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연평해전>
▶ 발발 개요
북한 경비정들이 1999년 6월 초부터 옹진반도 남단에서 조업중인 꽃게잡이 어선들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북방한계선(NLL)을 지속적으로 침범해 1999년 6월 15일 발발
▶ 교전 상황
우리 해군은 `밀어내기식' 작전을 구사하면서 긴장이 고조됐고 결국 북한 어뢰정과 경비정은 6월 15일 소총과 함포로 선제공격을 해옴
▶ 피해규모
14분간의 치열한 교전 끝에 북한 어뢰정 1척이 침몰하고 중형 경비정 3척과 소형 경비정 2척이 파손, 사상자도 20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짐
* 우리 해군은 함정 2척이 약간 손상되고 장병 9명이 경상을 입음
<제2차 연평해전>
▶ 발발 개요
한일 월드컵 경기로 모든 국민이 들떠있던 2002년 6월 29일, 북한 경비정 2척이 연평도 서쪽 7마일 지점에서 NLL을 침범한 뒤 방송으로 퇴각을 요구하는 남측 고속정 편대를 향해 갑자기 85㎜와 35㎜ 함포 사격을 가함
▶ 교전 상황
남측 고속정은 40㎜ 함포와 20㎜ 벌컨포로 대응했지만 역부족이었음
▶ 피해규모
20분간 이어진 교전에서 6명이 사망하고 18명이 부상했으며 피격된 고속정은 예인 중 침몰
▶ 후속 대책
해군은 `무력시위→경고방송→경고사격→격파사격'으로 돼 있던 교전규칙을 개정해 `무력시위→경고사격→격파사격' 3단계로 단순화하고 신속한 대응을 위해 현장지휘관의 재량권을 강화
안보 공원에 있는 참수리 357호정 모습
안보공원 견학 기념 사진 한컷.
참수리 357호정의 함미 모습.
참수리 357호정의 좌현 모습.
참수리 357호정을 찾는 사람들.
제2연평 해전의 상처..
참수리 357호정의 함미 21포
참수리 357호정의 함미 21포안 모습
참수리 357호정의 함미 22포 상처처
제 2연평해전 당시 함미 22포 사수 故 황도현 중사.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참수리 357호정의 함교 21포 모습
제 2연평해전 당시 함미 21 사수 故 조천형 중사.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참수리 357호정의 침실 입구의 해치 도어 모습
통로의 탄피 자국들...
참수리 357호정의 조타실 모습
참수리 357호정의 31포 모습
참수리 357호정의 우현 모습
참수리 357호정의 함미 모습
연평 해전 1999 6.15
1.
2.
'$cont.escTitle > 대한민국nav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009년 5월 30일 모임 사진 4.정신전력관을 찾다. (0) | 2009.06.04 |
---|---|
[스크랩] 2009년 5월 30일 모임 사진 3.연평해전 전승비를 찾다. (0) | 2009.06.04 |
[스크랩] 2009년 5월 30일 모임 사진 올립니다.1 (0) | 2009.06.04 |
[스크랩] 향로봉함 전경 (0) | 2009.06.02 |
[스크랩] 항해중인 최무선함 (0) | 2009.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