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2020년대 잠수함 20여척 전력화
3兆 투입… 3000t급 9척 포함
해군이 2020년대에 원거리 정밀 타격이 가능한 3000t급 잠수함 9척을 포함, 총 20여척의 잠수함을 전력화 전력화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4일 "해군은 2020년부터 2030년까지 순차적으로 3000t급 차기잠수함(KSS-Ⅲ) 9척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세워놓았다"고 밝혔다. 이는 북한의 핵·미사일 공격을 선제 타격하는 ‘킬 체인’(Kill Chain) 구축과 연동되는 해상 전력 강화로 풀이된다.
군 당국자는 4일 “해군이 3조원 이상을 투입해 2020년부터 2030년까지 3000t급 잠수함 9척을 확보할 계획을 세웠다”며 “북한 등 한반도 주변의 해양 위협에 대한 억지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군은 올 1월부터 1호기 설계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3000t급 잠수함은 현재 운용 중인 1800t급(214급)이나 1200t급(209급) 잠수함과 달리 잠수함에 탑재하지 못하는 전략무기를 탑재할 수 있다. 수직발사대를 갖춰 잠대지 미사일을 통한 장거리 정밀 타격이 가능하고, 수중작전도 기존 잠수함에 비해 훨씬 장기간에 걸쳐 전개할 수 있다.
군의 한 관계자는 "1800t급만 해도 잠항시간이 1200t급에 비해 10배 정도 길다"며 "3000t급의 잠항시간은 1800t급과 비교해 10배까지는 아니더라도 그만큼 더 오래 있을 수 있다고 보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젤 엔진이 장착되는 3000t급 잠수함은 향후 창설될 3~4개의 해군 전략기동전단에 소속돼 북한 및 주변국 해양 위협에 대응한다.
총 70여척의 잠수함(정)을 보유하고 있는 북한의 경우 1990년 이후 전체 도발의 78%가 해상을 통한 것이었다. 해군은 또 북한 잠수함에 대한 대응 전력으로 2018년까지 해상초계기 20여대를 추가로 확보하기로 했다.
현재 우리 해군은 1200t급 잠수함 9척이 실전 배치하고 있고, 3척을 보유 중인 1800t급 잠수함도 2018년까지 6척을 추가로 전력화할 계획이다. 특히 북한은 로미오급(1800t급) 잠수함 20여척, 상어급(325t급) 잠수함 40여척, 연어급(130t) 잠수정 10여척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군 관계자는 "주변국 잠수함 전력의 60~70%는 유지해야 주변국과 균형을 이룰 수 있다"며 "그 정도를 목표로 대략 20척 미만 정도 갖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해군이 창설하게 될 3∼4개의 전략기동전단에 소속돼 북한 및 주변국의 해양위협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해군은 북한의 잠수함 전력에 대응하기 위해 2018년부터 해상초계기 20여대를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현재 해군은 해상초계기로 P-3C 16대를 보유하고 있지만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와 함께 해군은 5000t급 한국형차기구축함(KDDX)을 2023년 이후 6∼9척 추가로 확보한다는 계획도 세워놓고 있는 등 해상 전력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2300t급 차기호위함(FFX)도 20여척 규모로 전력화하고, 기뢰탐색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소해함과 차기기뢰부설함고 추가로 확보할 예정이다. 여기에 1만4500t급 대형수송함(LPH)과 차기잠수함구조함, 차기군수지원함, 훈련함 등도 2022년까지 확보할 계획이다.
'$cont.escTitle > 대한민국nav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해군 물개급 상륙정(LCU) (0) | 2015.01.09 |
---|---|
[스크랩]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의 제1번함 - DDH-975 충무공이순신 (0) | 2015.01.03 |
[스크랩] FF-952 서울함 (0) | 2014.12.17 |
[스크랩] 울산급 호위함 중기형인 5번함 - 경북함 ( FFK-956 ) (0) | 2014.12.17 |
[스크랩] 장보고급 잠수함 (0) | 201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