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지배자 F-35 스텔스기는 '미국판 일대일로'
입력 2019.08.24 03:00
中·러에 맞선 배타적 연합 전선… 기지 운영 등 美 안보우산 혜택
15국 도입, 日 147대로 美빼면 1위… 도입국들 GDP, 中 일대일로 앞서
터키가 러시아판 사드 부품 사자 美는 100대 수출 계약 전격 취소
'이런 글로벌 경제·안보 프로젝트가 있다. 총비용은 1조달러(약 1210조원)가 넘고, 가입국 국내총생산(GDP)을 합치면 세계의 46%다. 이 프로젝트는 주도국의 이익과 영향력을 강화하지만 다른 회원국은 비대칭적인 상호의존 관계로 만들도록 설계돼 있다. 참여국은 큰 경제적 보상을 얻지만, 그 네트워크에서 빠져나오려면 훨씬 큰 대가를 치러야 한다.'
언뜻 중국 시진핑 정부의 '일대일로(一帶一路·육해상 신실크로드)'를 떠올리기 십상이다. 중국이 남태평양·아프리카·중동 수십개 국가에 저금리로 거액의 차관을 제공하거나 인프라 건설을 통해 자원 개발을 지원하지만, 부채를 감당하지 못한 국가들이 항만 등 인프라 시설 운영권을 중국에 넘기거나 군사기지를 확장하도록 해주는 등 종속 관계로 엮이는 것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언뜻 중국 시진핑 정부의 '일대일로(一帶一路·육해상 신실크로드)'를 떠올리기 십상이다. 중국이 남태평양·아프리카·중동 수십개 국가에 저금리로 거액의 차관을 제공하거나 인프라 건설을 통해 자원 개발을 지원하지만, 부채를 감당하지 못한 국가들이 항만 등 인프라 시설 운영권을 중국에 넘기거나 군사기지를 확장하도록 해주는 등 종속 관계로 엮이는 것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답은 미국의 5세대 전투기 F-35 프로젝트이다. 외교안보 전문매체 포린폴리시(FP)가 F-35의 글로벌 배치가 중국·러시아 등 적성국에 맞서 은밀하게 배타적 연합전선으로 작동하는 '미국판 일대일로'라는 분석을 최근 내놓았다.
일대일로에 가입한 70여 개국의 총 GDP는 세계의 40%로, F-35 프로젝트보다 규모가 작다. 또 안보 기회비용을 고려하면 F-35 프로젝트에서 누락되는 게 더 치명적이라고 FP는 설명했다.
록히드마틴사의 F-35는 현존 최신예 스텔스(stealth·적의 탐지를 피해 공격하는 기술) 전투기이다. 기체 반사면적을 획기적으로 줄여 탐지 레이더에 작은 새나 골프공 정도로 표시된다. 적의 전투기·대공미사일·레이더·전자전 장비에 탐지되지 않고 상대방을 공격하거나 영공을 통과하는 등 다양한 작전을 구사할 수 있다. 중국과 러시아 등도 자체 개발한 스텔스기가 있지만 F-35에 대적하기엔 턱없이 모자란다. '하늘의 지배자'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이유다.
현재 F-35를 도입한 나라는 미국과 아시아·유럽·중동 동맹 15개국이다. 인도·사우디아라비아 등 도입을 논의 중인 나라도 8개국 이상이다. 모두 미국이 주도하는 '인도·태평양 전략'의 핵심 동맹국들이다. 한국·일본·호주 등 아시아·태평양에만 2025년까지 총 220대가 실전 배치될 예정이다.
한국에서 F-35는 유사시 북한 핵심 시설을 타격할 수 있는 '대북 킬체인(kill chain·미사일 선제 타격 시스템)'의 핵심 전력이다. 일단 40대를 도입하지만, 미 상원은 한국에 130대까지 팔 수 있게 승인해놨다. 지난 21일로 6대째 들어왔다. 일본도 전후(戰後) 처음 띄우는 항공모함에 F-35를 탑재키로 했다. 일본은 147대를 들여오기로 했다. 미국을 제외하면 최다 보유국이 된다.
