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보고급 잠수함
장보고급 잠수함은 잠수함급으로 분류되는 대한민국 최초의 잠수함이며, 독일의 209급 잠수함을 도입한 것이다. 1987년 최초 3척이 주문되었는데, 1척은 독일 HDW 에서 건조되고 2척은 옥포대우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 건조용 소요 부품은 독일에서 수송되었다. 1989년 10월에 추가적으로 2차 3척이 주문되었고 1994년에 3차로 3척이 추가 주문되어 모두 9척이 건조되었다.
Type 1200 형은 독일이 터키해군에 공급한 유형과 매우 유사하다. 대부분 Atlas Electronik 탐지기와 STN 어뢰를 탑재한 것이다. 최대 잠수깊이는 250미터이며 수동형 견인 어레이가 부착된다.
3,800 마력의 MTU 12V 396 SE 디젤 기관 4기가 탑재되어 있고, 각 기관 마다 발전기가 장착되 4기의 발전기로 축전지를 충전시키며, 축전지로 움직이는 모터 1대가 저소음 침투시 이용된다. SSM이 탑재되어있고, SUT 어뢰와 K-731를 발사할 수 있는 21인치(533미리) 함수 발사관 8개를 가지고 있다. 어뢰 대신 28개의 K-721 기뢰를 장착할 수 있고, Atlas Electronik CSU 83 음파탐지기를 장착하고 있다.
림팩 2004 훈련에 참가중인 SS-61 장보고함
함종 : 잠수함
함급명 : 장보고
제작 : 독일 HDW(1번함), 대우조선해양
운용 : 대한민국 해군
이전 함급 : 돌고래급 잠수정
다음 함급 : 손원일급 잠수함
진수 : 1번함 1991년
취역 : 1번함 1993년
함급 번호 : KSS-1
제작수량 : 9 척
▶일반사항
* 독일 해군의 209급을 국내에서 면허 생산한 것이다.
* 총 12척을 보유할 예정이었으나 9척으로 축소되었다.
* 현재 7번함까지 건조되었다.
* 7번함 부터는 하푼 발사가 가능하다.(어뢰발사관을 이용)
▶특징
* 1200톤급 디젤 잠수함으로 정숙성이 매우 뛰어나다.
* 어뢰와 기뢰는 물론 하푼발사도 가능하다.
* 3000톤급 잠수함을 자체 설계, 건조하기 위한 기술축적
* 차후에 측면배열소나와 공기독립기관(AIP)를 탑재 212급 수준으로 향상시킬 예정이다.
▶기본제원 및 성능
- 배수량 : 1,224톤(수상주행시)/1,530톤(잠항시)
- 전장 : 55.9 m
- 선폭 : 6.2 m
- 홀수 : 5.5m
- 최고속도 : 11 노트 (20 km/h) (수상주행시)/21.5 노트 (40 km/h)(잠항시)
- 잠수 깊이 : 500 m
- 항속거리 : 8,000nm(8kt로 수상주행시)/420nm(8kts로 잠항시)
수상 10 노트, 10,000 nm (19,000 km)
수중 스노클 10 노트, 8000 nm (15,000 km)
수중 배터리 20 노트, 20 nm (37 km)
수중 배터리 4 노트, 400 nm (740 km)
- 승조원(수용능력) : 33명(장교 6명)
- 장갑 : HY80 고장력강
스노클을 이용하면 8노트 항해시 7500 마일 항해가 가능하다. 완전잠항으로는 약 5%인 370마일이 한계다.
▶ 탑재무장
- 어뢰 발사관 6문 × 533mm(21') 3연장 2배열
- STN Atlas Elektronik社의 DM2A4 중어뢰 시스템은 현재 206, 206A형 잠수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와이어유도 능동식 추적방식의 DM2A3 어뢰의 차기형으로 개발중에 있다. 212형은 어뢰발사를 위해 워터 램 추진장치를 갖춘다.
- 장보고급 잠수함은 총 8문의 어뢰 발사관이 함수에 있고, 총 14기의 어뢰나 24기의 기뢰를 탑재할 수 있다.
- 기뢰는 대부분 기뢰팩을 이용 함 외부에 장착하고 내부엔 어뢰만을 탑재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다.
