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모함

 

작성자: 무르만스크

조회: 3389 추천: 5

작성일: 2021-02-28 15:00:49


얼마전 러시아가 계획하고 있는 바란이란 함명의 신형항공모함 CG가 공개됐었는데요.

이 항공모함은 러시아 네브스키 설계국에서 설계한 항공모함입니다.

 

그리고 최근 알려진 소식에 의하면 이 항공모함의 이름이 바란이 아니라

바란은 함정의 설계를 공유하는 통합플랫폼 모듈식 함정 전체 프로젝트의 이름이고

그중 이 CG는 바란의 항공모함 버전이였네요.

 

 

 



바란 항모형의 길이는 250m 폭 65m 흘수선 9m, 26노트의 속력을 낼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바란 통합플렛폼 설계의 다른함정들을 살펴보면

 

 

 



바란 강습상륙함 버전. 만재 3만톤 길이 220m 폭 42m 흘수 7m에 24노트의

최고속력을 가지고 있고 7개의 헬기착륙 플랫폼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란의 병원선 버전. 상륙함 버전과 공통의 설계플렛폼 이므로

동일한 크기입니다.

 

 

 

바란의 민수용 북극지원선, 민간 탐사선, 지원선 버전.

마찬가지로 항모, 강습상륙함과 공통의 설계 플렛폼 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바란이라는 통합 플렛폼설계, 모듈식 설계의 적용으로 항모를 포함한 여러가지 파생형 함정을

건조, 설계 건조의 비용하락 기간단축과 효율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네요.

 

 

그중 제일 관심이 가는 바란의 항모버전을 살펴보면

 

 

 

 

 

 

Mig-29K 24대를 적재 할수있고 최대 18대의 미그기를 갑판에서 동시 운용할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6대의 작전헬기들을 탑재할수 있다고 하네요.

 

 


얼마전 국방부에서 공개한 국산 경항공모함이 최대 13대의 F-35B를

탑재하고 갑판에선 9대 정도의 함재기를 동시 운용할수 있다고 한것에 비하면 차이가 크네요.

게다가 한국경항모의 길이는 260m 이상으로 바란 항모버전의 250m 보다 더 큽니다.

 

그 이유는 너비와 사출기 차이로 보입니다. 한국 경항모는 바란항모 보다 길이는 길지만

폭이 40m로 바란의 65m보다 훨씬 작습니다.

바란은 이함과 착함을 따로 할수 있는 앵글드 데크를 적용했기 때문에 폭이 훨씬

넓죠. 그리고 2개의 사출기를 운용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는 더

짧지만 18대의 함재기를 운용할수 있습니다.

 

이 사출기는 60-70m의 짧은 거리의 이륙을 가능하게 한다고 하네요.

 

 

 



또한 바란 항모형을 보면 아일랜드의 크기를 극단적으로 줄이고 그

위치또한 함수쪽으로 최대한 밀착시켜서 비행갑판의 활용면적을 최대한으로

늘려서 많은 함재기를 운용할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합니다,

 

 

CG를 보면 이전에 러시아 쿠즈네초프에서 운용했던 스키점프대를 사용하지 않고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러시아 해군의 항모 운용경험상

스키점프대 보다는 넓은 항모갑판을 가지는게 함재기 운용에 더 효율적이라는

결과를 냈기 때문으로 보이네요.

 

 



그리고 함재기 탑재 수량을 줄이면 최대 20대의 C-70 UAV를 운용할수 있다고 합니다.

 

 

 

 

 

바란 항모버전은 수요군의 요구에 따라 후방 도크를 설치할수 있게 설계되었고

선체의 모든 구획은 모듈식으로 건조되어 건조, 검사 시간과 비용을 줄인다고 하네요.

 

그리고 수요군의 요구에 따라 가스터빈을 적용할수도 있고 원자력추진을

적용할수도 있는데 함정의 추진부를 모듈식으로 설계하였기 때문에 복잡한

설계변경 없이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적용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그리고 러시아 건조사들의 경우 원자력 추진으로 대형 잠수함을 건조한 경험이 많기 때문에

대형선박에 원자력 추진을 적용하는것이 더 익숙하고 수월하다고 합니다.

 

 

 

네브스키 설계국은 바란항모를 포함한 통합 플렛폼 함정을 러시아 해군외에

해외 수출또한 적극적으로 염두해 두고 있다 합니다.

정확한 건조 가격을 밝히진 않았지만 통합플렛폼 설계와 모듈식 설계 건조로

가격을 많이 낮췄으며 통상적인 동급 톤수 함정에 비해 30프로 정도

단가가 낮을것으로 예상하고 있네요.

 

그렇게 치면 대략 2조 후반대에서 3조 초반대로 예상됩니다.

국방부는 한국 경항모가 3만톤에서 4만톤 사이에 2조 300억에 건조한다고 했는데

(물론 백프로는 안믿습니다. ㅋ 일단 사업추진 확정 받으려면 싸게 후려치는게

일반적이라...)

 

2조후반에서 3조 초반대의 가격에 4만5천톤급, 앵글드데크와 사출기 2기를 운용하며

24대의 고정익 함재기를 운용할수 있는 항모라..

 

뭐 러시아 해군이 채용할런지 타국에 수출이 될런지는 모르겠지만

자국 쿠즈네초프를 굴리면서 얻은 실패경험과 피트백 노하우를 바탕으로

설계한 통합플랫폼 항모... 꽤 괜찮은 설계 같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