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Offshore Base (MOB)
이동식 해상기지
요즘 주한미군 철수설과 북한의 핵무기 문제로 한반도에는 94년 이후 다신 한번 전운이 감돌고 있습니다. 제 판단으론 완전 철수는 이루어지지 않을지 몰라도 미국은 언젠가는 (5년, 10년, 20년후??) 주한미군 감축을 시행할 것이므로, 그들 자신들만의 새로운 헤게모니(hegemony) 유지 전략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제가 몇년 전에 미국의 한 군사전략 연구소에서 근무할 때 McDermott Company의 자회사인 BWX Technologies에서 우리말로 ‘이동식 해상기지’라고 해석되는 Mobile Offshore Base(MOB)에 대한 브리핑에 참석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받은 자료가 어디 있을겁니다. 거기에 더 자세한 설계도가 나와 있는데...디코가족분들을 위해서 반드시 찾아 올리겠습니다!) 그때 기억으론 미국 국방성 지시로 아시아나 유럽지역에서 미군이 철수해야 할 상황을 대비하여 현존하는 전진기지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전진기지에 대한 구상을 시작했는데, 미 해군의 ONR(Office of Naval Research: 해군연구소)에서는 1996년에 이미 MOB 건조에 대한 핵심 설계기술 확보를 위한 과학기술사업(Science & Technology Program)을 실시 하였습니다. 미국의 학계, 기업, 정부쪽 전문가들을 고용하여 MOB 건조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실시한 후, 2001년 초에 미국 국방연구원(Institute for Defense Analysis)에서 MOB의 개발/운용이 현존 핵추진 항공모함이나 기타 군수지원 수송선의 운용보다 비용-대-효과 면에서 떨어진다는 검토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현재는 MOB 사업은 개념연구만 진행하고 있지만, 미국이 주한미군 철수와 타 요충지에서의 미군 철수를 본격화 한다면 MOB 개발사업이 재가동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럼 지금까지 공개된 자료를 근거로 MOB에 대하여 간략하게나마 알아보도록 하죠. MOB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이 있을 것 같은데…좋은 자료를 찾으면 더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MOB의 기본적 개념을 설명하자면, 길이 304m, 폭 152m, 높이 36m, 독립적 이동이 가능한 반잠수식(semisubmersible) 모듈 5~6개를 함께 연결시켜 미국의 전략적 요충지역에 배치하여 미군의 새로운 전진기지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이 새로운 개념의 전진기지 MOB는 한 개의 모듈만 이용하여 수직이착륙(VSTOL) 전투기를 운용함은 물론 5~6개의 모듈을 한꺼번에 연결하여 총 길이가 1828m(6,000 feet)가 넘는 활주공간을 이용하여 일반 전투기(CTOL)는 물론 대형 수송기의 운용도 할 수 있을 것이라 합니다. 또한, 보통 수송선처럼 화물을 실을 수 있으며, 장비적재와 장비유지를 위한 278,709평방미터의 공간을 제공하며, 3천8백만 리터의 연료의 탑재는 물론 중장비를 갖춘 1개 연대급 육군병력 3천명도 한꺼번에 수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초대형 다용도 이동 기지로서의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각각의 모듈은 개인숙소, 화물운반선, 장비 정비공간, 그리고 회전익기와 수직이착륙기들을 위한 병참지원 능력을 가지게 됩니다. 5~6개의 모듈을 모두 연결 시켰을 때는 그 길이가 2km 정도에 이르며 이는 일반 전투기와 Boeing사의 C-17 수송기와 같은 대형 수송기도 이착륙이 가능할 것이라 합니다.
보통 핵추진 항공모함보다 5~6배 정도 긴 길이의 이동식 해상기지 MOB가 도대체 어떻게 이동을 하는지 궁금해 하는 분들이 있겠죠? 우선, 각각의 모듈은 독립적인 작전수행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작전지역으로 항해를 할 때는 모두 독립적으로 항해를 하여, 목적지에 도착하여 다시 도킹하게 됩니다. 각 모듈마다 독립적인 발전기, 동력장치, 화물운반, 항공관제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완전한 독립적 작전수행 능력을 갖게 될 것입니다. 정지 상태에서는 선체를 반잠수시켜 움직임을 줄이고, 항해 할 때는 다시 선체를 부상시켜 추진력을 최대화 시킨다고 합니다.
다음은 MOB 성능:
-전장: 1개 모듈 당 304m(1,000ft); 6개 모듈이 도킹했을 때 1,828m
-전폭: 152m (500ft)
-높이: 36m (120ft)
-총적재량: 군용차량(전차, 트럭 등) 3,500대, 화물 컨테이너 5,000개, 전투기/비행기 150대
-총면적: 5백만 평방피트(464,515평방미터); 3.5백만 평방피트 가량의 스토리지 공간
-수송선과 전투함을 정박을 위한 10개의 다기능 선착장
-15m 높이의 파도와 100노트의 강풍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
미국 국방연구원(IDA: Institute for Defense Analysis)에서는 비용 대 효과가 높지 않다고 평가를 했지만, 현재 Office of Naval Research, DARPA(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 업체 등에서 연구활동이 계속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MOB에 대한 개념설계는 여러 업체에서 제안을 했다고 합니다. McDermott Company의 자회사인 BWX Technologies에서 제안한 Joint Mobile Offshore Base 개념을 검토해 보면 MOB가 정말 무시무시한 전진기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혹 이 계획이 실현된다면 미국이 현재 이용하고 있는 한국, 일본, 독일, 영국 등에 있는 미군 기지들의 숫자가 현저히 줄어들 가능성도 있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정치적 경제적 차원에서 미국이 자국의 군대를 한국이나 일본에 주둔시킬 수 없을 경우에 MOB 개발에 박차가 가해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cont.escTitle > 미국nav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미해군 상륙지휘함 Mount Whitney호 러시아 흑해함대 Sevastopol 기지에 도착 (0) | 2009.04.09 |
---|---|
[스크랩] 미해군 Military Sealift Command 급유함 SS Chesapeake (T-AOT 5084) (0) | 2009.04.09 |
[스크랩] 미해군의 차기구축함계획 DD-21(줌왈트급) (0) | 2009.04.09 |
[스크랩] 미 해군 구축함에 탑재된 DASH (0) | 2009.04.09 |
[스크랩] 미해군 연안 전투함 프리덤. (0) | 2009.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