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해군 공격잠수함 USS Santa Fe (SSN-763)와 USS OKLAHOMA CITY (SSN-723)호가 함수의 Tomahawk 순항미사일을 탑재하여 발사하는 Mark 36 수직발사기 해치를 열어 놓은 보기드문 사진입니다.
USS Santa Fe (SSN-763)는 미해군 Los Angeles급 공격잠수함으로 1994년 1월 취역하여 진주만을 모기지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USS Oklahoma City (SSN-723)호 역시 Los Angeles급 공격잠수함으로 1988년 취역하였으며 현재 버지니아주 Norfolk항을 모항으로 임무 수행중입니다.
미해군 LA급 공격잠수함은 미국의 주력 공격잠수함으로 20여년동안 62척이 건조되어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 공격잠수함입니다.
개발 배경은 냉전시절 미국 항공모함을 격침하는 것을 주요 임무로 하는 구소련의 잠수함에 대한 대잠전 수행이나 소련 수상 기동 그룹내의 주력함을 격침시키기 위한 대수상함전 수행을 임무로 하는 공격용으로 건조되었으며 현재의 주요 임무로는 미국 해군의 항공모함전단 호위입니다. 함대의 구성에서 2대의 잠수함이 포함되는데 LA급 잠수함이 여기에 속합니다.
LA급 SSN은 핵공격잠수함계의 M1A1전차와 같다고 할수있는데, 견실한 설계와 장시간 잠수에 적합한 거주공간, 공격무기,물자탑재등을 통해 장시간동안 전투가가능했고 30노트가 넘는 고속성과 은밀성-저소음 기술의 채택은 초기 5000개소에서 후기형 LA급에 이르러서 30000개소로 증가했다-으로 인하여 보기 드문 정숙도를 자랑했습니다.
19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소련의 SSN들은 LA급을 지근거리에서(약 1Km이내)발견하지 못할 정도로 정숙하였고 대항군으로써 LA급 함정을 이용한 훈련에서는 동급끼리 서로 탐색이 어려웠을 정도로 우수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에서는 영국역시 상당한 위치에 도달해 있었는데 영국군의 SSN의 경우 콩궈러 급에 이르러서 LA급에 버금가지는 못하지만 상당한 수준에 도달하였고 구소련의 SSN보다는 우수한 능력을 발휘했던 것입니다.
특히 소너 성능에 있어서는 영국군의 SSN과 SSBN의 성능이 미해군의 SSBN과 SSN을 능가했다고 알려져있으며 단지 미해군의 경우 영국군의 원자로의 소음때문에 합동 훈련에서 번번히 영국해군의 SSN과 SSBN을 잡을 수 있었다 합니다.
제원
승 무 원 154명
어 뢰 어뢰발사관 4기, MK-48 중어뢰, 미사일과 어뢰 총 26발 탑재 가능
전 장 110 m
선 폭 10 m
미 사 일 Tomahawk 순항미사일용 수직발사기 MK36 12기, Tomahawk 순항미사일, 서브 하푼
흘 수 9.9 m
배 수 량 6,100톤(수면), 6,900톤(수중)
최 대 속 도 30 knots
잠 항 심 도 450 m
동 력 S6G원자로, 35,000마력
미국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원자력 잠수함은 65척이며 보유척수를 급격하게 줄여 가는 상태이다. 1999년에 9척을 퇴역시키고 2003년까지는 50척 규모로 유지할 것을 4년간의 방위평가서(QDR : Quadrennial Defense Review)는 밝히고 있다.
최근에 미국의 공격용 원자력 잠수함 획득은 Seawolf(SSN-21)급 잠수함과 Virginia 로 명명한 신형 공격 잠수함인 NSSN(New Attack Submarine)함의 개발 전망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수년 전에 미 해군은 막강한 전투력을 갖는 Seawolf함은 건조 가격이 비싸서 함정의 크기가 작은 NSSN함(당시의 이름은 Centurion함)으로 대체하여 개발하기로 결정한바 있다. 이에 따라 미 해군은, 적절한 해군력을 보유하고 잠수함 건조 업체의 유지를 위해서, 향후 18년 동안에 NSSN 30척을 건조하기로 하고 구매 가격은 640억 달러를 예상하였다.
