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학수련의 3대 원리는 수승화강의 원리, 정충기장신명의 원리, 심기혈정의 원리 이렇게 세 가지입니다. 단학수련은 이 원리를 통해 인간의 육체의 건강은 물론, 의식의 성장을 통해 인간완성에 이를 수 있게 합니다.
1. '수승화강'의 원리
동서양을 막론하고 머리를 시원하게 하고 배는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을 무병장수의 비결로 꼽는다. 우리 몸에는 두 종류의 에너지가 있습니다. 따뜻한 불의 에너지인 화기 火氣와 차가운 물의 에너지인 수기 水氣가 그것입니다. 몸이 최적의 건강 상태를 유지하면 수기는 위로 올라가 머리에 머물고 화기는 아래로 내려가 복부에 모입니다. 이를 단학에서는 수승화강 水昇火降의 원리라고 합니다. '수승화강'은 수기는 올라가고 화기는 내려오는 우주의 원리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만물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우주는 매 순간이 수승화강의 상태입니다.
인체에서 수기水氣는 콩팥, 화기火氣는 심장에서 생성됩니다. 몸 속의 에너지 순환이 활발해지면 단전은 콩팥을 뜨겁게 하여 수기를 밀어 올립니다. 수기가 심장을 차갑게 하면 심장의 화기가 단전으로 내려갑니다. 수기가 등줄기 부분에 위치한 독맥을 따라 위로 움직이면 머리가 맑아지고 시원해집니다. 화기가 흉곽 가운데에 위치한 임맥을 따라 복부로 내려가면 장이 따뜻해집니다.
- 수승화강이 잘되는 상태
- · 입 안에 단침이 고인다
- · 머리가 맑고 시원하며 마음이 편안해진다.
- · 아랫배가 따뜻해지고 힘이 생긴다.
- · 내장의 기능이 왕성해진다.
- · 피로하지 않고 몸에 힘이 넘친다.
- · 머리가 맑고 시원하며 마음이 편안해진다.
- 수승화강이 안되는 상태
- · 입술이 타고 손발이 차갑다.
- · 머리가 아프고 설사 변비가 있다.
- ·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해진다.
- · 목이 뻣뻣해지고 어깨가 걸린다.
- · 항상 피곤하고 소화가 잘 안된다.
- · 머리가 아프고 설사 변비가 있다.
수승화강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
하단전에 화기를 잡아 둘 만큼 단전이 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특히 현대인들은 몸을 적게 움직이고 머리를 너무 많이 써서 화기가 위로 올라가는 경우가 많다.
스트레스와 부정적인 감정에 시달리는 경우다. 이러한 이유로 임맥(가슴)이 막혀 기의 정상적인 흐름이 역전되면 화기가 위로 치솟는다. 이때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 신경계 질환이다.
'건강.취미.운동.기타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 엉겅퀴 무엇인가? ≫ (0) | 2009.04.08 |
---|---|
[스크랩] ≪ 엉겅퀴 무엇인가? ≫ (0) | 2009.04.08 |
[스크랩] 氣를 살리는 등산법 (0) | 2009.04.07 |
[스크랩] 감사하는 삶 되세요 (0) | 2009.03.31 |
[스크랩] 암을 이기는 한국인의 음식 54 가지 (0) | 2009.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