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스함을 실제로 직접 보기는 '율곡이이함'이 두번째입니다..
1994년 무렵 일본 가마쿠라시(鎌倉市) 사가미만(相模灣) 에서 있었던 국제 관함식 함정공개에서 일본 해상자위대 이지스함 콩고우(金剛)급 1번함인 DDG-173 콩고우(金剛)를 실제로 보고 승함까지 했습니다.
당시에는 필름 카메라를 사용했었는데 콩코우 근무 사관들과 나란히 사진을 찍기도 했었고 승함기념 스탬프를 찍고 좋아하기도 했죠..
유감스럽게도 KDX-Ⅲ 1번함이면서 2008년 12월 전력화된 세종대왕함은 아직 실제로 보질 못했습니다..
일본이 1990년대 초에 이지스함을 운용하기 시작했는데 우리와는 10년 넘게 차이가 납니다..
진수식 행사전 찍은 사진이죠.. 카메라 앵글에 다 잡히지 않을 정도로 큽니다..
율곡이이함의 재원은 길이 166m, 폭 21m, 최대속력 30노트(55.5km)로 헬기 2대가 탑재된다고 나와 있군요..여담이지만 최대속력은 언론에 공개되는 것보다 빠른 경우가 많다고 하더군요..율곡이이함이 이에 해당될지 모르겠지만..
이날 진수식 때문에 평소에 외부인의 접근이 완벽하게 차단된 특수선 야드를 별 제지없이 돌아다닐 수 있었습니다.
함번 '992'가 선명하게 보입니다.
KD-1 광개토대왕급 1번함 광개토대왕함의 함번이 'DDH-971'이고 취역한 차례대로 DDH-972(을지문덕함), DDH-973(양만춘함) 순으로 나갑니다요.. DDH는 헬리콥터 탑재가 가능한 구축함이란 뜻이라고 하더군요..
KD-2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은 차례대로 975(충무공 이순신함) 976(문무대왕함) 977(대조영함) 978(왕건함) 979(강감찬함) 980(최영함)으로 나갑니다. KDX-3 이지스구축함의 경우는 DDG-991(세종대왕함) DDG-992(율곡이이함) DDG-993 순입니다..
DDG는 Guided-Missile(유도 미사일)을 운용한다는 뜻이라고 합니다..DDG-980과 991번 사이가 비어 있는데 충무공 이순신함급 개량형이 건조될 경우, 함번을 받기 위해 비워놓은 듯 합니다.
옆 선체가 제법 볼륨있게 잘 빠졌습니다..이날 진수식에 참석한 전문가의 말을 빌리면 다른 능력도 세계 최상급 수준이지만 무장능력에서는 가히 서방측 최고의 군함이라고 추켜세우더군요..미국처럼 이지스 순양함을 마구마구 찍어낼 수 있는 경제능력이 안되기 때문에 숫적으로 적은 선체에 최대한 많은 무기를 탑재할 수밖에 없다는...
배포된 자료를 보면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함, 대공, 대잠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율곡이이함은 이지스 전투체계를 탑재해 공중과 해상의 1천여개의 표적을 동시에 탐지 추적, 이 중 20여개의 표적을 동시 공격할 수 있습니다.
함대공 SM-2 미사일과 국내 개발된 '해성' 함대함 미사일 등 120여기의 미사일과 장거리 대잠어뢰, 경어뢰, 근접방어무기체계인 '골키퍼' 등도 탑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적의 전파를 탐지 추적하고 무력화하는 전자전 장비인 '소나타'를 비롯한 SM-2 미사일 발사용 수직발사대를 갖췄죠..
아직 진수식이 있기 전 사진
선박은 진수된 후 선체 아래는 항상 물에 잠겨 있기 때문에 수리를 위해 드라이독에 올려질때가 아니면 추진기를 보기가 좀처럼 쉽지 않죠..덩치가 덩치인만큼 쌍축으로 추진됩니다...'율곡이이'란 함명이 선명합니다..
[출처] KDX-Ⅲ '율곡이이함' 마침내 진수되다..두번째|작성자 마이어
'$cont.escTitle > 대한민국nav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LPH - 6111독도함 (0) | 2009.03.17 |
---|---|
[스크랩] 포술 최우수 전투함 <왕건>함 (0) | 2009.03.17 |
[스크랩] 참수리 24시 (0) | 2009.03.17 |
[스크랩] 大韓民國 海軍 (0) | 2009.03.17 |
[스크랩] 대양해군의 잠수함, 절대강자로 군림하라 (0) | 2009.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