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에 보내려던 10억원대 트랙터, 반년째 방치
北에 보내려던 10억원대 트랙터, 반년째 방치입력 2019.10.10 04:31 전농, 농민에 모금해 26대 마련… 對北제재 걸려 북에 전달 못해 4월 행사 후 임진각에 세워둬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이 4·27 판문점 선언 1주년을 맞아 북한에 보내려던 '통일 트랙터' 25대(10억원 상당)가 경기 파주시 옛 미군 기지 캠프에드워즈 부지에 방치돼있는 것으로 9일 확인됐다. 전농은 지난해 10월부터 '통일 농기계 품앗이운동'을 벌여 모금한 돈으로 대당 4000만원짜리 트랙터 26대를 마련했다. 남측 트랙터로 북녘 농토를 갈고, 북측의 토종 종자 등을 남측이 받는 방식으로 남북 교류의 물꼬를 트겠다는 취지였다. ![]() 그러나 트랙터는 전략물자로 분류되기 때문에 대북 제재 국면에서 유엔(UN)의 허가 없이 북한에 보낼 수 없다. 북한에 트랙터를 전달할 방법이 마땅치 않자 전농은 지난 4월 27일 파주 임진각 평화누리공원에 트랙터를 끌고 가 기념 행사를 한 뒤 주차장에 트랙터를 세워둔 채 해산했다. 임진각은 평일에 1000여명, 주말에는 3000~5000여명의 관광객이 찾는 파주의 대표적인 관광지다. 파주시는 '미관을 해친다'는 주민들과 상인들의 민원이 잇따르자 전농 측에 수차례 자진 철거를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그러나 전농이 계속 트랙터를 방치하자 파주시는 지난 7월 말 전농을 불법점용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전농은 경찰, 파주시와 협의한 끝에 임진각에 트랙터를 방치한 지 넉 달 만인 지난달 초 파주시가 소유한 옛 캠프에드워즈 부지로 트랙터를 임시 이동시켰다. 파주시는 "해당 부지는 유휴지(遊休地)라 경찰 고발은 취하했다"며 "향후 협의를 지속해 전농 측 사유지 등으로 이동시키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했다. 미·북 관계가 교착 상태에 빠지면서 전농이 북한으로 트랙터를 언제 보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지금 트랙터가 세워져있는 곳도 파주시가 임시로 내준 장소이기 때문에 다시 옮겨야 하는데, 장소를 구하기가 마땅찮은 상황으로 알려졌다. 트랙터 구입에는 전남 영암·보성·장흥군 및 경기 안성시 등 지방자치단체 4곳에서 지원한 보조금 총 1억원이 사용됐다. 지자체 세금까지 투입된 트랙터가 노지에서 비를 맞으며 계속 방치되고 있는 것이다. 이미 한 대는 고장이 나 전농이 회수해 간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전농이 현실성 없는 사업을 위해 지자체와 농민으로부터 무리하게 후원을 받았다는 비판이 나온다. 본지는 전농의 입장을 들으려 했지만 전농 측은 취재에 응하지 않았다.
|
![저작자 표시](https://t1.daumcdn.net/cafe_image/cf_img2/img_blank2.gif)
'위인.교육.기타 > 시사.뉴스.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과 러시아의 군사동맹..한국은 동맹파기? (0) | 2019.11.04 |
---|---|
중국에 배치된 러시아제 S-400의 타깃은 "F-35" (0) | 2019.10.23 |
7000억 들인 멀쩡한 원전 강제 폐기, 文 개인의 나라인가 (0) | 2019.10.10 |
첨단에 최신 더해 항공전력 더 강해진다. (0) | 2019.09.25 |
20만명에 달하는 북한특수부대 위협 (0) | 2019.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