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현대전은 '보이지 않는 전쟁'이다. 적의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스텔스 기능이 전쟁의 승패를 좌우한다. '먼저보고 먼저 쏘는' 쪽이 이기는 시대가 된 것이다. 스텔스 기능은 전투기 뿐만 아니라 함정에도 적용된다. 해양에서 스텔스 기술은 잠수함 분야에서 시작해 최근에는 전투함으로 확대되고 있다.

 

함정에서 스텔스 기술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레이더 파의 반사면적을 감소시키고 함정의 표면에 레이더 파를 흡수하는 특수 재질과 특수 페인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선체의 표면적을 최소한으로 줄이거나 경사지게 설계해 레이다파를 교란시키는 것이 스텔스 기술의 관건이다. 함교와 마스트를 엘리베이터 식으로 설계해 필요시에만 노출시키도록 한다. 또 미사일을 비롯해 함정의 무장장비를 수직으로 설계해 갑판 아래로 넣는다. 그리고 선체 표면에 전파 흡수 구조재를 쓰고 특수 페인트를 사용해 최대한 레이더 파를 흡수한다.

두번째는 적외선 신호를 줄이는 것이다. 적외선 추적장치가 있는 미사일의 공격에 대처하기 위해 엔진의 냉각 시스템을 개선하고 배기가스를 외부공기나 해수로 냉각시키는 것이다.

세번째는 적 잠수함의 초음파 탐지기에 잡히지 않도록 음향을 줄이는 것이다. 엔진소음을 줄이기 위한 소음장치, 선체복합소음감쇄장치(Master Noise Suppresion System)을 써서 함정에서 나오는 소음을 최소한으로 줄인다. 반사음을 교란시키는 선체 설계기술도 적용된다.

위에서 열거한 스텔스 기능이 그대로 적용된 함정이 미국 록히드 마틴사가 개발한 시 섀도우(Sea shadowㆍIX-529)다. 이 배는 F-117전폭기와 비슷한 '다이아몬드 커팅(cutting)'외관을 갖고 있다. 레이더 반사 면적을 줄이는 설계기술이 F-117과 비슷하게 적용됐기 때문이다. 특이한 외관으로 007 영화에 나와 화제가 되기도 했다. 미 국방부와 록히드 마틴이 '차세대 스텔스함'으로 부르는 이 함정은 엔진이 배위에 붙어 있다. 소음을 줄여 잠수함의 초음파 탐지기에 잡히지 않는다. 가운데가 뚫려 있어 배가 지나간 흔적이 덜 남는다. 또 A자형 프레임 안쪽에서 배기가스가 방출돼 열적외선 무기에 포착되지 않는다. 첨단 스텔스 기술이 총 동원된 함정이다. 그러나 이 배는 실험선에 불과하다. 1985년 미해군에 인도돼 샌디에고 미 해군기지에서 비밀리에 스텔스 실험을 하다 1994년에 일반에 공개됐다. 2006년 임무를 끝냈으며 해양박물관에 전시될 예정이다. 그러나 앞으로 첨단 레이더와 미사일을 장착한 바다의 괴물로 진화될것이 확실시 된다. 563톤으로 길이 45m, 폭21m에 최고속도는 10노트(시속19km).

'시 섀도우' 가 실험선이라면 스웨덴의 비스비급 코르벳은(Visby Class Corvett) 실전에 배치된 최고 성능의 스텔스 함이다. 레이다 피탐지율이 최고수준이다. 소리없이 다가와 미사일을 발사하고 소리없이 사라지는 가공할 위력을 갖추고 있다. 해안이 선이 복잡한 스웨덴 연근해 작전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완벽한 스텔스 기능으로 섬이나 복잡한 해안선 사이에 숨어 있다가 적 함대가 가까이 오면 공격을 퍼붓고 사라지는 작전이 가능하다. 스웨덴과 지형이 비슷한 우리나라 서해안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작전개념이다.

