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릇 사람의 마음은 험하기가 산천보다 더 하고
알기는 하늘보다 더 어려운 것이니라."
- 공자 -
하늘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과
아침, 저녁의 구별이 있지만
사람은
꾸미는 얼굴과
깊은 감정 때문에 알기가 어렵다.
외모는... 진실한 듯 하면서도
마음은... 교활한 사람이 있고,
겉은... 어른다운 듯 하면서도
속은... 못된 사람이 있으며,
겉은... 원만한 듯 하면서도
속은... 강직한 사람이 있고,
겉은... 건실한 듯 하면서도
속은... 나태한 사람이 있으며,
겉은... 너그러운 듯 하면서도
속은... 조급한 사람이 있다.
그러므로 군자는 사람을 쓸 때,
1. 먼 곳에 심부름을 시켜 그 충성을 보고,
2. 가까이 두고 써서 그 공경을 보며,
3. 번거로운 일을 시켜 그 재능을 보고,
4. 뜻밖의 질문을 던져 그 지혜를 보며,
5. 급한 약속을 하여 그 신용을 보고,
6. 재물을 맡겨 그 어짐을 보며,
7. 위급한 일을 알리어 그 절개를 보고,
8. 술에 취하게 하여 그 절도를 보며,
9. 남녀를 섞여 있게 하여 그 이성에 대한
자세를 보는 것이니,
이 9가지 결과를 종합해서 놓고 보면
사람을 알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건강.취미.운동.기타 > 생활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천강대임론(天降大任論)과 역경(逆境) ◑ (0) | 2022.04.09 |
---|---|
24절기란 (0) | 2020.08.27 |
꿈 해몽의 기본 요령 10가지 (0) | 2020.07.29 |
눈썹이 짧으면 배우자를 울린다?! (0) | 2020.07.18 |
◆ 집 안에 두면 좋지 않은 12가지 ◆ (0) | 2020.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