 강력하고 앞섰던 컴퓨터 기술에 힘입어 컴퓨터 전쟁 게임 시스템의 연구 개발을 시작한 것에 착안하여
미국 최초의 War Game Simulation Program이었던 JTLS(Joint Theater Combat Computer Wargame System)이 완성된 것이 냉전이 종식된 후인 1995년이 되어서야 구 소련이 붕괴되었다는 사실 관계를 알아냈던 것입니다.
↓ JTLS 사용국과 단체는 전 세계에 널리 퍼져 있습니다.
JTLS는 전략 전투급 병기 시스템으로 현재 全 세계 20개 이상의 국가와 30개 이상의 단체가 사용하고 있습니다.
미군의 합참과 전역, 각 군 병과와 NATO 체계는 모두 이 시스템을 운용해 훈련과 작전 분석, 평가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것은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병기 프로그램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 주변국인 일본·한국·인도·파키스탄·인도네시아·태국·말레이시아 등이 이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으며, 미군은 J7 합동참모본부 산하에서 이 시스템을 운용해 NATO 및 동맹국들과 연합훈련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 시스템은 미국이 연합을 강화하고 연합군협을 일체화하는 데 하나의 매개체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1983년 미 전비사령부, 미 육군개념분석국, 미 육군전쟁아카데미가 지원하는 이 시스템은 연합(연합) 작전계획을 개발하고 분석하는 도구로 처음 설계됐습니다.
거의 40년의 개발 기간을 거쳐 현재 JTLS-GO 5.0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어 6.0 버전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Buffalo System(버팔로 시스템)은 R&A(Rolands United & Associates)라는 작은 민간 회사가 개발하고 유지 관리하고 있는 것입니다.
↓ R&A Supports the USAF LeMay Center (2019)
Monterey(몬터레이) 반도의 California Del Rey Oaks에 본사를 둔 R&A는 운영학, 컴퓨터 과학, 수학, 조직 행동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이라고 선언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규모가 작지만 수익 동기를 위해 사업을 확장하지는 않습니다.
2020년 Rolands United & Associates는 JTLS-GO의 새로운 버전의 소개 동영상을 발표하여 시스템의 최신 연구 개발 상황을 종합적으로 소개했습니다.
주요기능들을 업그레이드하여 다양성 기능을 확장한 것입니다. 군사 작전뿐 아니라 Paramilitary Ops.(비전투 작전), 홍수 피해, 생화학 위기, 심지어 전염병까지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PLA는 국방대학교에 이러한 워게임 기능들을 추가해줄 것을 요구하였고 우호적인 나라의 협조적인 휴민트들을 통해서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 JTLS-GO 프로그램으로 한반도 휴전선 부근에 War Game Simulation을 프로그램화하는 모습
중국 군사위원회에서 특히 관심을 가지고 중국 워게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선에 역점을 둔 부분이 JTLS-GO 프로그램의 기존 지휘체계와의 연계가 가능하다는 점이었습니다.
이 시스템은 미군의 GCCS-J(Global Command And Control System - Joint)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으며, 실제 시스템에 의존하여 훈련할 수 있다는 점이 워게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운영에 큰 매력이었습니다.
또한 JCATs와 VBS 등의 시스템과도 연계하여 분산 추연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다양한 해상도의 편집 및 공동 편집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필요에 따라 다른 부대로 분할 운영할 수 있으며, 최대 사단부터, 작은 부대 단위까지 단일 인원, 함정 또는 항공기로 분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통합하여 다중 해상도 시연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 한국 서해안에서 북한 해군 함정들과 한국 해군 함정들간의 교전 충돌 모의 시험 프로그램 장면(UNCLASSIFIED)
또한 JTLS-GO 시스템은 데이터 미세성, 명령 및 배포 방법, 상호 작용 및 운영성을 업데이트하여 War Game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합니다.
동시에 시스템이 모델에 업데이트되어 시스템이 실제와 더 가깝고 규칙이 더 합리적입니다.
♠ 미국의 War Game Simulation Program 보다도 대만 해협 전장화 프로그램이 더 현실적으로 만들어져서 객관적인 판단이 정확하다는 중국 War Game Simulation Program
중국은 해외에서 중국측이 보유한 대규모 워게임 합동 기술 프로젝트를 완료하는데에는 최소 10년 또는 수십년이 걸릴 것이라고 자평하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 국방대학교 정보작전 연구소 소장인 胡啸峰(후 샤오핑)은 " 중국에서 개발한 독자적인 워게임 프로그램은 베낄 수도 없고 타국에서 도입은 불가능하다. 오직 중국의 환경에 맞는 혁신만 필요하다." 고 하였습니다.
군사 합동 훈련과 AI 지능 개념을 통해 중국의 워게임 프로그램 훈련은 실전에 참가하는 부대원들과 장교들에게 자극을 주고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준다고 합니다.
미·중, 남중국해 해상 패권 시작…중국, 타이완 침공 워게임 보고서 "中 해군 궤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