비스비는 스웨덴 콕큠사( http://www.kockums.se)가 1986년부터 개발에 들어가 1번함인 K31이 2000년 6월에 진수식을 가졌다. 현재 5척이 건조돼 실전에 배치됐다. 비스비 함은 70km이내의 적함을 탐지하지만 적함은 20km이내로 접근해야 비스비함의 탐지가 가능하다. 레이더 교란시스템을 작동할 경우 발각되지 않고 적함 10km까지 접근이 가능하다. 말 그대로 '먼저 보고 먼저 쏘는' 것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600t급의 초계함이지만 크기에 비해 화력도 막강하다. 대잠 헬기를 탑재하고 있으며 분당 220발을 발사하는 보포스 57㎜ 함포는 기본이다. 정확성을 자랑하는 대함, 대공 미사일 수직발사대가 있다. 또 대잠수함용 어뢰와 다목적 로켓포가 갑판 안에 숨어 있다. 최고속도는 35노트, 길이 72m, 폭 10m로 42명의 승조원이 탑승한다.

글=주기중 기자, 동영상ㆍ사진=히스토리, 콕큠사 홈페이지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008년 6월2일 아라비아해에서 프랑스 군수지원함 A-630에게 보급훈련을 하고 있는 독일의 프리깃 F-210(좌)과 미국의 알레이벅급 구축함 DDG-86.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네이버와 군사사이트등에서 정보&사진등을 역어 올려보았습니다. 미해군....무슨 상상을 하던 그이상을 보여주는 전력이네요.. ---------LA급원잠-------- 대잠수함전, 정보수집, 무력과시, 특수부대 수송, 기습작전, 순항미사일에 의한 대지(對地) 공격, 기뢰부설, 수색과 구조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종전의 스터전급이나 벤자민프랭클린급 잠수함 등에 비하여 월등하게 빠르고, 소음이 작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시울프급이 등장하기 이전까지는 같은 형태의 잠수함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앞선 모델 중의 하나였다. 오늘날의 상황에서도 해군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어, 아직도 미국 해군 공격잠수함의 주력으로 활동하고 있다. 원래는 냉전시대 미국 항공모함에 대한 공격을 주임무로 하던 구 소련 잠수함과 수상 기동함대(SAG:Soviet surface action group) 내의 주력함정들을 공격·격침시키기 위한 대잠수함전 및 대수상함전 수행을 임무로 하는 공격용 잠수함으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냉전시대가 끝난 후 구 소련의 해군을 계승한 러시아의 해군력이 질적·양적으로 아주 낮아진데다가, 지구촌 각지에서 발생하는 분쟁에 대한 미국의 '평화유지'를 명분으로 한 개입이 증가하면서 그 임무의 중점이 다른 분야로 옮겨진 것이다. 뉴포트 뉴스 조선소와 제너럴다이내믹스의 전자선박부에서 건조되었다. 제1호함인 로스앤젤레스호는 1976년에 취역하였고, 마지막으로 건조된 제 51호함 체인(Cheyenne)호는 1996년에 취역하였다. 2001년 현재 미 해군은 51척의 로스앤젤레스급 원자력잠수함을 보유하고 있다. 이 가운데 16척은 태평양함대 소속이며, 32척은 대서양함대 소속이다. 1991년의 걸프전쟁 때는 9척의 로스앤젤레스급 원자력잠수함이 참전하였는데, 이중 2척에서 토마호크미사일이 발사되었다. 승무원은 장교 14명과 수병 140명 등 총 154명이다. 함 내에는 이들에게 90일 이상 식사를 제공할 수 있는 식량을 보관할 수 있다. 바닷물을 담수로 바꾸어 주는 2개의 담수화 플랜트가 있어, 마실 물 등의 생활용수와 원자로의 가동에 필요한 물을 무한정 공급할 수 있다. 동력원인 원자로는 1회의 핵연료 충진으로 10년 동안 계속 사용할 수 있으며,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는 보조 전원공급 장치로 일반 발전기도 1대 장비하고 있다. 제원은 길이 110.3m, 너비 10m이며, 배수량은 수상에서 6,080t, 수중에서 6,927t이다. 최대 수중속도는 30kn(55.56㎞/h) 이상을 낼 수 있다. 전 장 110.3 m 선 폭 10.1 m 엔 진 1 S6G Nuclear Reactor . 