본 고에서는 NSSN함과 Seawolf함의 특성을 비교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NSSN함
1997년에 해군 당국은 NSSN함을 건조하는 방법으로는 이례적으로 잠수함 건조 대상업체인 Electric Boat사와 Newport News사 간에 함정을 부분적으로 나누어서 개발하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Electric Boat사는 엔진실, 추진기관, 선체 개발을 담당하고 Newport News사는 선수부, 선미부, 무장 분야를 담당하도록 하는 것이다. 초도함은 Electric Boat사의 책임 하에 2004년에 건조가 끝나며 2번함은 Newport News사의 책임 하에 2005년에 건조가 완료된다. 후속함은 두 선박회사가 교대로 건조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4척의 함을 건조할 때 비용은 한 선박회사가 단독으로 건조할 때 136억 달러보다 36억 달러가 절감된 104억 달러에 건조할 수 있으며 척당 평균 건조비는 26억 달러가 될 것이다. 5번함 이후의 개발비는 척당 16.5억 달러로 줄어들 것이다.
NSSN함은 냉전 이후에 미 해군에서 요구하는 해역 작전과 연안 작전을 온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 다중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장비와 무장을 탑재하고 스텔스, 살상력, 거의 무제한 순항 능력 등을 갖추어서 미 해군력 강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NSSN함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
· 은밀한 정보 수집, 감시, 정찰 임무 등을 수행
- 잠수함의 최신 전자센서는 중요한 기밀정보를 수집.
- 통신을 도청하고 적 함정의 기동상태를 추적
- 기뢰원 탐지
- 기타 위협과 표적을 감시
· 특수전 수행
- 잠수함은 특수전이 요구하는 모든 작전을 지원
- 탐색과 구조활동, 사보타주, 견제적인 공격 작전, 화력지원
- 9명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부 챔버(lock- out chamber)는 특전요원 수송 시스템이나 잠수정을 탑재할 수 있으며 갑판 시설(dry deck shelter)은 특수전 선박이나 장비를 보관할 수 있음.
- 어뢰실은 특수전 수행을 위한 많은 병력의 체류 공간으로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음.
· 대잠전과 대수상함전 수행
- 잠수함에 구비된 최신 전투체계, 어뢰, 대함미사일, 기뢰 등을 사용하여 적의 잠수함과 수상함을 공격.
· 은밀한 정밀 타격 및 연안 작전 직접 지원
- 잠수함의 수직발사대나 어뢰발사관을 사용하여 육상 공격용 미사일을 발사.
- NSSN함이 연안에 접근하여 기습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서 공격효과를 배가 할 수 있음. 처음에는 Tomahawk미사일을 탑재하여 육상 공격임무를 수행하게 되며 장래에는 잠수함에서 사용할 때 효과도가 높은 사정거리 160마일을 갖는 Army Tactical Missile System을 탑재할 계획.
NSSN함은 현재 운용중인 잠수함들이나 Seawolf 함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도록 추진하고 있다.
· 수명주기 동안의 비용을 고려하여 운용요원의 수를 줄이고 효율성을 높인다.
- 배수톤수 1,000톤을 기준으로한 함정의 운용요원 수는 다음과 같다.
- Sturgeon급(SSN-637) 28명, Los Angeles급(SSN-688) 18명, NSSN함 17명
· 원자로의 작동 수명이 길고 정비 기간이 단축되므로 전력 가동률(force employment efficiency)이 증가된다. 함정별 전력 가동률은 다음과 같다.
