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0일 거행될 취역식을 앞두고 예행연습중인 미해군이 Naval Station Norfolk항에 정박중인 신형 항공모함 Pre-commissioning Unit George H.W. Bush (CVN 77)호 옆을 지나고 있습니다.

2008년 12월 23일 Naval Station Norfolk항에 입항중인 Pre-commissioning Unit George H.W. Bush (CVN 77)호.

 

 

 

재미있는 사실은 George H.W. Bush 전 대통령의 이름을 딴 세계 최대 규모의 항공모함이 미 해군에 전달도 되기 전에 취역식이 먼저 열린다는 내용입니다.
오는 1월 20일 퇴임을 앞둔 George W. Bush 미국 대통령이 '아버지 항공모함' 취역식을 자신의 임기 내에 실시하기 위해 무리하게 일정을 잡았다는 것입니다. 
제조사인 Northrop Grumman Newport News 조선소에서 전하는 소식에 의하면 George H.W. Bush호'로 명명된 미해군의 Nimitz급 10번째이자 마지막 최신 항공모함으로 함번은 CVN 77인데 현재 공정률 97%로 시험운항도 거치지 않은 상태입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남은 작업은 페인팅, 라벨 부착, 부품 테스트 등으로 시험운항을 위해서 이들 공정이 마무리되어야만 하지만 미 해군은 일단 취역식을 가진 뒤 작업을 마치고 1월말부터 시험운항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미해군에서 
완성도 되지 않았고 시험운항도 실시하지 않은채 취역식을 거행한 함정은 상당히 적은 경우인데다 현재 생존 인물을 항공모함의 이름으로 사용하는 것조차 드문일인지라 이 항공모함에는 묘한 일들이 계속 발생하고 있는 것입니다.
미해군에서 군함 잠수함 항공모함 등이 미 해군에 전달되기 전에 취역식을 먼저 거행한 경우는 15번 있었다고 하는데 가장 최근 사례가 벌써 23년전인 1986년 9월에 거행된 LA급 잠수함 시카고호(SSN 721호) 취역식입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2008년 12월 현재 프랑스 해군이 보유, 운용중인 주요 현역함정들의 목록입니다.

(진수 후 의장공정이 완료되었으나 아직 시험중인 함정, 문서상 아직 현역상태이나 정식 퇴역을 앞두고 임무해제상태인 함정은 목록에서 제외하였으며, 일부 자료에 대해서 다소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Charles de Gaulle급 원자력항공모함 1척
- Charles de Gaulle (R91)

Jeanne d’Arc급 헬기순양함 및 훈련함 1척
- Jeanne d’Arc (R97)

Mistral급 (BPC) LHD형 상륙함 2척
- Mistral (L9013)
- Tonnerre (L9014)

Foudre급 (TCD) LPD형 상륙함 2척
- Foudre (L9011)
- Siroco (L9012)

Champlain급 (BATREL) LST형 경상륙함 5척
- Champlain (L9030)
- Francis Garnier (L9031)
- Dumont d’Urville (L9032)
- Jacques Cartier (L9033)
- La Grandière (L9034)

Cassard급 1등호위함 2척
- Cassard (D614)
- Jean Bart (D615)

Tourville급 1등호위함 2척
- Tourville (D610)
- De Grasse (D612)

Georges Leygues급 1등호위함 7척
- Georges Leygues (D640)
- Dupleix (D641)
- Montcalm (D642)
- Jean de Vienne (D643)
- Primauguet (D644)
- La Motte-Picquet (D645)
- Latouche-Tréville (D646)

La Fayette급 2등호위함 5척
- La Fayette (F710)
- Surcouf (F711)
- Courbet (F712)
- Aconit (F713)
- Guépratte (F714)

Floréal급 2등호위함 6척
- Floréal (F730)
- Prairial (F731)
- Nivôse (F732)
- Ventôse (F733)
- Vendémiaire (F734)
- Germinal (F735)

Le Triomphant급 전략원자력잠수함 3척
- Le Triomphant (S616)
- Le Téméraire (S617)
- Le Vigilant (S618)

Rubis급 공격원자력잠수함 6척
- Rubis (S601)
- Saphir (S602)
- Casabianca (S603)
- Émeraude (S604)
- Améthyste (S605)
- Perle (S606)

Ailette급 잠수함구난선 1척
- Ailette

D'Estienne d'Orves급 대형초계함 9척
- Lieutenant de vaisseau Le Hénaff (F789)
- Lieutenant de vaisseau Lavallée (F790)
- Commandant L'Herminier (F791)
- Premier-Maître L'Her (F792)
- Commandant Blaison (F793)
- Enseigne de vaisseau Jacoubet (F794)
- Commandant Ducuing (F795)
- Commandant Birot (F796)
- Commandant Bouan (F797)

Arago급 초계함 1척
- Arago (P675)

Grebe급 초계함 1척
- Grebe (P679)

Albatros급 초계지원함 1척
- Albatros (P681)

Flamant급 초계정 3척
- Flammant (P676)
- Cormoran (P677)
- Fluvier (P678)

L'Audacieuse급 초계정 10척
- L'Audacieuse (P682)
- La Boudeuse (P683)
- La Capricieuse (P684)
- La Fougueuse (P685)
- La Glorieuse (P686)
- La Gracieuse (P687)
- La Moqueuse (P688)
- La Railleuse (P689)
- La Rieuse (P690)
- La Tapageuse (P691)

Athos급 초계정 2척
- Athos (A712)
- Aramis (A713)

Durance급 군수지원함 4척
- Meuse (A607)
- Var (A608)
- Marne (A630)
- Somme (A631)

Rhin급 보급지원함 1척
- Loire (A615)