2 Turbine, 1 Shaft 엔진출력 30,000 HP 최대속도 28.0 knot 승 무 원 140 명(장교 12명) 항속거리 13 년 ▶ 무장 S L C M 21 inch 어뢰 발사관 4문, UGM-109 Tomahawk 26발 (SSN-688 ~ 718) VLS 12문, UGM-109 Tomahawk 24발 (SSN-719 ~ 725, SSN-750 ~ 773) 대응 장비 Emerson Electric MK 2 어뢰 디코이 발사기 8문 어 뢰 21 inch 전방 어뢰 발사관 4문, MK 48 어뢰, MK 40/67 기뢰 함명 함번호 제작사 모항 취역일 ------------------------------------------------------------------ 전기형 ---------------------------------------------------------- Los Angeles SSN 688 Newport News 진주만 13 Nov 1976 Baton Rouge SSN-689 Newport News 노포크 25 Jun 1977 Philadelphia SSN 690 Electric Boat 그로톤 25 Jun 1977 Memphis SSN 691 Newport News 그로톤 17 Dec 1977 Omaha SSN-692 Electric Boat 진주만 11 Mar 1978 Cincinnati SSN-693 Newport News 노포크 10 Jun 1978 그로톤 SSN-694 Electric Boat 그로톤 08 Jul 1978 Birmingham SSN-695 Newport News 진주만 16 Dec 1978 New York City SSN-696 Electric Boat 진주만 03 Mar 1979 Indianapolis SSN 697 Electric Boat 진주만 05 Jan 1980 Bremerton SSN 698 Electric Boat 진주만 28 Mar 1981 Jacksonville SSN 699 Electric Boat 노포크 16 May 1981 Dallas SSN 700 Electric Boat 그로톤 26 Jun 1981 La Jolla SSN 701 Electric Boat 샌디에고 30 Sep 1981 Phoenix SSN-702 Electric Boat 노포크 12 Dec 1981 Boston SSN 703 Electric Boat 그로톤 30 Jan 1982 Baltimore SSN 704 Electric Boat 24 Jul 1982 City Of Corpus Christi SSN 705 Electric Boat 그로톤 08 Jan 1983 Albuquerque SSN 706 Electric Boat 그로톤 21 May 1983 Portsmouth SSN 707 Electric Boat 샌디에고 01 Oct 1983 Minneapolis-St. Paul SSN 708 Electric Boat 노포크 10 Mar 1984 Hyman G. Rickover SSN 709 Electric Boat 노포크 21 Jul 1984 Augusta SSN 710 Electric Boat 그로톤 19 Jan 1985 San Francisco SSN 711 Newport News 진주만 21 Apr 1984 Atlanta SSN 712 Newport News 노포크 06 Mar 1982 Houston SSN 713 Newport News 샌디에고 25 Sep 1982 노포크 SSN 714 Newport News 노포크 21 May 1983 Buffalo SSN 715 Newport News 진주만 05 Nov 1983 Salt Lake City SSN 716 Newport News 샌디에고 12 May 1984 Olympia SSN 717 Newport News 진주만 17 Nov 1984 Honolulu SSN 718 Newport News 진주만 06 Jul 1985 Providence SSN 719 Electric Boat 그로톤 27 Jul 1985 Pittsburgh SSN 720 Electric Boat 그로톤 23 Nov 1985 Chicago SSN 721 Newport News 진주만 27 Oct 1986 Key West SSN 722 Newport News 진주만 12 Sep 1987 Oklahoma City SSN 723 Newport News 노포크 09 Jul 1988 Louisville SSN 724 Electric Boat 진주만 08 Nov 1986 Helena SSN 725 Electric Boat 진주만 11 Jul 1987 Newport News SSN 750 Newport News 노포크 03 Jun 1989 후기형 ---------------------------------------------------------- San Juan SSN 751 Electric Boat 