- 최근 국내에서 잠룡(K721)이라는 복합기뢰(음향, 자기)가 개발되었는데 아직 실전배치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 7번함인 이순신함부터는 어뢰 발사관을 이용한 서브하푼(Sub Harpoon)의 발사가 가능하다.
어뢰 SUT(AEG사), 백상어(LG정밀)
- 대함미사일 하푼 대함미사일 (잠수함 발사형 서브하푼은 7번함부터 탑재될 예정임.)
▶ 화력통제장치
ISUS TFCS (Atlas Elektronik사)
▶ 레이더
- Kelvin Hughes Type 1007 I-밴드항법레이더
▶ 잠망경
- 탐색용 : Zeiss-Eltro Optronic Sero 14
- 14 공격용 : Zeiss-Eltro Optronic Sero 15
▶ 추진 체계
- 주추진기관 : 디젤-일렉트릭 1×MTU 16V 396 디젤엔진, 3.12 MW
- 보조추진기관 : HDW/Siemens AIP시스템, 300 kW (최고 18kts)
- 추진축 1개 , 7엽 스큐드 프로펠러 (9엽 스큐드 프로펠러 연구중)
- 추진 전동기는 독일에서 독자 개발한 영구 자성 모터 (PM-Motor)
▶ Sonar
- STN Atlas Elektronik DBQS-40 (중간 주파수의 수동 검색용)
- STN Atlas Elektronic MOA 3070 (능동형의 고주파수 기뢰 탐침용)
- 저주파수 신호특성을 가진 TASS-3 견인형 소나
- 중/저주파 검색용의 측면배열식 FAS-3 소나
- 목표물의 거리 및 진로를 검출하기위한 수동식 Ranging 소나
- CSU-83 (Atlas Elektronik사)
▶ 엔진 디젤 엔진 1760 kW
디젤엔진과 축전지를 이용한 디젤/전기 추진방식을 병용한다.
디젤엔진 MTU 12V 396 (Siemens사) - 4기 장착(5000 마력)
추진기 1축 추진기 (7엽 블레이드)
추진축이 1개이고 함의 정숙성을 위해 7엽 블레이드 장착.
추진기는 캐비네이션을 줄이기 위해 항상 홀수로 설계된다.
▶ 선체 구조
- 자성치 최소화를 위해 선체 재질은 비자성 스테인리스강(?오스테나이트 스틸) 사용
- 별도의 가압벽이 없는 단일형 공간으로 구성 (모듈식으로 직경이 다른 두부분의 선체가 연결)
- 전장과 직경비가 7로서 기동성 향상
- 함교에 잠항타 및 함미에 X자형 종횡타 형태
- 외부 선체에 능동소나와 피탐 방지를 위한 특수 표면 처리
▶ 대응수단
- ESM : 다임러에어로스페이스 FL 1800U(브란덴부르크級 프리기트함에서 사용중인 FL1800S-Ⅱ의 잠수함용 버젼)
- 디코이 : TAU 2000 어뢰형 대응수단
▶ 전투데이터시스템 Basic Command and Weapons Control System (BCWCS)
- 각종 센서류·무기류·항법시스템과 연결되는 고집적의 지령/관제 시스템
- 고성능 데이터버스와 중앙집중식 컴퓨터
1.림팩 훈련
1번함 이름이 장보고함이기에, 장보고급 잠수함이라고 불린다. 한국군이 보유한 HDW사의 209-1200형인 장보고급은 동급 209급과 달리 장보고급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은데 초기 도입비용이 1억불에서 2억불 이상으로 올라가면서 각종 소음대책과 장비의 추가가 이루어지면서 소음 레벨에서는 209 시리즈중 최고급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이다. 일본의 최신 잠수함인 오야시오급 잠수함도 1 km 이내로 접근한 장보고급을 겨우 발견할 정도였으며 이때 역시 한국 잠수함이 급기동으로 존재를 알리는 바람에 오야시오에서 탐색이 가능했다고 한다.
손원일급 잠수함도 8문의 533mm 어뢰발사관을 사용하는데, 한국은 손원일함에는 천룡 순항 미사일을 탑재할 것이라는 보도가 있었다. 그러나 장보고함에 천룡을 탑재한다는 보도는 없었다.
