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고시간2021-05-03 14:58
2천800t급 5번함…전술 함대지유도탄·장거리 대잠어뢰 등 무장
신형 호위함 대전함 진수
[해군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전술 함대지 유도탄과 장거리 대잠어뢰 등을 탑재해 지상 타격 및 수중 공격 능력이 강화된 다섯 번째 신형 호위함이 위용을 드러냈다.
해군은 3일 오후 경남 거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신형 호위함 5번함인 '대전함' 진수식을 거행했다고 밝혔다.
대전함은 해군에서 운영 중인 1천500t급 호위함(FF)과 1천t급 초계함(PCC)을 대체하고자 건조한 신형 호위함(FFX 배치-Ⅱ)이다. 앞으로 시운전 평가 기간을 거쳐 2022년 말 해군에 인도돼 일정 기간 전력화 과정을 마치고 실전 배치된다.
길이 122m, 폭 14m, 높이 35m에 배수량 2천800t급인 대전함은 5인치 함포와 함대함 유도탄, 전술 함대지 유도탄, 근접방어무기체계 등으로 무장했다. 사거리 250여㎞인 전술 함대지 유도탄은 유사시 함정에서 지상의 목표물을 타격하는 무기다.
대잠어뢰(홍상어)를 탑재해 적 잠수함에 대한 탐지·공격 능력을 높였다. 물속에서 발사되는 일반 어뢰와 달리 로켓추진 장치로 공중으로 발사됐다가 바다로 들어가 잠수함을 타격한다. 사거리는 20여㎞에 이른다.
해상작전 헬기 1대를 운용할 수 있고, 엔진은 가스터빈과 추진전동기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추진체계로 수중 방사 소음을 줄였다.
예인형 선배열 음파탐지기(TASS)도 탑재했다. 이 장비는 함정에서 적 잠수함을 탐지·식별·추적하기 위한 저주파 수동형 음파탐지체계로 함정의 함미에 긴 줄을 달아 매달고 끌고 다니는 방식이다.
정영순 해군본부 전투함전력과장은 "대전함은 수상·잠수함 표적에 대한 탐지 및 공격 능력이 향상되었고 특히 대잠수함 작전 능력이 강화되어 향후 해역함대 주력 전투함으로서 활약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함(FFX Batch-II) 제원
[해군자료 캡처.]
부석종 해군참모총장이 주빈인 이날 진수식에는 거제가 지역구인 국민의힘 서일준 의원, 이성근 대우조선해양 대표이사, 정승균 해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장, 최성목 해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지침을 준수해 규모를 축소했다.
진수식에서는 해군 관습에 따라 주빈인 부 총장의 부인 백미자 씨가 함정에 연결된 진수줄을 절단했다.
하늘을 나는 어뢰? '홍상어' 장착! 잠수함 잡는 2800t 호위함 '대전함'이 돌아왔다! 해군 신형 호위함 5번함 '대전함' 진수식
21년만에 부활한 대전함…최신예 무기 장착 / 연합뉴스 (Yonhapnews)
부 총장은 축사에서 "국가 비전을 뒷받침할 해군력 건설은 해군 차원을 넘어 국가 해양력 구축의 핵심"이라며 "오늘 진수한 대전함이 '필승해군·선진해군'의 주역이자 국가 해양력의 핵심으로 당당하게 그 역할을 다해주기를 고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바다는 대한민국의 생명선이다. '해양강국 대한민국'의 국가 비전에는 해상교통로의 중요성이 새겨져 있다"며 "해상교통로 이용을 보장하기 위한 해양력 구축은 국가의 사활이 걸린 문제"라고 강조했다.
과거 대전함(DD-919) 모습
[해군자료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함은 이전에도 사용됐던 함명이다. 과거 대전함(DD-919)은 1945년 미국에서 건조되어 1977년 한국 해군에 인도된 후 영해 수호에 앞장서다 2000년 3월 퇴역했으며 이날 진수식을 통해 21년 만에 부활하게 됐다.
해군은 특별·광역시와 도·도청 소재지, 시 단위급 중소 도시 지명을 호위함 함명으로 사용해온 함명 제정 원칙 등에 따라 신형 호위함 5번함을 대전함으로 명명했다.
threek@yna.co.kr
'위인.교육.기타 > 군대 . 무기. 분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라별 차기 전투기 프로젝트 비교 (0) | 2021.05.08 |
---|---|
창공을 수놓은 공군 '블랙이글스'의 멋진 에어쇼! (0) | 2021.05.06 |
인니 잠수함 침몰의 비극, 우리 잠수함은? (0) | 2021.05.05 |
아이언맨 부대가 현실로?... 英해병대 바다위 솟구쳤다 (0) | 2021.05.04 |
국군 5사단장 만났던 북한군 상좌 숙청 (0) | 2021.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