그로톤 06 Aug 1988 Pasadena SSN 752 Electric Boat 진주만 11 Feb 1989 Albany SSN 753 Newport News 노포크 07 Apr 1990 Topeka SSN 754 Electric Boat 진주만 21 Oct 1989 Miami SSN 755 Electric Boat 그로톤 30 Jun 1990 Scranton SSN 756 Newport News 노포크 26 Jan 1991 Alexandria SSN 757 Electric Boat 그로톤 29 Jun 1991 Asheville SSN 758 Newport News 진주만 28 Sep 1991 Jefferson City SSN 759 Newport News 샌디에고 29 Feb 1992 Annapolis SSN 760 Electric Boat 그로톤 11 Apr 1992 Springfield SSN 761 Electric Boat 그로톤 09 Jan 1993 Columbus SSN 762 Electric Boat 진주만 24 Jul 1993 Santa Fe SSN 763 Electric Boat 진주만 11 Dec 1993 Boise SSN 764 Newport News 노포크 07 Nov 1992 Montpelier SSN 765 Newport News 노포크 13 Mar 1993 Charlotte SSN 766 Newport News 진주만 16 Sep 1994 Hampton SSN 767 Newport News 노포크 16 Nov 1993 Hartford SSN 768 Electric Boat 그로톤 10 Dec 1994 Toledo SSN 769 Newport News 그로톤 24 Feb 1995 Tucson SSN 770 Newport News 진주만 18 Aug 1995 Columbia SSN 771 Electric Boat 진주만 09 Oct 1995 Greenville SSN 772 Newport News 진주만 16 Feb 1996 Cheyenne SSN 773 Newport News 노포크 13 Sep 1996 ------------- 씨울프급 -------------- 엔 진 S6W 원자로 1 기 터빈 2 기 (마력 :52,000 shp) 보조 터빈 : Westinghouse 잠항 모터 사용기간 : 15년 제원 전 장 : 353 ft. 선 폭 : 40 ft. 배수량 : 잠항 배수량 : 8,060 ton, 수면 배수량 : 7,700 ton 속 도 : 30노트 이상(잠항시) 무소음 운행시 (20 노트) 잠수 깊이 : 1000 ' 이상 승무원 장교 : 15, 사병 : 101 SEAWOLF의 편재 Name 취역일 현재 위치 SSN.21 Seawolf 1997년 7월 19일 대서양 함대 모항 Groton,CT SSN.22 Connecticut 1998년12월 11일 대서양 함대 모항 Groton,CT SSN.23 Jimmy Carter 2003 무장 및 센서 개선된 로스엔젤레스급과 마찬가지로, 씨울프는 어떤 외부 무장도 갖지않는다. 이 잠수함은 Raytheon사의 토마호크순항미사일(TLAM-N)-, 토마호크 지대지 대함미사일(TASM), 하푼미사일, 660mm 발사관에서 발사되는 Mk-48 ADCAP 어뢰를 장착하고 있다. 이 경우 하푼 미사일은 어뢰 발사관을 통해, 토마호크 미사일은 TLAM발사관을 통해 발사된다. 어뢰 발사관은 8개로 여기서 하푼 미사일 ,Mk-48 ADCAP,ㅡ 혹은 토마호크도 발사할 수 있다. WLY-1은 어뢰 유도체로서 역시 어뢰 발사관에서 발사된다. WLQ-4(V)1은 어뢰 요격역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투 데이터 시스템은 모토롤라사의 68030프로세서로 Network를 구성한 Lockheed Martin BSY-2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무기관재는 FCS 자체에 의해서 이뤄진다. 음향탐지 시스템 일체는 선두에 있는 TB-16과 TB-29에 있다. 수표면에서의 감시는 BPS 15A로 항법용레이더로도 이용된다. ------버지니아급------ 1990년대 초 소련의 붕괴로 인해 씨울프급의 대량생산의 불가능으로 인한 공백을 매우기 위함과 동시에, 노후화 되는 LA 급의 후속함으로 사용 되기 위해서 개발이 되었다. 구소련의 붕괴로 대규모 공격 원잠을 상대로한 수중전의 양상은 거의 제로에 가깝게 되었고 결국 연안에서 토마호크를 쏘는 등의 지상타격 임무에 초점이 맞춰져 잠수함이 변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미 해군은 여기 새로 만들어지는 버지니아급에게 VLS 와 어뢰 발사관을 사용하는 다수의 토마호크로 육상타격 임무, 유도 어뢰로 대잠수함, 수상함 공격임무, SEAL 팀의 작전을 위한 모함역할, 고성능 소나를 이용한 수상함과 항모를 보호 따위의 임무를 부여하게 된다. 