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잠수함사, 창설 30주년 맞아 280만 마일 ‘안전항해 무사고 대기록’ 달성 / 해군 제공

작성자: 운영자

조회: 6767 추천: 1

작성일: 2020-06-01 09:48:06

 

- 1990년 6월 1일 부대 창설 이후 대한민국 ‘국가전략부대’로 보이지 않는 헌신

-‘1호 잠수함’ 장보고함은 한국 잠수함 최초로 30만 마일 안전항해 달성

- 교육받던 국가에서 교육하는 국가로 변모, 10개국 대상 국제잠수함과정 운영

 

해군잠수함사령부가 61일 정승균 잠수함사령관 주관으로 사령부에서 창설 30주년 기념식을 가졌다. 기념식이 열린 이날 ‘30280만 마일 안전항해 무사고 대한민국 1호 잠수함인 장보고함의 한국 잠수함 최초 30만 마일 안전항해라는 대기록도 달성해 그 의미를 더했다.

 

 

해군잠수함사령부의 역사는 199061일 제57잠수함 전대 창설로 시작되었다. 이후 1992년 독일에서 우리나라 첫 번째 잠수함인 1,200톤급 장보고함을 인수하였으며, 1995101일에는 제9잠수함전단으로 격상되었다.

 

 

2007년에는 아시아 최초로 공기불요추진체계(AIP, Air Independent Propulsion)를 탑재한 잠수함 손원일함(1,800톤급)을 인수하였으며, 201521일 대한민국은 전 세계에서 6번째로 잠수함사령부를 보유한 국가가 되었다. 20189월에는 설계에서부터 건조까지 우리 기술로 건조한 3,000톤급 중형잠수함인 도산안창호함이 진수되었다.

 

 

잠수함사령부는 창설 이후 지금까지 30년 동안 세계 잠수함 역사상 보기 드문 ‘30280만 마일 무사고 안전항해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280만 마일은 450에 달하며 이는 지구를 129바퀴 항해한 거리와 같다.

 

 

대기록 달성의 비결은 엄격한 교육과 훈련이다. 잠수함사령부는 잠수함 승조원을 양성하기 위해 선배가 후배를 기초부터 일대일로 교육하는 일명 도제식 교육과 같은 방식의 현장 중심 교육으로 잠수함 승조원 자격부여제도(SQS)를 약 6개월에 걸쳐 시행한다. 잠수함 승조원이 되려면 이론교육과 함께 전문화된 실습과 평가를 통한 엄격한 교육훈련을 통과해야 한다. 이러한 까다로운 교육과정을 통해 많은 땀방울을 흘렸기에 무사고 안전항해의 기록을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한편, 지난 1992년 도입된 1200톤 장보고함은 지난해 10월 대한민국 잠수함 최초로 30만 마일 무사고 안전항해를 달성하였으며, 이날 부대창설기념식에 앞서 무사고 안전항해 달성 기념식도 가졌다.

 

 

잠수함이 활동하는 수중에서는 사소한 실수가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서 잠수함 승조원들은 “100번 잠항하면 100번 부상한다라는 부대의 안전신조와 “99%는 곧 0%라는 자세로 항상 안전을 최우선 순위로 두고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잠수함이 안전하게 잠항하기 위해 잠수함 승조원은 매일매일 출항 전 ‘MCC(Material Condition Chart, 태세설정 점검표)’에 따라 장비상태를 정확히 확인한다. 잠수함은 엄청난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돼 있고 때문에 수많은 밸브가 있는데 벨브의 운용은 잠수함의 안전과 직결돼 있다. 이에 승조원들은 개인별로 책임질 밸브 및 장비를 부여받고 직별장 및 부서장이 해당 벨브 및 장비의 이상 유무를 이중, 삼중으로 확인한다.

 

 

이날 기념행사는 생활 속 거리두기를 준수한 가운데 외부 초청인원 없이 진행되었다. 기념식 이후 사령부 운동장에서 해군군악대와 해군홍보단의 축하 공연 속에 다양하고 즐거운 문화행사를 통해 부대창설의 의미를 되새기고 부대원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시간도 가졌다.

 

 

박한기 합참의장은 최강의 수중전력으로 해양주권을 수호하고, 수많은 연합·합동작전에서 눈부신 활약을 펼쳐온 잠수함부대 장병들의 노고를 치하한다고 축전을 보냈고, 부석종 해군참모총장은 미래에 대한 꿈을 가지고 도전하여 새로운 역사를 창조하는 자랑스러운 국가전략부대의 전통을 발전시켜 나가길 바란다고 축사를 보냈다.

 

[참고자료]

<세계에서 인정받은 잠수함 운용능력으로 디젤 잠수함 운용 모범국가로 성장>

 

 

해군잠수함사령부는 무사고 기록과 함께 다양한 연합훈련에서도 혁혁한 성과를 거두었다. 1992년 독일로부터 우리나라 최초의 잠수함인 장보고함을 도입한지 4년 만인 1996년에 잠수함 단독으로 한반도에서 괌을 왕복하는 첫 원양항해를 실시하면서 우리 해군의 안전항해 능력을 보여주었다.

