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덕 감독, 라트비아서 코로나19로 사망.."현지 거주 타진"(종합3보) 8시간전 | 뉴스 > 연합뉴스 http://v.media.daum.net/v/20201212020948779
이호재 기자 , 한기재 기자 , 김재희 기자 입력 2020-12-12 03:00수정 2020-12-12 03:45
예술영화 고집하며 거장 반열… 충격-폭력적 영상으로 논쟁
미투 논란뒤 주변과 연락 끊어
영화감독 김기덕 씨(60·사진)가 11일 동유럽 라트비아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숨졌다.
외교부는 김 감독이 “이날 새벽 라트비아에서 코로나19로 병원 진료 중 사망했다”며 “라트비아 주재 대사관이 현지 병원을 통해 경위를 확인하고 한국 유족에게 연락해 장례 절차를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김 감독은 지난달 20일 라트비아에 도착해 유르말라 지역에 집을 사서 거주 허가를 신청하려 했지만 이달 5일 이후 연락이 끊겼다.
그는 세계 3대 영화제인 칸, 베니스, 베를린 본상을 모두 받은 유일한 한국 감독이다. 2018년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논란에 휘말려 고소를 당한 뒤 카자흐스탄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활동해 왔다.
주요기사
세계 3대 영화제 본상 모두 수상
20일 환갑 앞두고 라트비아서 숨져
지난해 4월 열린 모스크바 영화제 개회식에서 심사위원장으로 연설하고 있는 김기덕 감독. 김 감독은 세계 3대 영화제 본상을 모두 받았지만 해외에서 외로이 숨을 거뒀다. 모스크바=AP 뉴시스
11일 라트비아의 한 대학병원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숨진 김기덕 감독(60)의 삶은 명예와 불명예의 줄타기였다.
‘사마리아’로 한국 영화 최초 베를린 영화제 은곰상(2004년), ‘아리랑’으로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상(2011년), ‘피에타’로 베니스 영화제 최고 영예인 황금사자상(2012년) 등 세계 3대 영화제 본상을 석권했다. 외국에서 더 인정받는 거장이 됐지만 2018년 발생한 ‘#미투’ 논란으로 도덕적 위상이 추락한 끝에 해외에서 숨을 거뒀다.
김 감독은 스스로 ‘열등감을 먹고 자란 괴물’이라고 말할 만큼 시련과 좌절을 겪었다. 가정형편이 어려워 초등학교 졸업 후 서울 구로공단과 청계천 일대 작은 공장에서 일했다. 30대에 그동안 모은 돈으로 프랑스로 떠나 3년간 파리에서 미술관을 전전하고 독학으로 길거리에서 그림을 공부했다. 무명 화가로서의 삶에 회의를 느끼다 ‘양들의 침묵’ ‘퐁뇌프의 연인들’을 보고 영화에 빠졌다.
귀국한 뒤 1995년 영화진흥위원회 시나리오 공모전 대상을 받으며 영화계에 입문했다. 이듬해 저예산 영화 ‘악어’로 데뷔한 뒤에도 ‘비주류’ ‘이단아’라는 소리를 들었다. 시류와 대세를 추종하기보다 예술영화의 외길을 고집했다.
‘사마리아’의 베를린 영화제 수상 이후 유럽에선 호평의 연속이었다. 영화에 대한 자신의 고민을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그린 ‘아리랑’이 칸에서 수상하자 국내 영화계 주류에서도 주목받았다. ‘피에타’로 세계적 감독의 반열에 올랐다.
그의 영화는 대부분 충격적이고 폭력적이며, 여성에 대한 가학적 장면을 끝까지 거칠게 끌고 가는 연출로 논란의 중심에 서기 일쑤였다.
김 감독은 2018년 영화 ‘뫼비우스’ 촬영장에서 여배우 A 씨로부터 자신의 뺨을 때리고 대본에 없던 베드신 연기를 요구했다며 고소를 당했다. 검찰은 김 감독을 폭행 혐의로 벌금 500만 원에 약식 기소했다. 성폭력 혐의는 증거불충분으로 무혐의 처분했다. 김 감독은 A 씨와 이 내용을 보도한 언론사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냈지만 올 10월 1심에서 패소한 뒤 항소했다.
미투 논란이 불거진 뒤 김 감독은 카자흐스탄으로 떠나 현지 영화인들의 도움을 받으며 영화 활동을 지속했다. 지난해 모스크바 영화제 심사위원장을 맡았다. 같은 해 카자흐스탄에서 촬영한 영화 ‘딘’을 칸 영화제 바이어에게만 공개하는 등 해외 활동만 간간이 이어갔다.
전양준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은 11일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김 감독이 미투 의혹이 터지고 동유럽으로 떠난 뒤 한국에 있는 사람들과는 연락을 모두 끊었다”며 “20일 환갑을 맞는 그를 위해 현지 영화인들이 에스토니아에서 김 감독 영화 기념 상영회를 기획하고 있었는데 타지에서 떠났다”고 말했다.
이호재 hoho@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한기재·김재희 기자 jetti@donga.com
창닫기
기사를 추천 하셨습니다김기덕 감독, 라트비아서 코로나 입원 치료중 사망베스트 추천 뉴스
- 김근식 “대통령님, 참 세상 편하게 사십니다”
- [이기홍 칼럼]‘尹축출=檢개혁’… 자기들끼리만 걸린 집단최면
- 진중권 “尹 징계위가 합법이면 ‘한일합방’도 합법”
- 김근식 “尹 출마 금지법?…지들은 꿀 다 빨아먹고 法 바꿔”
- 진중권 “심상정, 창피한 줄 알라…진보 말아먹은 쓰레기들”
- 브레이크 없는 巨與폭주에… 보수야권 ‘反文연대’로 뭉친다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AD
'위인.교육.기타 > 시사.뉴스.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보다 목숨, 공격헬기 달라" 부하 잃은 해병대사령관 절규 (0) | 2020.12.13 |
---|---|
믿을수 없는 우리 언론 3 (0) | 2020.12.12 |
[윤석만의 뉴스뻥] K방역 자찬한 정부가 말하지 않은 비밀 (0) | 2020.12.12 |
[단독]美의회 인권기구 위원장, ‘대북전단금지법’에 “민주주의·인권 훼손” 강력 비판 (0) | 2020.12.12 |
[속보]코로나 신규 확진 950명…국내 유행 후 최다 (0) | 2020.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