F-35 프로젝트가 '일대일로'처럼 국가 간 네트워크 사업 성격을 띠는 것은 조종사 훈련, 운용기술 이전, 전용 부대 설치와 기지 운영까지 뒤따라오기 때문이다. 미국의 포괄적 군사 지원을 받는 '안보 우산'을 쓰는 셈이다. FP는 "중국이 어떤 나라에 '항구를 못 지어주겠다'고 하면 일대일로를 탈퇴하고 중국 대신 다른 공급선으로 대체할 수 있지만, 미국이 F-35를 안 팔면 다른 안보 우산으로 대체가 불가능하다"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F-35 판매를 정상(頂上) 외교의 핵심 의제로 직접 챙긴다. 그는 지난 6월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 방미 때 워싱턴 DC 상공에 F-35 비행을 지시했다. 러시아의 압박을 받는 폴란드는 즉각 F-35 32대 구매 계획을 공식화했다.
그렇다고 돈만 내면 살 수 있는 물건은 아니다. 지난달 터키 수출분 취소 사태가 단적으로 보여줬다.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일원으로 F-35 공동 개발국에 포함된 터키 정부는 당초 100대를 계약해놓고, '러시아판 사드'로 불리는 러시아제 지대공미사일 방어체계 S-400 도입도 함께 추진했다. 미국은 "F-35와 S-400 시스템을 연동하면 우리 기술이 러시아에 유출될 우려가 있다"며 반발했다. 그런데도 터키가 S-400 부품을 도입하자 백악관은 "터키에 F-35 수출을 전면 취소한다"고 발표했다. 터키가 이미 구매한 4대도 인도하지 않고, 부품 공동 생산에서도 배제키로 했다.
월스트리트저널 등에 따르면 터키는 F-35 공동 생산 프로젝트에서 동체와 착륙장치, 조종석 디스플레이 등을 맡아 부품 900여개를 납품해왔다. 연 120억달러(14조5000억원)에 달하는 규모다. 터키의 항공·우주 분야 8년치 수출액과 맞먹는다. 대미 관계가 흔들리자 당장 리라화가 폭락했다. "대체 전투기를 알아보겠다"며 반발하던 터키는 현재 미국과 물밑 대화를 이어가며 S-400 도입 취소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F-3 5 네트워크가 일대일로보다 빠져나가기 어려운 것이다.
미국의 혈맹 이스라엘도 F-35 도입 계획을 세운 2005년에 이스라엘 무기 부품을 중국에 팔았다가 미국의 경고를 받고 수출을 즉시 중단했다. 대만은 F-35 도입을 추진했지만 미국이 "중국 코앞에 F-35를 배치하면 중국을 지나치게 자극할 수 있다"며 판매를 거부, F-16으로 급을 낮춰 도입한 경우다.
일대일로에 가입한 70여 개국의 총 GDP는 세계의 40%로, F-35 프로젝트보다 규모가 작다. 또 안보 기회비용을 고려하면 F-35 프로젝트에서 누락되는 게 더 치명적이라고 FP는 설명했다.
록히드마틴사의 F-35는 현존 최신예 스텔스(stealth·적의 탐지를 피해 공격하는 기술) 전투기이다. 기체 반사면적을 획기적으로 줄여 탐지 레이더에 작은 새나 골프공 정도로 표시된다. 적의 전투기·대공미사일·레이더·전자전 장비에 탐지되지 않고 상대방을 공격하거나 영공을 통과하는 등 다양한 작전을 구사할 수 있다. 중국과 러시아 등도 자체 개발한 스텔스기가 있지만 F-35에 대적하기엔 턱없이 모자란다. '하늘의 지배자'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이유다.