- SS-061 장보고 - 1993년 취역 독일 HDW
- 림팩 2004에서 미국 존 스테니스 항공모함을 포함한 가상적 수상함 전원을 어뢰공격하고 한 번도 탐지되지 않음
- 림팩 2004에서 가상적 함정 중 오직 LA급 잠수함 2척만 공격 못함
- 이천함 (SS-062) - 1994년 취역 대우조선해양
- 최무선함(SS-063) - 1996년 취역 대우조선해양
- 박위함 (SS-065) - 1995년 6월 취역 대우조선해양
- 림팩 2000에서 11척 9만 6천톤을 가상 격침.
- 림팩 2000에서 유일하게 최후까지 생존.
- 림팩 2000에서 한국 해군 잠수함 최장 항해 기록. 진해에서 하와이까지 왕복 30,000 km를 항해.
- 이종무함(SS-066) - 1998년 취역 대우조선해양
- 림팩 98에 한국 잠수함 최초로 참가하여 총 13척 15만 톤의 함정을 가상 격침
- 한국 잠수함 유일한 피탐지 기록. 가상적 P-3C 오라이온에 5분간 탐지되었다 도주하여 공격받지는 않음.
- 정운함 (SS-067) - 1998년 취역 대우조선해양
림팩 2006 훈련에 참가한 SS-67 정운함
- 이순신함(SS-068) - 1999년 취역 대우조선해양. 하푼 미사일 발사가능
- 나대용함(SS-069) - 2000년 12월 취역 대우조선해양. 하푼 미사일 발사가능
- 림팩 2002에 참가하여 총 10척 10만 톤의 함정을 가상 격침.
- 림팩 2002에서 해군 최초로 하푼 잠대함 미사일을 발사하여 60km 떨어진 곳에 있는 목표물을 명중.
림팩 2002 훈련에 참가하여, 하푼미사일을 발사한 후 부상한 SS-69 나대용함
- 이억기함(SS-071) - 2000년 취역 대우조선소. 하푼 미사일 발사가능
어뢰는 AEG사의 SUT Mod2 어뢰와 LG정밀의 K-731 백상어 어뢰를 사용한다. SUT 어뢰는 유선유도 방식이며, 백상어는 파이어 앤 포겟 방식이다.
어뢰 8발은 어뢰관에 장착되며, 6발은 탄약고에 보관된다. 탄약고에 16발을 저장할 수 있는 손원일함 보다 작다.
장보고급 잠수함에는 30명이 탑승하며, 장교 6~7명과 부사관으로 구성된다. 함장의 계급은 중령이다.
2. 림팩 2004
장보고함은 림팩 2004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황군 잠수함으로 참석, 청군 함대를 전멸시켰다. 미국 태평양 함대의 잠수함 사령관 설리반 소장은 “장보고함이 청군세력을 전멸(decimation)시킨 능력과 기술은 매우 인상적이었다”는 내용의 전문을 보내왔다. 청군 기함인 10만톤급 핵항모 존 C. 스테니스와 이를 호위하는 이지스 구축함 2척과 순양함 2척 등 30여 척을 격침하였다.
황군에는 대한민국의 장보고함, 일본의 나루시오함. 오스트레일리아의 램킨함, 칠레의 심슨함의 4척의 재래식 잠수함과 미국의 LA급 핵추진 잠수함 1척, 그리고 미국의 수상함 4척이 편성되었다. 청군에는 스테니스 항모를 포함한 나머지 모든 수상함(총 15척)과 미국의 LA급 핵추진 잠수함 2척이 편성되었다. 청군에 속한 수상함은 모두 15척인데, 장보고함이 40번 이상 가상어뢰를 명중시켰다. 청군 소속의 4척의 일본 구축함도 모두 격침했다. 그러나, 청군 소속의 LA급 핵추진 잠수함2척에는 가상어뢰를 명중시키지 못했다.
적함을 침몰시킬 수 있는 10킬로미터 이내로 접근하는 데 33차례나 성공했다.
2004년 8월 6일 노무현 대통령은 훈련분대 사령관인 이건두 대령에게 전화를 걸어 “우리 해군의 우수성을 세계만방에 알려 자랑스럽다. 대통령과 국민 모두는 훈련단이 보여준 혁혁한 성과에 마음 든든하다”고 격려했다.