- Sturgeon급(SSN-637) 82%, Los Angeles급 (SSN-688) 86%, improved Los Angeles급(SSN-688I) 93%, NSSN함 94%
· 추진부 특성
- NSSN함은 펌프, 밸브, 회로 차단기, 특수 부품, 파아프 행거 등의 수량이 다른 함정 보다 적고 수명 주기동안 교체하지 않도록 설계한다.
· 잠수함의 지휘통제 시스템은 COTS부품을 사용하고 오픈 시스템 아키텍처를 적용하여 개발 비용을 현격하게 감소시킨다. 개발비 중에서 소프트웨어는 60∼70%, 하드웨어는 70∼80%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NSSN함의 Virginia급은 Seawolf급 잠수함이나 개량된 Los Angeles급 잠수함과 같이 최근에 개발된 AN/BQQ-10 소나를 장착할 것이다. 이 소나는 1998년 5월에 미 해군의 Augusta (SSN- 710)함에 장착하여 성공적으로 실험을 마쳤으며 예인선배열소나를 사용하여 광대역 탐지기능, 원거리 추적, 잠수함의 순간소음 탐지 등의 성능개선이 이루어졌다.
방사소음 측면에서는 개량된 Los Angeles급 잠수함의 최종 건조함과 같은 수준으로 낮은 소음수준을 발생하였다.
NSSN함의 주요 재원은 다음과 같다.
· 수중 배수량 : 7,700톤
· 길이 : 377피트, 폭 : 34피트, 흘수 : 30.5피트
· 실험 수심 : 1,600피트
· 2대의 증기터빈 : 단일 축 구동시 40,000shp 출력
· 속도 : 약 35노트
· 운용 요원 : 약 100명
· 38발의 무장 탑재, 21인치 어뢰발사관 4대, 수직발사대 12대
Seawolf급 잠수함
NSSN함 획득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은 Seawolf급 잠수함 건조사업의 추진 상황이다. 미 해군의 입장에서는 두 종류의 잠수함 건조를 병행해서 추진할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Seawolf급 초도함의 해상 실험은 1997년 6월에 실시하였으며 센서 마운트 등 사소한 문제점은 발견되었으나 지금까지의 어떠한 잠수함보다 가장 빠르고 소음이 적으며 다량의 무장을 탑재할 수 있는 잠수함임이 확인되었다. 즉 Seawolf급 잠수함은 NSSN함이나 개량된 Los Angeles(SSN- 6881)급 잠수함보다 빠르며 소음이 적고 잠항 수심이 깊은 장점을 갖고 있다.
Seawolf급 잠수함의 주요 성능은 다음과 같다.
· 수중 배수량 : 9,137톤
· 길이 : 353피트, 폭 : 40피트
· 실험 수심 : 1,950피트
· 40,000 shp 출력
· 속도 : 약 40노트
· 50발의 무장 탑재, 26인치 어뢰발사관 8대
이러한 상황에서 미 해군은 비용이 저렴한 NSSN함의 건조 계획은 변경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몇 척의 신형 Seawolf급 잠수함과 병행하여 획득할 것으로 보인다.
(U.S. Naval Institute Proceeding, 1998. 12, pp.68∼71), members.tripod.com/~fidelispark/c3.htm에서 인용.
'$cont.escTitle > 미국nav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미해군 Belknap급 순양함 1989년 중국 상하이를 방문하는 미해군 Belknap급 순양함 Sterett (CG-31) (0) | 2009.04.09 |
---|---|
[스크랩] 곡예하듯 바다위에서 어뢰 회피 고속 기동 훈련중인 미해군 순양함 (0) | 2009.04.09 |
[스크랩] 미해군 상륙지휘함 Mount Whitney호 러시아 흑해함대 Sevastopol 기지에 도착 (0) | 2009.04.09 |
[스크랩] 미해군 Military Sealift Command 급유함 SS Chesapeake (T-AOT 5084) (0) | 2009.04.09 |
[스크랩] 미군 이동식 해상기지(Mobile Offshore Base) (0) | 2009.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