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영웅' '살아있는 전설' 백선엽 장군 별세!

작성자: 운영자

조회: 4250 추천: 9

작성일: 2020-07-11 09:13:15

 

 

 

 

6.25전쟁 때 많은 전공을 세워 한국군 최초의 대장이 된 백선엽 장군

 

 

 

6·25 전쟁의 영웅이자 창군(創軍) 원로이신 백선엽(100) 예비역 대장께서 어젯밤(10일) 11시 세상을 떠나셨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한국군은 물론 미군에게도 '살아 있는 전설'로 통하셨던 백 장군님은 최근 지병으로 건강이 많이 악화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30호실, 발인은 15일 오전 7시입니다. 육군장으로 엄수되며 장지는 국립대전현충원이라고 합니다. 아래는 백 장군님에 대해 최근 소개한 제 '밀톡' 기사의 일부입니다.

 

국내외 전문가들은 백 장군의 6·25전쟁 전공(戰功)은 재론의 여지 없이 높이 평가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재향군인회는 지난 27일 발표한 성명에서 “백 장군은 창군 멤버로서 6·25 전쟁 시 최악의 전투로 알려진 낙동강 ‘다부동 전투’를 승리로 이끈 주역이며, 인천상륙작전 성공 후 평양 탈환 작전을 성공시켰다”며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공인한 전쟁 영웅”이라고 했다.

 

 

 


6.25전쟁 때 당시 백선엽 1사단장이 참모들과 작전을 협의하고 있다. /조선일보 DB

 

 

◇ 31세 최연소 참모총장, 한국군 최초의 대장 기록

 

북한군의 기습 공격으로 낙동강까지 후퇴했을 때 그가 사단장으로 지휘하던 육군 1사단은 한국군 부대 중 유일하게 미군 1군단에 배속됐다. 지원나온 미군 2개 연대와 함께 경북 칠곡에서 6.25전쟁 중 대표적인 격전이었던 다부동 전투를 치렀다. 전투 중 겁에 질린 우리 군 병력이 뒤로 후퇴하고 무단 이탈도 생겼다. 그러자 다부동을 지키던 미군 27연대장 마이켈리스 대령이 “전선 좌측의 한국군 부대가 무단 이탈하고 있다”고 다급히 전황을 알려왔다.

 

백 장군은 후퇴하는 한국군을 가로막으며 “나라가 망하기 직전이다. 저 사람들(미군)은 싸우고 있는데 우리가 이럴 순 없다. 내가 앞장설 테니 나를 따르라. 내가 후퇴하면 나를 쏴도 좋다”며 장병들을 독려했다. 백 장군의 고군분투에 힘입어 한미 양국군은 다부동 전투를 승리로 이끌 수 있었다. 다부동에서 패했다면 최후의 낙동강 방어선이 뚫리고, 남한이 적화됐을 것이라는 평가가 많다.

 

백 장군이 이끈 1사단은 인천상륙작전 이후 미군 1기병사단, 24보병사단 등과 치열한 북진 경쟁을 벌였다. 백 장군의 부대가 결국 가장 먼저 평양에 입성했다. 평북 운산까지 진출한 1사단은 중공군의 반격에 밀려 다른 유엔군과 함께 38선 이남으로 후퇴했다. 전쟁 중 1사단은 미군들로부터 “가장 잘 싸운 한국군 부대”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는 전쟁 중에도 국군과 경찰 유자녀, 전쟁 중 부모를 잃은 고아들을 위해 ‘백선 유아원’을 설립했다. 1951년11월엔 야전전투사령부 사령관에 임명돼 지리산 빨치산 소탕작전 등에서 공을 세웠다.