 

 

이듬해인 1997년에는 잠수함 도입 5년 만에 잠항으로 하와이까지 왕복항해에 성공하였고, 1998년부터는 환태평양훈련(RIMPAC) 참가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20여 회 이상 하와이, 싱가포르, 호주 등 해외 연합훈련에 참가하여 뛰어난 잠수함 운용능력을 전 세계에 알렸다.

 

 

특히, 1999년 서태평양훈련에서 이천함이 단 한발의 어뢰로 12,000톤급 퇴역 미 순양함을 격침시켜 미 해군으로부터 ‘One Shot! One Hit! One Sink!'라는 격찬을 받아 지금도 잠수함사령부의 전투구호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잠수함은 그 동안 수많은 해외 연합훈련에 참가하면서도 지금까지 장비 고장으로 훈련을 중간에 포기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 무사고 안전항해 기록과 함께 다양한 연합훈련에서 거둔 성과로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디젤 잠수함 운용의 모범국가으로 거듭났다.

  

<국제 잠수함과정 운영, 교육을 받는 국가에서 교육을 시키는 국가로>

 

 

불과 30년 전 지구 반대편 독일로 날아가서 잠수함 교육을 받던 대한민국 잠수함부대는 이제 잠수함을 운용하거나 운용하려는 국가에 대해 시운전, 교육훈련, 전력화 경험 등을 다른 나라 잠수함 요원들을 대상으로 교육시키고 지원하면서 방산수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2005년과 2011년 당시 9전단 잠수함승조원들은 국내 조선소에서 정비 중이던 인도네시아 잠수함 승조원들에게 특별교육을 지원하면서 우리의 우수한 조선(造船) 능력을 알리고 잠수함 운용능력을 전수함으로써 군사외교에도 일조하였다.

 

 

잠수함사령부는 지난 ’13년부터 국제잠수함과정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재래식 잠수함 운용국과 운용 예정국의 외국군 장교부사관을 대상으로 수탁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국제잠수함과정은 약 8주간 일반학특기전문학 등 잠수함 이론교육과 함께 전술조종장비운영소화방수훈련, 잠수함 견학 등 실습교육을 통해 잠수함 운용 개념을 이해하고 주요장비의 운용법을 숙달하는 교육을 실시한다.

 

 

그동안 이 교육과정을 거쳐 간 나라는 UAE,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터키,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10개국 76명에 이른다.

 

 

대한민국은 2011년 우리 방산수출 역사상 최초로 인도네시아에서 잠수함 3건조를 수주하였고, 이후 20161번 잠수함 나가파사함, 20172번함 아르다데달리함과 20193번함 알루고로함 승조원들을 대상으로 인수와 운용을 위한 교육훈련을 잠수함사령부에서 제공함으로써 군사교류와 함께 국익증진에도 기여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스마트잠수함부대로 거듭나는 잠수함사령부>

 

해군잠수함사령부 4차 산업혁명 첨단기술 기반의 스마트 해군(SMART NAVY)’ 건설에 발맞추어 스마트 잠수함부대를 만들기 위해 잠수함 스마트 지휘체계의 기반을 다지고 있다.

 

잠수함사령부의 스마트 지휘체계기반 구축 사업은 잠수함 지휘통신 체계에 최신 IT기술(위성통신, 빅데이터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하여 잠수함 승조원 전투수행능력의 극대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가장 먼저 스마트 워치 기반 정보교환체계마련에 매진 중이다.

 

완벽히 폐쇄된 공간 안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잠수함 특성상, 화재와 장비고장 등에 대해 초기에 신속하게 식별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마트 워치 기반 정보 교환체계를 통해 수집된 대기 관리 및 손상통제 정보는 잠수함 장비운용 간 치명적인 결함을 조기에 식별할 수 있는 지표가 될 뿐만 아니라, 승조원들이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역할을 해낼 것으로 전망된다.

 

이 밖에도 잠수함 운용 관련 빅데이터 서버 도입, 가상현실(VR) 승조원 교육훈련체계 개념 연구 등 스마트잠수함 부대로 거듭나기 위한 혁신과 변화를 다양하게 모색 중이다.

 

 

 

(사진 1) 해군잠수함사령부 장병과 군무원들이 부대창설 30주년(6. 1.) 맞아 사령부 본청 앞에서 ‘30주년글자를 만들어 기념하고 있다.

 

 

(사진 2) 설계에서부터 건조까지 우리나라의 기술로 건조한 3,000톤급 중형잠수함인 도산안창호함의 항해시운전 모습

 

 

(사진 3) 대한민국해군 잠수함 최초로 무사고 안전항해 30만마일을 달성한 장보고함(1200)의 항해 모습

 

 

(사진 4) 1999년 서태평양훈련에서 단 한발의 어뢰로 12,000톤급 퇴역 미 순양함을 격침시켜 미 해군으로부터 ‘One Shot! One Hit! One Sink!'라는 격찬을 받은 이천함(1200)의 항해 모습

 

 

(사진 5) 아시아 최초로 공기불요추진체계를 탑재한 잠수함 손원일함(1,800)의 진수식 모습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