2-1. 미국 해군의 고틀란드급 잠수함 리스
2004년, 스웨덴 정부는 미국에 고틀란드급 잠수함의 1번함인 고틀란드함을 리스하였다. 스웨덴기를 달았으며, 스웨덴군이 지휘하고 조작했다. 1년간 대잠전 훈련에 리스되었다. 2004년 10월 이러한 요청을 받았으며, 2005년 3월 21일 양국 해군은 양해각서에 서명하였다. 리스는 2006년에 12개월간 연장되었다.2007년 7월 고틀란드함은 샌디애고를 떠났다.
3. 하와이 단독 잠항
장보고함은 1997년 50여일간 지속된 하와이 파견훈련때, 한국 해군 최초로 진해 기지에서 하와이까지 1만 마일, 1만8천㎞를 단독 잠항하는 데 성공했다. 이러한 장거리를 단독 잠항은 잠수함 운용 40년 역사를 갖고 있는 일본에서조차 시도된 적이 없는 기록이다.
4. 1만시간 잠항 성공
1991년 독일 HDW 조선소에서 건조된 장보고함은 1992년 10월 우리 해군에 인도돼 1993년 취역한 이후 지금까지 무사고로 1만시간(417일)을 잠항하는 데 성공했다. 물속에서 1만시간동안 이동한 거리는 지구를 2바퀴나 도는 거리에해당하는 8만219㎞에 달한다.
5. 인도네시아 수출
대우조선해양은 배수량 1400톤인 장보고급 잠수함 3척의 인도네시아 입찰에서 단독 우선협상자로 확정되었다. 1조2000억원(11억달러) 규모로, 계약이 체결되면 한국 방산수출 단일계약 사상 가장 많은 금액이다.
5-1. AIP
수출모델이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현재 사용중인 209급 잠수함과 같은 것인지, AIP 연료전지를 장착한 것인지는 알려진 바 없다.
그러나 AIP 연료전지 디젤 잠수함이 최근 국제시장에서의 최첨단이며, 한국도 209급 잠수함을 개량하여 연료전지를 장착하는가가 논의된 적이 있으며, 대우조선해양은 AIP 잠수함인 손원일급 잠수함 4번함을 현재 건조중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지식경제부가 추진중인 한국산 1메가와트급 선박용 연료전지 개발에도 참여중이다.
장보고급은 독일의 비AIP 디젤 잠수함 중 최신형 모델이다. 반면에 프랑스의 비AIP 디젤 잠수함 최신형은 스콜피언급 잠수함이다. 프랑스는 스콜피언급을 개량하여 프랑스제 AIP 시스템인 MESMA를 추가했다. 각 시스템의 가격은 6000만달러(600억원)이다. MESMA를 추가하기 위해서 길이 8.3 m, 배수량 305 톤의 새로운 공간을 필요로 했으며, 그 결과 21일 이상의 잠수능력을 갖추었다.
독일도 AIP 209급 잠수함을 수출중이다. 기존 209급 잠수함을 AIP로 업그레이드하는 사업도 하고 있다. 최초의 AIP 업그레이드는 그리스의 포세이돈급 잠수함(Type 209/1200) 3척에 대한 넵튠2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이다. 이 업그레이드는 조종실 뒷부분을 절반 잘라내어 6 m를 추가하여, 120 kW 지멘스 AIP 시스템을 장착하는 것이다.그리스가 214급 잠수함을 구매하기로 하여, 업그레이드가 중도에 취소되었으나, 최초의 Okeanos (S118) 잠수함은 업그레이드가 완료되었다.
'$cont.escTitle > 대한민국nav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FF-952 서울함 (0) | 2014.12.17 |
---|---|
[스크랩] 울산급 호위함 중기형인 5번함 - 경북함 ( FFK-956 ) (0) | 2014.12.17 |
[스크랩] 대한민국 해군 함포 (0) | 2014.11.21 |
[스크랩] 윤영하함 76km 함포 분석 (0) | 2014.11.21 |
[스크랩] 퇴역 한국해군함정에 대해서 - (9)구축함(DD) (0) | 2014.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