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원의 군사세계] 중국을 잠재 적국으로 보고 병력 증강
미국·일본·인도 등과 협력 강화
유용원 군사전문기자 입력 2020.09.30 03:00
지난 3일 호주 국방부는 K9 자주포를 생산하는 한화디펜스를 호주 육군 현대화 프로젝트 중 하나인 ‘랜드(Land) 8116’ 자주포 획득사업의 우선 공급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1조원 규모의 이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K9 자주포 30문과 K10 탄약 운반 장갑차 15대, 기타 지원 장비 등을 호주에 수출할 수 있게 된다.
/그래픽=김성규
앞서 한화디펜스는 지난 7월 말 미래형 장갑차 ‘레드백(Redback)’의 호주 출정식을 열었다. 레드백은 호주 장갑차 사업의 최종 2개 후보에 올라 시제품 2대가 호주로 향하기 전 출정식을 가진 것이다. 호주 육군의 궤도형 장갑차 사업 규모는 5조원에 달한다.
우리 국산 무기들이 호주 시장에 진출하게 된 것은 호주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대규모 전력 증강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호주 정부는 지난 7월 초 ’2020년 국방전략 갱신'(Defense Strategic Update)과 ’2020 국방구조계획'(2020 Force Structure Plan)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호주는 2030년까지 10년간 2700억 호주달러(223조원)의 국방비를 투자할 계획이다. 10년간 매년 22조원대의 국방비를 투입하는 셈이다.
호주는 우리와 달리 가까운 곳에 북한과 같은 현존 위협이 없는 나라다. 그렇다 보니 정규군 총병력도 약 6만명에 불과하다. 육군 2만9000여명, 해군 1만5000여명, 공군 1만4000여명이다. 예비군도 2만7400명 정도다. 한국군 총병력(56만명)의 10분의 1밖에 되지 않는 것이다. 금년도 국방비는 32조원으로 우리 국방비(50조원)의 60여% 수준이다.
호주군의 전력 증강 계획 세부 내용을 보면 북한과 대적하고 있는 우리나라를 뺨칠 정도다. 육해공군은 물론 우주·사이버 분야까지 방어용은 물론 장거리 공격용 무기도 망라돼 있다. 향후 10년간 45조5000억원의 돈이 투입되는 육군 전력 증강에는 우리 K9 자주포와 레드백 장갑차가 들어있는 신형 보병전투장갑차 사업과 자주포 사업, 미국제 에이브럼스 전차 개량 계획 등이 포함돼 있다.
해군에는 62조1000억원이 투입된다. 12척의 신형 공격용 잠수함을 비롯, 캔버라급 강습상륙함(경항모) 2척, 호바트급 이지스함 등을 도입했거나 도입할 예정이다. 공군도 53조8000억원을 투입, F-35A 스텔스기 72대, 스카이 가디언 무인정찰기, 전자전기 등을 도입한다. 호주가 도입 중인 F-35 숫자는 우리 공군이 내년까지 도입할 40대보다 32대나 많다.
미국은 미국대로 동맹국들을 끌어모아 대중 연합전선을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다. 미국은 ‘쿼드’에 한국 등 아시아 주요 국가들을 참여시키는 ‘쿼드 플러스’를 추진하고 있다.
‘유용원의 군사세계’
1993년 이후 줄곧 27년간 국방부를 출입, 현역 최장수 군사전문기자입니다. 누적 방문자 4억명을 돌파한 대한민국 최대의 군사안보 커뮤니티인 ‘유용원의 군사세계’를 비롯, 유튜브(구독자 20만명), 페이스북(팔로워 5만7000여명), 네이버TV, 인스타그램 등 7개의 개인 채널을 운영하며 많은 분들과 활발하게 소통하고 있습니다.
'위인.교육.기타 > 시사.뉴스.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훈아 두시간 열창하며 소신발언 “두고보세요, KBS 거듭날 겁니다 (0) | 2020.10.01 |
---|---|
유엔 “北,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 (0) | 2020.09.30 |
"지긋지긋하다"..국민 피살·공정성 논란에 분노하는 2030 (0) | 2020.09.30 |
대중 압박 한국, 호주, 일본, 미국 4자간 연합훈련 (0) | 2020.09.30 |
軍서 흙바닥 구르던 벨기에 공주님 '블루 베레모' 쓰던 날 (0) | 2020.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