현재 F-35를 도입한 나라는 미국과 아시아·유럽·중동 동맹 15개국이다. 인도·사우디아라비아 등 도입을 논의 중인 나라도 8개국 이상이다. 모두 미국이 주도하는 '인도·태평양 전략'의 핵심 동맹국들이다. 한국·일본·호주 등 아시아·태평양에만 2025년까지 총 220대가 실전 배치될 예정이다.
한국에서 F-35는 유사시 북한 핵심 시설을 타격할 수 있는 '대북 킬체인(kill chain·미사일 선제 타격 시스템)'의 핵심 전력이다. 일단 40대를 도입하지만, 미 상원은 한국에 130대까지 팔 수 있게 승인해놨다. 지난 21일로 6대째 들어왔다. 일본도 전후(戰後) 처음 띄우는 항공모함에 F-35를 탑재키로 했다. 일본은 147대를 들여오기로 했다. 미국을 제외하면 최다 보유국이 된다.
F-35 프로젝트가 '일대일로'처럼 국가 간 네트워크 사업 성격을 띠는 것은 조종사 훈련, 운용기술 이전, 전용 부대 설치와 기지 운영까지 뒤따라오기 때문이다. 미국의 포괄적 군사 지원을 받는 '안보 우산'을 쓰는 셈이다. FP는 "중국이 어떤 나라에 '항구를 못 지어주겠다'고 하면 일대일로를 탈퇴하고 중국 대신 다른 공급선으로 대체할 수 있지만, 미국이 F-35를 안 팔면 다른 안보 우산으로 대체가 불가능하다"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F-35 판매를 정상(頂上) 외교의 핵심 의제로 직접 챙긴다. 그는 지난 6월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 방미 때 워싱턴 DC 상공에 F-35 비행을 지시했다. 러시아의 압박을 받는 폴란드는 즉각 F-35 32대 구매 계획을 공식화했다.
그렇다고 돈만 내면 살 수 있는 물건은 아니다. 지난달 터키 수출분 취소 사태가 단적으로 보여줬다.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일원으로 F-35 공동 개발국에 포함된 터키 정부는 당초 100대를 계약해놓고, '러시아판 사드'로 불리는 러시아제 지대공미사일 방어체계 S-400 도입도 함께 추진했다. 미국은 "F-35와 S-400 시스템을 연동하면 우리 기술이 러시아에 유출될 우려가 있다"며 반발했다. 그런데도 터키가 S-400 부품을 도입하자 백악관은 "터키에 F-35 수출을 전면 취소한다"고 발표했다. 터키가 이미 구매한 4대도 인도하지 않고, 부품 공동 생산에서도 배제키로 했다.
월스트리트저널 등에 따르면 터키는 F-35 공동 생산 프로젝트에서 동체와 착륙장치, 조종석 디스플레이 등을 맡아 부품 900여개를 납품해왔다. 연 120억달러(14조5000억원)에 달하는 규모다. 터키의 항공·우주 분야 8년치 수출액과 맞먹는다. 대미 관계가 흔들리자 당장 리라화가 폭락했다. "대체 전투기를 알아보겠다"며 반발하던 터키는 현재 미국과 물밑 대화를 이어가며 S-400 도입 취소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F-3 5 네트워크가 일대일로보다 빠져나가기 어려운 것이다.
미국의 혈맹 이스라엘도 F-35 도입 계획을 세운 2005년에 이스라엘 무기 부품을 중국에 팔았다가 미국의 경고를 받고 수출을 즉시 중단했다. 대만은 F-35 도입을 추진했지만 미국이 "중국 코앞에 F-35를 배치하면 중국을 지나치게 자극할 수 있다"며 판매를 거부, F-16으로 급을 낮춰 도입한 경우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8/24/2019082400081.html
'위인.교육.기타 > 시사.뉴스.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첨단에 최신 더해 항공전력 더 강해진다. (0) | 2019.09.25 |
---|---|
20만명에 달하는 북한특수부대 위협 (0) | 2019.09.06 |
러시아 장거리 저격용 소총 (0) | 2019.08.12 |
귀신잡는 해병 (0) | 2019.04.14 |
대한민국영토 독도 (0) | 2019.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