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1_logo   2013.12.20

 

적 어뢰 무력화하는 자항식기만기 개발

방사청, 3년 간 290억원 투자…2015년 전력화

 

 

 

(서울=뉴스1) 김정욱 기자 = 해군의 울산-I급 이상 수상함, 장보고-II급 이상 잠수함 등에서 운용할 수 있는 자항식기만기 체계개발이 20일 완료됐다.


그 동안 해군은 적 어뢰 공격에 대응할 만한 방어용 무기체계가 제한된 상황에서 부유식기만기만 사용해 적 어뢰 경보시스템 및 대응체계를 운용해 왔다.


천안함 피격 사건 이후 적 어뢰에 대한 함정의 대응능력이 더욱 중요해짐에 따라 방위사업청은 적 어뢰 공격으로부터 함정의 생존성 향상을 위해 자항식기만기를 2010년부터 약 3년간 290억원을 투자해 개발했다.


방사청이 개발한 자항식기만기는 수상함용과 잠수함용으로 구분된다.


수상함용 자항식기만기는 아군 수상함의 추진기(프로펠러) 소음보다 훨씬 큰 광대역 잡음신호를 생성하면서 기동이 가능하다.


잠수함용 자항식기만기는 광대역 잡음신호 생성뿐만 아니라 적 어뢰 소나신호와 적 함정 소나신호에 대해서도 아군 잠수함 형태의 반사신호를 생성해 기동함해 아군함정의 생존성을 높였다.


방사청은 자항식기만기 체계를 2014년 후반기에 LIG넥스원과 양산계약을 체결해 2015년부터 군에 전력화할 예정이다.

 

(서울=뉴스1) 김정욱 기자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