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해군 미사일구축함 USS Ramage (DDG 61)호와 USS Roosevelt (DDG 80)호가 호위를 하는
가운데 유류보급함 USNS Big Horn (T-AO 198)호가 다목적 강습상륙함 USS Iwo Jima (LHD 7)호에게 연료를 보급하며 대서양을 항진중입니다. Iwo Jima함을 중심으로한 Iwo Jima Expeditionary Strike Group은 미해군 5함대와 6함대 관할지역에 배치되어 해상보보안작전을 지원할 것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http://img.blog.yahoo.co.kr/ybi/1/24/56/shinecommerce/folder/35/img_35_20178_4?1221048383.jpg)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http://img.blog.yahoo.co.kr/ybi/1/24/56/shinecommerce/folder/35/img_35_20178_11?1221048383.jpg)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http://img.blog.yahoo.co.kr/ybi/1/24/56/shinecommerce/folder/35/img_35_20178_7?1221048383.jpg)
Iwo Jima ESG은 다목적 강습상륙함 USS Iwo Jima (LHD 7)를 중심으로 최신도크형 상륙함 USS San Antonio (LPD 17)호가 최초로 원정군에 합류하여 임무수헹을 시작하였으며 USS Carter Hall (LSD 50) 상륙함과 미사일 순양함 USS Vella Gulf (CG 72), 미사일 구축함 USS Roosevelt (DDG 80), USS Ramage (DDG 61),그리고 공격잠수함 USS Hartford (SSN 768)등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http://img.blog.yahoo.co.kr/ybi/1/24/56/shinecommerce/folder/35/img_35_20178_0?1221048383.jpg)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http://img.blog.yahoo.co.kr/ybi/1/24/56/shinecommerce/folder/35/img_35_20178_9?1221048383.jpg)
막연하게 5함대와 6함대 관할해역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미해군은 발표하고 있는데, 우리는 가능한 배치 지역이 어디인지 다음과 같이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
Gulf of Guinea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닌 지역으로 5개월간의 임무를 마치고 귀국하는 Nassau ESG에 이어 금년들어 가장 중요한 해역중 하나인 곳입니다. 이곳에서는 MEND가 Shell사의 $36억달러 짜리 “Bonga” Floating Production, Storage, 및 Offloading vessel (FPSO)에 대한 공격이 있었던 곳입니다.
Black Sea 1936년 Montreux Convention이후 몇가지 룰이 적용되는 곳으로 45,000톤급 이상의 타국 함정은 배치할 수 없으며 3주이상 흑해내에서 작전을 할 수 없는 지역으로 USS McFaul (DDG 74)를 대신할 함정으로 USS Ramage (61)호를, 탄도미사일 수색및 지휘함 USS Mount Whitney (JCC 20)호를 대신하여 USS San Antonio (LPD 17)가 인도적 지원활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http://img.blog.yahoo.co.kr/ybi/1/24/56/shinecommerce/folder/35/img_35_20178_6?1221048383.jpg)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http://img.blog.yahoo.co.kr/ybi/1/24/56/shinecommerce/folder/35/img_35_20178_10?1221048383.jpg)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http://img.blog.yahoo.co.kr/ybi/1/24/56/shinecommerce/folder/35/img_35_20178_1?1221048383.jpg)
Somalia 해적 출몰이 잦은 지역으로 Maritime Security Patrol Area (MSPA)이 설립된 해역입니다. NATO 소속의 Task Force 150이 초계임무를 수행중이며 소말리아에서 아라비아해까지는 전략적으로도 중요한 지역입니다. 현재 캐나다해군 함정이 중핵을 수행중이며 홍헤에는 USS Peleliu (LHA 5)가 있어 미해군입장으로 Iwo Jima ESG의 우선적 배치지역은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만 해적들의 활동을 강하게 억제하기 위한 배치 가능성도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http://img.blog.yahoo.co.kr/ybi/1/24/56/shinecommerce/folder/35/img_35_20178_5?1221048383.jpg)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http://img.blog.yahoo.co.kr/ybi/1/24/56/shinecommerce/folder/35/img_35_20178_8?1221048383.jpg)
Iran
![](http://3.bp.blogspot.com/_cys2T5FgJdo/SLOcG6ea7kI/AAAAAAAADY4/pGCbxYlJhSU/s320/StraitofHormuz.JPG) 이란 공격설이 잠잠해진 현재 이스라엘의 위험스런 행동등이 예견되는 시기에 배치가 될 것은 아닐까 추측할 수 있는 지역입니다. 특히 신냉전시대의 도래가 점쳐지는 현재의 미국과 러시아의 관계에서 이란은 중요한 변수이기도 하며 이들의 돌발적인 Strait of Hormuz의 봉쇄 조짐등잉 예상되면 지체없는 배치가 예상되는 중요지역입니다. 특히 소함정과 기뢰, 점수함 탄도미사일등 모든 무기류가 전개될 수 있는 전략요충지인 해협내 3개의 섬 Abu Musa, Greater Tunb, 그리고 Lesser Tunb등에 대한 감시한 견제를 위해 함대의 배치가 필요한 해역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http://img.blog.yahoo.co.kr/ybi/1/24/56/shinecommerce/folder/35/img_35_20178_2?1221048383.jpg)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http://img.blog.yahoo.co.kr/ybi/1/24/56/shinecommerce/folder/35/img_35_20178_3?122104838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