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범 기자 입력 2020.10.31. 16:27 댓글 7개
독감(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후 사망 신고 사례가 31일 0시 기준 83건으로 늘었다.
31일 질병관리청이 분석한 2020-2021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현황에 따르면 독감백신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은 총 1669건 신고됐다.
이어 "지금까지 검토한 사례 모두 사망과 예방접종과 인과성이 매우 낮아 백신 재검정이나 국가예방접종사업 중단을 고려할 상황이 아니다. 예방접종을 너무 서두르지 말고 건강상태가 좋은 날 예방접종을 받아달라"고 덧붙였다.
[인천=뉴시스] 이종철 기자 = 독감백신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26일 오전 인천시 부평구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에서 독감 예방접종 주의시항을 보여주고 있다. 2020.10.26. jc4321@newsis.com
독감(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후 사망 신고 사례가 31일 0시 기준 83건으로 늘었다. 다만 현재까지 사망과의 인과관계가 밝혀진 사례는 없다. 방역당국은 백신접종 중단을 고려할 상황이 아니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31일 질병관리청이 분석한 2020-2021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현황에 따르면 독감백신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은 총 1669건 신고됐다. 전체 예방접종 누적 건수는 약 1708만건이다.
이상반응 중 사망 신고는 83건(명)이다. 지난 30일 피해조사반 신속대응회의에서는 83건중 72건에 대한 기초조사 및 역학조사 결과 사망과 예방접종의 인과성이 매우 낮다고 판단했다. 나머지 29~30일 확인된 11건에 대해선 조사를 진행 중이다.
사망 신고 사례 중 70대 이상이 85.5%(71건)다. 60대는 4건, 60대 미만은 8건이다. 사망 신고는 만 70세 이상 어르신 국가 예방접종 지원사업이 시작된 10월 셋째 주(10월19~25일)에 59건이 집중됐다.
지역별로는 서울 12건, 경기 12건, 경남 10건, 대구·전북·전남 각각 8건, 경북 6건, 충남 4건, 부산·대전 각각 3건, 인천·강원·충북 각각 2건, 광주·제주 각각 1건 등이다.
[사설] 독감 백신 불안 확산, 접종 중단하고 사망원인부터 밝혀라
접종 후 사망까지 경과 시간은 50건(60.2%)에서 48시간 이상, 24시간 미만은 13건(15.7%)으로 나타났다. 독감백신의 대표적인 부작용 중 하나인 아나필락시스 쇼크는 접종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질병청은 "모든 사망 사례에서 백신 이상반응으로 추정되는 소견이 없었고 기저질환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이 높았다"며 "부검 결과 대동맥 박리, 급성심근경색증, 뇌출혈 등 명백한 다른 사인이 있거나 질식사, 패혈증 쇼크, 폐렴 등 다른 사인이 있었다"고 했다.
이어 "지금까지 검토한 사례 모두 사망과 예방접종과 인과성이 매우 낮아 백신 재검정이나 국가예방접종사업 중단을 고려할 상황이 아니다. 예방접종을 너무 서두르지 말고 건강상태가 좋은 날 예방접종을 받아달라"고 덧붙였다.
최태범 기자 bum_t@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위인.교육.기타 > 시사.뉴스.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든 당선 땐 대외정책 급변, 쿼드도 TPP처럼 사라질 판” (0) | 2020.11.01 |
---|---|
집단 반발 검사들 ‘검찰 개혁은 정권 비리 수사 막으려는 사기’ (0) | 2020.11.01 |
BBK 김경준 "MB는 단죄..정치검찰, 역사의 법정 세워야" (0) | 2020.10.31 |
멀쩡한 전월세 시장을 암시장으로 만든 정부, 이 난장판 어쩔 건가 (0) | 2020.10.31 |
대만의 미국산 무기 구매와 향후 함의 (0) | 2020.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