버지니아급은 고가의 씨울프급의 영향으로 코스트 억제에 따라 속력과 잠항심도에서 기존의 LA 급과 거의 차이는 없다. 원자로는 버지니아급을 위하여 GE 사가 개발한 S9G 차세대 가압수형으로 기존 원자로에 비하여 소형이지만 핵폭탄에 가까운 90% 농축 우라늄을 사용하여 퇴역할 때 까지 교체없이 사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씨 울프급과 마찬가지로 펌프제트 추진기를 사용하여 디젤 잠수함 뺨치는 정숙성을 자랑한다고 한다. 버지니아급은 기본적으로 LA 급과 같은 무장을 한다. 함수 소나돔 직후에 533mm 어뢰발사관 4문과, Mk-36 토마호크 발사용 VLS 12기, 그 외에 하푼, 기뢰 등 LA 급에서 운용하던 무장은 거의 그대로 라고 보면 된다. 이 잠수함의 전투지휘시스템은 광섬유를 사용하는 콘솔로 함내를 LAN 으로 연결하고 Q-70 범용 칼러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콜솔로 통합이 되어있다. 전투시스템은 씨울프의 BSY-2 보다는 염가형으로 탑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버지니아급의 소나 시스템은 크게 함수의 구형소나, 선체 측면의 프랭크 어레이 소나, 견인 소나로 구성이 된다. 함수의 구형 소나는 직경 10m 대형 소나돔 내부에 하이드로폰이 있으며, 180도 이상의 반구형으로 오는 목표를 탐지가 가능하다. 선체 측면에는 경량 하이드로폰을 사용하는 프랭크 어레이 소나가 있다. 버지니아급은 처음부터 SEAL 팀 수송을 위한 임무도 부여 받았으므로 한번에 9명의 씰팀을 발진하거나 회수가 가능하며, ASDS (Advanced SEAL Delivery System) 의 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버지니아 급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자동화 통제 시스템을 도입하여 승무원은 LA 급에 비해서 대략 20명 가까이 감소가 되었다. 현재 버지니아 급은 30척을 건조 목표로 새우고, 1번함이 2004년에 취역할 예정이다 함명 함번호 제작사 취역일 ------------------------------------------------------------------ Virginia SSN-774 Electric Boat Jun 2004 Texas SSN-775 Newport News Jun 2005 Hawaii SSN-776 Electric Boat Jan 2007 SSN-777 Newport News Jun 2008 -------------- 오하이오급 -------------- 제 원 승조원 : 15명(장교) + 139명(수병) - 2개 함대로 구성 전장 : 560.0' 함폭(Beam) : 42.0' 배수량 : 18,750톤(잠항시), 16,775톤(수표면) 추진,성능 원자로 : GE사의 가압경수형원자로 1개 S8G 형 (자연 순환 원자로) 터빈 : 2 (하나는 저속주행용, 하나는 고속 주행용) 이동거리 : 재충전 없이 9년간 이동가능 샤프트 : 1 최고속도 : 잠항시 20노트이상 최고잠항심도 : 1,180' 이상 각 함대별 편재 잠수함 함명 취역일자 현위치 USS Ohio (SSBN-726) 1981년11월11일 태평양 함대 제 17 잠수함 함대 모항 ; Bangor USS Michigan (SSBN-727) 1982년 9월11일 태평양 함대 제 17 잠수함 함대 모항 ; Bangor USS Florida (SSBN-728) 1983년 1월18일 태평양 함대 제 17 잠수함 함대 모항 ; Bangor USS Georgia (SSBN-729) 1984년 2월11일 태평양 함대 제 17 잠수함 함대 모항 ; Bangor USS Henry M. Jackson (SSBN-730) 1984년10월 6일 태평양 함대 제 17 잠수함 함대 모항 ; Bangor USS Alabama (SSBN-731) 1985년 3월25일 태평양 함대 제 17 잠수함 함대 모항 ; Bangor USS Alaska (SSBN 732) 1986년 1월25일 태평양 함대 제 17 잠수함 함대 모항 ; Bangor USS Nevada (SSBN 733) 1986년 8월16일 태평양 함대 제 17 잠수함 함대 모항 ; Bangor USS Tennessee (SSBN-734) 