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대차대조표,빚은 꼭 갚아야 한다

 

 

 

부처님은 우리가 원하는 것, 마음먹은 것은 무엇이든지 이루어진다고 하셨다. 그런

데 마음먹고 원하는 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우리 중생의 삶이다. 왜 그런 차이가

생기게 된 것일까? <경률이상>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옛날에 돈놀이를 하는 큰 부자가 있었다.어떤 듀 사내가 그 부자에게 돈 1만전을 빌

리고 나서 기한이 되자 이자를 붙여 돌려주었다. 얼마 후 그 두 사내가 모여 이야기

했다.

"이제 신용도 쌓았으니 각기 10만전씩 빌리고 도망가서 어디 사람답게 살아 보자."

"그거 좋은 생각이네 그려. 그 부자도 설마 우리가 돈을 떼어먹고 도망가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할  것이네."

 

그때 근처 외양간에 있던 소가 말했다.

"나는 전생에 지금의 주인에게 돈 1천 전을 빚지고 갚지 않은 과보로 무려 세번이나

소로 태어나 아직도 그 몸을 벗어나지 못하고 고생하고 있소. 그런데 당신들은 10만

전이나 떼어먹으려고 하니 대체 그 뒷감당을 어찌하려고 그러는 것이오?"

 

두 사내는 소의 말을 듣고 깜짝 놀라 그 주인을 찾아가 들은 대로 말했다.그러자 주

인 역시 기이한 일도 다 있다 하며 소를 들판에 풀어 주고는 하늘에 기원했다.

"저 소로 하여금 다시는 축생으로 태어나는 일이 없게 하시고, 만약 그가 아직도

빚을 다 갚지 못했다면 제가 보시한 것으로 하겠습니다."

 소는 들판에서 자유롭게 살며 목숨을 마치자 비로소 인간을 환생하게 되었다.

 

 

남에게 빚을 많이 진 사람은 그 빚을 다 갚을 때까지 재물을 모을 수 없다.전생에 빚

을 많이 진 사람은 금생에 아무리 노력해도 그 빚을 갚기에 급급할 수밖에 없다.원하

는 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생을 거듭하며 진 빚이 많아 아직도 그 빚을 갚고 있

때문이다.지금 돈을 많이 번다 해도 전생에 지은 빚이 남아 있으면 그것은 온전히

내 것이 될 수 없다.대차대조표의 빚이 다 청산된 다음에야 비로소 내 것이 된다.

 

한 나라의 달러 보유고는 그 나라 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우리나라도 한국은

행에 달러가 넉넉하게 있어야 외채도 갚고 나라경제가 안정이 된다. 그렇지 못하면

달러값은 폭등하고 원화는 폭락하게 된다.빚을 많이 지면 나라건 개인이건 도무지

손을 쓸 수가 없다.부채로 손과 발이 꽁꽁 묶여 절대로 자유로울 수가 없기 때문이

다.남에게 빚을 지고서는 큰소리를 칠 수 없다.빚을 다 갚고 나서야 비로소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는 법이다.

 

나란히 앉아서 백일기도를 했는데 어떤 이는 소원을 이루고 어떤이는 소원을 이루

 못하는 경우가 있다.겉으로 보기에는 똑같이 기도했으니 불공평하게 느껴지기도

할 것이다.그러나 소원을 이룬 사람은 전생부터 공덕을 많이 쌓아 지금에 이른 것이

다.이 우주의 원칙은 질에 따른 평등이다.사람이 무조건 다 평등한 이 아니라 자기

가 정진하고 노력한 정도에 따라 평등할 따름이다.

 

은혜를 모르고 감사할 줄 모르는 사람은 빚을 많이 지고 사는 사람이다.내가 지금 여

기 존재하는 건 무수한 인연의 사슬이 영겁의 세월 동안 엮어 온 결과이다.<화엄경>

에는 "부처님은 허공을 몸으로 하신다."라는 말이 나온다.우리는 허공을 호흡하며 살

고 있으므로 생명을 유지하는 근본 바탕은 부처님의 은혜라 하신다."라는 말이 나온

다. 우리는 허공을 호흡하며 살고 있으므로 생명을 유지하는 근본 바탕은 부처님의

은혜라 하지 않을 수 없다.또한 나의 존재는 나를 낳아 주신 부모님께 의존하고 있

다.부처님과 부모와 조상의 은혜를 모르는 것은 엄청난 빚이 된다.

 

그리고 그 빚은 언젠가 꼭 갚아야 한다. 사람으로 다시 태어나 갚을 수 있다면 그나

마 다행이다.사람으로 환생하지 못하면 소가 되고,돼지가 되어 수많은 생에 걸쳐 갚

게 된다.고기를 주고 가죽을 주어 빚을 갚아야 하는 것이다.

 

내가 지금 고달픈 삶을 사는 것은 전생에 진 빚이 아직도 많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내생에 잘 되기를 원한다면 금생에 은혜를 알고 항상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아야 한

다.우주 만상에 감사하고 부지런히 정진하는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이다.

 

(지광스님의 "인생의 대차대조표,빚은 꼭 갚아야 한다"에서)

 

출처 : 산야초공동심
글쓴이 : 산빛의사람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