 

1952년 만 31세의 나이로 한국군 사상 최연소 육군참모총장에 오르는 기록을 세웠다. 33세엔 한국군 최초의 대장이 됐다. 영어를 잘 구사해 전쟁 중 미군(유엔군)과의 소통에도 역할이 컸다. 미 밴 플리트 장군과 함께 한국군 증강 계획을 세워 한국군 발전의 토대를 닦았다. 1954년엔 제1야전군을 창설하고 사령관에 임명돼 43개월 동안 재임하며 야전군의 기틀을 다졌다. 1957년엔 두번째로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

 

 

 

 

지난해 11월 로버스 에이브럼스 주한미군사령관과 마이클 빌스 미 8군사령관이 100세 생일을 맞은 백선엽 장군을 방문해 셀카를 찍고 있다. /주한미군 SNS

 

 

◇ 간설특설대 복무 논란 “독립군과 전투한 적 없다”

 

백 장군을 폄훼하는 사람들이 내세우는 친일 행적 논란의 핵심은 일제시대 간도특설대에서 복무한 경력이다. 간도특설대는 폭파, 소부대 행동, 잠입 등을 주임무로 했던 일본군 특수부대였다. 백 장군은 일본어판 자서전에서 ‘간도특설대가 추격했던 게릴라 중에는 많은 조선인이 섞여 있었다’며 ‘한국인이 독립을 위해 싸우고 있었던 한국인을 토벌한 것이기 때문에 이이제이(以夷制夷)를 내세운 일본의 책략에 완전히 빠져든 형국이었다’고 적었다. ‘동포에게 총을 겨눈 것은 사실이었고 비판을 받더라도 어쩔 수 없다’는 대목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진상규명위) 등은 이같은 내용 등을 토대로 백 장군을 친일반민족행위자에 포함시켰고, 김홍걸 당선자도 같은 취지의 주장을 폈다.

 

백 장군은 이에 대해 지난해 6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내가 간도특설대로 발령받아 부임한 1943년 초엔 항일 독립군도, 김일성 부대도 일본군의 대대적인 토벌작전에 밀려 간도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옮겨가 버리고 없을 때였다”며 “독립군과 전투행위를 한 사실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일본어판 자서전에서 간도특설대 근무 시절 조선인 항일 독립군과의 전투가 있었던 것처럼 기술한 데 대해 “1930년대 간도특설대 초기의 피할 수 없었던 동족 간의 전투와 희생 사례에 대해 같은 조선인으로서의 가슴 아픈 소회를 밝혔던 것”이라고 했다.

 

백 장군은 그동안 친일반민족진상규명위 등의 주장에 대해 언론 인터뷰나 법적 대응 등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백 장군의 측근은 “주위에서 명예훼손 등으로 법적인 대응을 하거나 공개 반박 등을 해야 한다는 건의를 드렸지만 백 장군은 대응을 하지 않는 게 좋겠다고 판단하셨다”고 했다. 일각에선 백 장군이 1944년 중국 공산당 팔로군 토벌작전에도 참여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백 장군은 이에 대해 “간도특설대의 박격포 지원 후방 소대장으로 주력부대가 아닌 단순한 경비임무를 수행했을 뿐”이라고 밝혔다.

 

 

 


2018년11월 백선엽 장군의 백수(한국 나이 99세) 축하 행사에서 해리 해리스 주한미대사가 정경두 국방장관이 지켜보는 가운데 무릎을 꿇고 축하인사를 하고 있다. /조선일보 DB

 

 

◇ 백장군을 ‘살아있는 전설’로 예우하는 미군

 

6·25전쟁 영웅인 백 장군에 대해 한국군보다 오히려 미군이 ‘살아 있는 전설(Living Legend)’로 부르며 극진히 예우해 왔다. 역대 주한미군사령관들은 이취임식에서 한국군 관계자들을 언급할 때 백 장군을 가장 먼저 호칭하는 경우가 많았다. 주한미군은 2013년 그를 ‘명예 미 8군사령관’으로 위촉해 각종 공식행사 때 주한 미 8군사령관과 같은 예우를 해왔다. 지난해 11월 로버트 에이브럼스 한미연합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은 마이클 빌스 미 8군사령관 함께 한국 나이로 100세 생일을 맞은 백 장군을 찾아 축하 인사를 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