1988년12월17일 대서양 함대 제 20 잠수함 함대 모항 : Kings Bay USS Pennsylvania (SSBN-735) 1089년 9월 9일 대서양 함대 제 20 잠수함 함대 모항 : Kings Bay USS West Virginia (SSBN-736) 1990년10월20일 대서양 함대 제 20 잠수함 함대 모항 : Kings Bay USS Kentucky (SSBN-737) 1991년 1월13일 대서양 함대 제 20 잠수함 함대 모항 : Kings Bay USS Maryland (SSBN-738) 1992년 1월13일 대서양 함대 제 20 잠수함 함대 모항 : Kings Bay USS Nebraska (SSBN-739) 1993년 1월10일 대서양 함대 제 20 잠수함 함대 모항 : Kings Bay USS Rhode Island (SSBN-740) 1994년 1월 9일 대서양 함대 제 20 잠수함 함대 모항 : Kings Bay USS Maine (SSBN-741) 1995년 1월29일 대서양 함대 제 20 잠수함 함대 모항 : Kings Bay USS Wyoming (SSBN-742) 1996년 1월13일 대서양 함대 제 20 잠수함 함대 모항 : Kings Bay USS Louisiana (SSBN-743) 1997년 9월 6일 대서양 함대 제 20 잠수함 함대 모항 : Kings Bay 미사일 및 무장 18척의 오하이오급중 10척은 대서양함대 소속(Georgia주 King's Bay를 모항 : 734부터 743 까지)로, 최신형의 D-5 트라이던트Ⅱ 미사일을 장착하고 임무수행중에 있으며, 태평양함대 소속( Washington주 Bangor를 모항으로 한다.)의 나머지 8척(SSBN 726 ∼733 호 까지) C-4 트라이던트Ⅰ미사일을 장착하고 있었으나 1996년 미해군은 이들잠수함에 (C-4 트라이던트Ⅰ미사일을 적재한 잠수함) 대한 D-5 트라이던트Ⅱ 미사일 장전 작업을 시작했다. 미 국무성은 두 종류의 SLBN 미사일 체제를 유지한다는 것은 쓸모 없는 낭비라는 이유를 들어 신형인 D-5 체제 미사일로 바꿀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만일 D-5 트라이던트Ⅱ생산을 줄일 경우 California아의 산업기초를 보호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주장 하였다 (사실은 D-5 생산라인을 유지하려는 욕심에서 나온 주장이다.) 만일 미정부가 D-5체제로의 변화를 거절하지 않았다면 잠수함내 남아있는 C-4미사일에 대한 회수와 네 대의 잠수함에 대한 D-5의 교체로 인해 40억달러의 돈을 낭비해야 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값비싼 현대화 전략에도 불구하고 C -4는 현재 아무런 이상없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전 SSBN-726 오하이오급 잠수함은 총 24발의 MIRV탄두가 장착된 SLBM을 장착하고 있어 단지 발사체의 갯수만으로도 이전의 폴라리스급 SSBN과 포세이돈급 SSBN에 비해 50%증가된 적재량을 가진다. 오하이오급 잠수함은 열 두개가 한줄로 구성된 두줄의 탄도 미사일 발사관을 갖고 있다. 오하이오급 잠수함에 장치된 Mark 98 미사일 콘트롤 시스템이 24기의 핵미사일을 콘트롤 한다. 이 콘트롤 시스템은 Sperry Univac로부터의 디지탈 컴퓨터 에 의존한다. 오하이오급 잠수함이 전략적 위치가 중요하듯이 적에게 있어 오하이오급 잠수함은 공격 1호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적 잠수함 및 적함에 대한 능력은 무엇 보다 중효하게 여겨진다. 오하이오급 잠수함은 21" MK 68 어뢰 발사관 4개를 갖추고 있으며 여기서 방출되는 어뢰는 Gould사의 Mk48어뢰다.이 어뢰는 Mark 118 디지탈 어뢰 발사 관제 시스템에 의해 조정된다. 마크 48어뢰는 빠르고, 깊이 잠수하는 핵잠수함과 고성능의 수상함에 대해 활용하기에 적합한 어뢰다. 이 어뢰는 유도방식에 의해 혹은 유도 방식없이 사용 가능하며 유도시스템은 자동 혹은 수동 음향 회규에 의해 운영된다. 이뢰의 사거리는 40 노트의 속도로 50km 이상 혹은, 55노트의 속도시 40km의 사정거리를 가진다. 어뢰는 290kg의 탄두를 3000피트 깊이까지 운송할수 있다.이 어뢰의 다중 재공격 모드는 어뢰가 목표를 놓지거나 상실했을때 사용된다.

 

http://www.kdnnews.co.kr 펌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