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업로드한 한국 해군의 KD-II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의 함포사격 사진에서 어느 사진이 발사하는 순간이냐는 질문들이 많아, 잘 보이는 사진들을 다시 올립니다.
사진중 적색원안의 것은 5인치 함포탄이 발사된 후 비상하는 모습입니다.
KD-2은 한국형 다목적 구축함 도입 사업인 KDX(Korea Destroyer eXperiment)-Ⅱ 계획에 따라 만들어진 5,500톤급 국산 구축함이다. 총 6척의 건조 사업이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DDH-975 충무공 이순신, DDH-976 문무대왕, DDH-977 대조영, DDH-978 왕건, DDH-979 강감찬, DDH-981 최영 등 총 6척의 헬기 구축함(DDH)이 건조 되었다. KD-1 구축함에 이어 도입되는 KD-2 구축함은 대한민국 해군 최초의 방공구축함이자 원거리 작전능력을 보유한 차세대 주력 구축함이다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에 비해 향상된 대공, 대잠, 대지 및 전자전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우리 해군 최초로 레이더 반사 면적, 적외선 신호, 방사 소음 등을 감소시키는 스텔스 기술을 본격적으로 적용하여 적에게 탐지될 가능성을 줄임으로써 기존의 보유 함정보다 생존성을 크게 높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사진은 2008년 10월에 개최된 관함식에서 KMK 45 5인치 62 구경장 함포와 Goalkeeper 근접방어기관포를 발사하는 순간들이다.
광개토대왕급에는 이탈리아 Oto Breda사제 5인치 54 구경장 함포가 장착되지만 이순신급에는 미국 UDLP사의 MK 45 Mod 4 5인치 62 구경장 함포를 WIA에서 라이센스 제작한 KMK 45 함포를 탑재한다. KMK 45 함포는 미국 UDLP사의 최신형인 MK 45 Mod 4 함포와 동일한 사양으로 ICM(Improved Cargo Munition) 사격시 사거리가 36Km 이상으로 대공, 대함, 대지 작전운용이 가능하고, 전기/유공압 동력을 이용하여 급탄 및 장전이 전자동이며, 자동 탄종 선정 및 신관 조정이 가능하다.
KMK 45 함포의 무게는 25톤, 최대발사속도는 분당 20발이다. 분당 발사속도가 45발로 빠른 오토 브레다사 함포 대신 미국 UDLP사의 함포가 선정된 데에는 오토 브레다 함포가 38톤으로 무게가 더 나가고 반동이 크다는 단점도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KMK 45 함포가 ERGM 사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지상화력지원 능력을 강조하는 현대 함포의 추세와 관계가 있다. MK 45 Mod 4에서 발사되는 ERGM은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로켓추진으로 117km까지 비행이 가능하고 최대 사정거리는 140km이다. 발사된 후에 INS/GPS를 사용하여 목표를 정확하게 공격할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이 ERGM의 개발을 포기하였고, 이순신급과 세종대왕급 및 차기 호위함 FFX등에 동함포가 장착될 경우 충분한 소요가 예상되어 국내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Goalkeeper 근접 방어 무기 체계는 네덜란드 TNN사의 근접 방어 무기 체계로 이순신급은 헬기 격납고 위에 1기 탑재된다. 골키퍼는 미국의 MK 15 팔랑스(Phalanxs)와 함께 널리 쓰이는 근접 방어 무기 체계이다. 근접 방어 무기 체계란 대함 미사일 요격 체계의 방어벽을 뚫고 들어오는 적 대함 미사일을 근거리에서 포탄을 발사하여 격파시키는 최종 방어 체계로 탐지, 추적, 격파 전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체계를 말한다.
골키퍼는 30mm 7연장 포(GAU 8/A Gatling Gun)를 가지고 있으며 분당 4,200발이 발사 가능하다. 골키퍼 포탄으로는 운동에너지에 의해 관통 파괴하는 미사일 관통탄(MPDS)과 표적명중 후 파편 확산 관통 및 소이효과를 발휘하는 관통 파편탄(FMPDS) 2가지가 쓰인다. 미사일 관통탄은 정확한 탄착점 형성으로 시 스키밍 비행하는 미사일을 방어하고 적 항공기를 공격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통 파편탄은 함정이나 해안의 점표적 그리고 항공기를 공격하기 위해 쓰인다.
