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식 고치집신 (叩齒集神)
양다리를 꼬고 앉아서
눈을감고 마음을 가라 않힌다.
정신을 집중하여
아래윗니를 딱딱 부딪히기를 36회 반복한다.
뒤이어 양손바닥으로 뒤통수를 감싸쥐고
9회 숨을 들이쉬고 내쉰다.
양손을 조금 앞으로 이동시켜 양쪽귀를 덮고
집게손가락으로 가운뎃 손가락에 겹쳤다가
미끄러뜨리며 뒤통수뼈를 탁탁 퉁기는데
좌우각각 24회씩 왕복한다.
__제2식 요천주 (搖天柱)__
양다리를 꼬고 편한 자세로 앉아서
허리를 펴고 양손을 맞잡고서
고개를 좌우로 각각 24회 돌린다.
목운동에 따라 어깨도 함께 움직인다
__제3식 설교수인 (舌攪漱咽)__
양다리를 꼬고 앉아서 주먹은 쥔다.
양손을 머리위로 뻗어 올린 채
입안에서 혀를 상하 좌우로 움직여
구개(입천장)와 아래윗 잇몸,
아래윗니 안팎을 문지른다.
입안에 침이 가득 고이면
꿀쩍꿀쩍 양치질을 한 후
세번으로 나누어 삼킨다.
혀의 동작은 36회 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횟수에 구애됨이 없이
타액이 그득 찰 때까지 하면 된다.
___제4식 마신당 (摩腎堂)___
양손바닥이 뜨거워 지도록 맞비빈 후
그 손으로 허리 뒤쪽 신장부위 (신당)를
아래위로 천천히 36회 마찰한다.
다음에는 양손을 무릎위로 거두어
주먹을 쥔 채
호흡과 함께 하복부 단전이
점점 뜨거워 지는 것으로 의념한다.
___제5식 단관녹로___
고개를 숙이고 왼손을 허리에 댄 채
왼쪽 어깨관절을 회전시키면서
흔들기를 36회 반복한다.
다음에는 좌우 손을 바꾸어
오른손을 허리에 댄 채
어깨를 회전 시키면서
흔들기를 36회 한다.
녹로는 도르래인데
도르래바퀴 돌리듯 어깨를 돌린다는 뜻이다.
___제6식 좌우녹로___
양손을 허리에 댄 채
양쪽어깨를 동시에 회전 시키면서
흔들기를 36회 한다.
이때 단전의 뜨거운 기운이
어깨관절을 거쳐 뒤통수로 들어가는 것으로
상상한다.
코로 멁은 기를 들이마신 후
양다리를 앞으로 쭉 뻗는다.
___제7식 좌우안정 (左右按頂)___
양다리를 뻗고 앉은 자세로 해도 되고
다리를 꼬고 앉은 자세로 해도 된다.
양손을 맞비비면서
커허'소리를 내며
숨을 토해내기를 5회 반복한다.
다음에는 양손을 맞잡거나 깍지를 끼고
양팔을 머리위로 뻗어 올려
손바닥을 위로 향하는데
마치 하늘을 떠받쳐 올리는 기분으로
3회에서 9회까지 반복한다.
___제8식 구반 (駒攀)____
고개를 숙이고
양손으로 발바닥을 거머쥐고서
끌어당기기를 12회 한다.
뻗었던 양발을 거두어
양다리를 꼬고 단정하게 앉아서
입안에 고인 침을 꿀쩍거려 양치질 한 후
세번으로 나누어 삼킨다.
다음에는 제5식과
제6식의 녹로(어깨 돌리기)를
각각 24회 한다.
마지막으로 잠시 호흡을 정지한 채
단전의 뜨거운 기운이
온몸으로 퍼지는 것으로 상상한다.
'인연과 정신세계 > 명상.참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땡볕 아래서 ............... 2007.11.02 07:22:52 | 조회 : 173 (0) | 2009.10.23 |
---|---|
[스크랩] 바람의 종 (0) | 2009.10.12 |
[스크랩] 명상음악 17곡 모음 (0) | 2009.09.01 |
[스크랩] 명상의 방법 (0) | 2009.08.28 |
[스크랩] 마음알아차리기 - 명상법 (0) | 2009.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