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쌍계사]

모든 고뇌를 벗어나고자 한다면
마땅히 만족할 줄 알라.
넉넉함을 알면 부유하고 즐거우며 평화롭다.

그런 사람은 비록
맨땅에 누워 있을지라도 편안하고 즐겁지만,
만족할 줄 모르면
설사 천상에 있을지라도 흡족하지 않을 것이다.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가난한 듯 하여도 사실은 부유하다.
이것을 가리켜 지족(知足)이라 한다.

[아함경]


세상에는
자기의 욕심에 만족하는 사람은 아주 적고
욕심을 벗어나려고 애쓰는 사람도 흔하지 않다.
그저 욕심을 채우려고 애쓰다가
목숨을 마치는 사람이 많다.

설사 하늘에서 보물이 비처럼 쏟아지더라도
욕심 많은 사람은 만족할 줄 모른다.
자기 집 창고에 황금이 태산처럼 쌓였다 한들
욕심 많은 사람이 그것으로 만족할 수 있을까?

[사주경(四洲經)]



욕심을 버리는 가장 좋은 방법이 만족이다.
죽지 않을 만큼 먹을 수 있고, 입을 수 있고, 잘 곳이 있다면,
최소한의 소유를 가지고 있다면
누구든 바로 그 자리에서 행복할 수 있다.

사실 최소한의 소유만 보장이 된다면
누구에게나 행복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최소한의 의식주의 해결,
그 이상을 가지고도 불행한 사람이 있다면
그의 불행은 물질의 문제가 아니라 마음의 문제다.

사실 의식주를 어느 정도 해결하고 사는 우리들이
이 세상에서 해야 할 몫은
보다 많이 벌고 쌓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마저도 소유하지 못한 수많은 이들을 위한
나눔과 자비를 실천하는데 있다.

그러나 이 세상에는
죽을 때 까지 욕심을 채우고 채우고
또 채우기만 하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그런 사람은 설사 하늘에서 보물을 비로 뿌려 주더라도,
창고에 황금이 태산처럼 쌓였다고 하더라도
끊임없이 또 다른 욕심을 채우면서 죽어 갈 것이다.

이 말이 다른 미련한 사람들 이야기 같겠지만
사실 지금 우리들의 삶의 모습이다.
지금 이 자리에서 당장에 이런 욕심충족의 삶을 끝장내고
만족과 청빈의 삶으로 돌아서지 않는다면
우리의 남은 생은 더욱 비참해지고 말 것이다.

참된 부자는 욕심을 많이 성취한 사람이 아니라
욕심을 많이 놓아버린 사람이며,
소유가 많은 사람이 아니라 만족이 많은 사람이다.

만족할 줄 모르면
설사 이 세상 모든 것을 다 준다 하더라도 흡족하지 않지만,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아무리 가난해도 사실은 부유하다.

만족함을 아는 것,
지족이야말로 행복의 지름길이요,
인류를 살아 온 모든 성인들의 어진 벗이다.
출처 : 몸과 마음의 자유
글쓴이 : 부천잉크가이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