KD(한국형 구축함) 간의 비교
KD-1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
KD-2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KD-3 (세종대왕급 구축함)
계약자
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현대중공업
길이
135.4 m
149.5 m
165.9 m
폭
14.2 m
17.4 m
21.4 m
흘수
4.2 m
5 m
6.25 m
배수량
3200 톤
4400 톤
7650 톤
만재배수량
3885 톤
5520 톤
10000(±290) 톤
최고속도
30 노트
29 노트
30 노트
순항속도
18 노트
17 노트
20 노트
순항거리
4,500 마일
5,500 마일
5,500 마일
탑재헬기
MK 99A 슈퍼링스*2
MK 99A 슈퍼링스*2
MK 99A 슈퍼링스*2
승무원
286명
280명
300명 내외
함포
127/54mm OTO Compact Mount
5인치 함포 KMk 45 Mod 4 (ERGM) *1
5인치 함포 KMk 45 Mod 4 *1
CIWS
골키퍼 CIWS *2
골키퍼 CIWS *1, RAM *1
골키퍼 CIWS *1, RAM *1
대함미사일
RGM-84D 하푼 *8
전기형 - RGM-84D 하푼 *8
후기형 - 해성 미사일 *8해성 미사일 *16
하푼 4연장 발사기 2기
전기형 - 하푼 4연장 발사기 2기
후기형 - 해성 미사일 4연장 발사기 2기해성 미사일 4연장 발사기 4기
대공미사일
RIM-7P 시스패로 *16
SM-2 Block IIIA
SM-2 Block IIIB
VLS
16셀 Mk 48 mod2
32셀 Mk 41
24셀 K-VLS80셀 Mk 41
48셀 K-VLS
Mk 31 21연장 RAM 발사기 1문
Mk 31 21연장 RAM 발사기 1문
어뢰
324mm Mk 32 3연장 어뢰발사관 2문
324mm KMk 32 3연장 어뢰발사관 2문
324mm KMk 32 3연장 어뢰발사관 2문
대공레이더
AN/SPS-49(V)5
AN/SPS-49(V)5
AN/SPY-1D(V5) 이지스 레이더
해상레이더
시그널 MW-08 해상감시레이더
시그널 MW-08 해상감시레이더
항법레이더
대우 SPS-95K Navigation Radar
SPS-95K(I 밴드)
화력관제레이더
시그널 사 STIR 180 Fire control radar *2
시그널 사STIR 240(I/J/K 밴드) *2
SPG-62 *3
IFF
AN/UPX-27K IFF
ESM
ARGOSystems AR 700
SLQ-200(V)K SONATA
SLQ-200(V)K SONATA
ECM
ARGOSystems APECS 2
SLQ-200(V)K SONATA
SLQ-200(V)K SONATA
Chaff
CSEE DAGAIE MK2 Chaff Launcher *4
KDAGAIE MK2 채프/플레어 발사기
KDAGAIE MK2 채프/플레어 발사기
어뢰기만기
SLQ-25 Nixie towed torpedo decoy
SLQ-261K TACM
SLQ-261K TACM
전투시스템
BAe SEMA SSCS MK.7 combat system
화력관제시스템
SWG-1A(v) Harpoon control system
MK.91 mod 3 시스패로우
통신시스템
Litton KNTDS(Korea Naval Tactical Data System) LINK 11
소나
ATLAS DSQS-21BZ 함수 소나
DSQ-23 함수 소나
예인소나
SQR-220K 흑룡 예인 소나
추진방식
CODOG
CODOG
COGAG
가스터빈
GE LM2500 (58,200 hp) *2
GE LM2500 (58,200 hp) *2
GE LM2500 (58,200 hp) *4
디젤엔진
쌍용 20V 956 TB 82 (8,000 hp) *2
프로펠러
2 CP Propellers
2 CP Propellers
'$cont.escTitle > 대한민국nav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멋진 KD-2 왕건함의 기동 모습 (0) | 2009.04.11 |
---|---|
[스크랩] “성능은 남한, 수량은 북한” (0) | 2009.03.25 |
[스크랩] 한국해군 이순신급 구축함 일번함 이순신함 함포사격 순간 (0) | 2009.03.25 |
[스크랩] 중국 이지스 구축함 과 한국 이지스 구축함 비교 (0) | 2009.03.19 |
[스크랩] 퇴역 ‘운봉함’ 함상공원으로 새출발 (0) | 2009.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