Eridan급 기뢰제거함 13척
- Eridan (M641)
- Cassiopée (M642)
- Andromède (M643)
- Pégase (M644)
- Orion (M645)
- Croix du sud (M646)
- L'Aigle (M647)
- Lyre (M648)
- Persée (M649)
- Sagittaire (M650)
- Verseau (M651)
- Céphée (M652)
- Capricorne (M653)

Vulcain급 기뢰제거정 4척
- Vulcain (M611)
- Achéron (M613)
- Styx (M614)
- Pluton (M622)

Antarès급 기뢰제거정 3척
- Antarès (M770)
- Altaïr (M771)
- Aldébaran (M772)

Monge급 미사일추적함 1척
- Monge (A601)

Dupuy de Lôme급 통신정보수집함 1척
- Dupuy de Lôme (A759)

Beautemps-Beaupré급 해양조사선 1척
- Beautemps-Beaupré (A758)

Lapérouse급 수로측량선 3척
- Lapérouse (A791)
- Borda (A792)
- Laplace (A793)

D'Entrecasteaux급 훈련지원선 1척
- D'Entrecasteaux (P674)

Léopard급 훈련정 8척
- Léopard (A748)
- Panthère (A749)
- Jaguar (A750)
- Lynx (A751)
- Guépard (A752)
- Chacal (A753)
- Tigre (A754)
- Lion (A755)

Glycine급 항해훈련정 2척
- Glycine (A770)
- Églantine (A771)

Étoile급 항해훈련범선 2척
- Étoile (A649)
- Belle Poule (A650)

Côtre Mutin급 항해훈련범선 1척
- Côtre Mutin (A652)

La Grande Hermine급 항해훈련범선 1척
- La Grande Hermine (A653)

Jules Verne급 수리선 1척
- Jules Verne (A620)

Thétis급 병기시험함 1척
-Thétis (A785)

Denti 급 시험정 1척
- Denti (A743)

Le Malin급 잠수지원선 1척
- Le Malin (A616)

Poseidon 급 잠수지원선 1척
- Poseidon (A722)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2008년 12월 현재 인도 해군이 보유, 운용중인 주요 현역함정들의 목록입니다.

(진수 후 의장공정이 완료되었으나 아직 시험중인 함정, 문서상 아직 현역상태이나 정식 퇴역을 앞두고 임무해제상태인 함정은 목록에서 제외하였으며, 일부 자료에 대해서 다소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Viraat급 (영국 Centaur급) 경항공모함 1척
- INS Viraat (R22) (구 영국 해군 HMS Hermes (R12))

Jalashwa급 (미국 Austin급) LPD형 상륙함 1척
- INS Jalashwa (L41) (구 미국 해군 USS Trenton (LPD 14))

Shardul급 LST형 상륙함 2척
- INS Shardul (L16)
- INS Kesari (L15)

Ghorpad급 (러시아 Polnochny C/D급) LST형 상륙함 5척
- INS Sharabh (L17)
- INS Cheetah (L18)
- INS Mahish (L19)
- INS Guldar (L21)
- INS Kumbhir (L22)

Magar급 LST형 상륙함 2척
- INS Magar (L20)
- INS Gharial (L23)

Rajput급 (러시아 Kashin급 개량형 Project 61ME) 구축함 5척
- INS Rajput (D51)
- INS Rana (D52)
- INS Ranjit (D53)
- INS Ranvir (D54)
- INS Ranvijay (D55)

Delhi급 구축함 3척
- INS Delhi (D61)
- INS Mysore (D60)
- INS Mumbai (D62)

Nilgiri급 (구 영국 Leander급) 호위함 3척
- INS Dunagiri (F36)
- INS Taragiri (F41)
- INS Vindhyagiri (F42)

Godavari급 호위함 3척
- INS Godavari (F20)
- INS Ganga (F22)
- INS Gomati (F21)

Brahmaputra급 호위함 3척
- INS Brahmaputra (F31)
- INS Betwa (F37)
- INS Beas (F39)

Talwar급 (러시아 Krivak III급 개량형 Project 1135.6) 호위함 3척
- INS Talwar (F40)
- INS Trishul (F43)
- INS Tabar (F44)

Kalvari급 (러시아 Foxtrot급) 잠수함 2척
- INS Vela (S40)
- INS Vagli (S42)

Shishumar급 (독일 Type 209-1500형) 잠수함 4척
- INS Shishumar (S44)
- INS Shankush (S45)
- INS Shalki (S46)
- INS Shankul (S47)

Sindhughosh급 (러시아 Kilo급 Project 877EKM) 잠수함 10척
- INS Sindhughosh (S55)
- INS Sindhudhvaj (S56)
- INS Sindhuraj (S57)
- INS Sindhuvir (S58)
- INS Sindhuratna (S59)
- INS Sindhukesari (S60)
- INS Sindhukirti (S61)
- INS Sindhuvijay (S62)
- INS Sindhurakshak (S63)
- INS Sindhushastra (S65)

Nireekshak급 잠수함구난함 1척
- INS Nireekshak (A15)

Abhay급 (러시아 Pauk II급) 초계함 4척
- INS Abhay (P33)
- INS Ajay (P34)
- INS Akshay (P35)
- INS Agray (P36)

Sukanya급 초계함 6척
- INS Sukanya (P50)
- INS Subhadra (P51)
- INS Suvarna (P52)
- INS Savitiri (P53)
- INS Sharada (P55)
- INS Sujatha (P56)

Veer급 (러시아 Tarantul급) 미사일초계함 12척
- INS Veer (K40)
- INS Nirbhik (K41)
- INS Nipat (K42)
- INS Nishank (K43)
- INS Nirghat (K44)
- INS Vibhuti (K45)
- INS Vipul (K46)
- INS Vinash (K47)
- INS Vidyut (K48)
- INS Nashak (K83)
- INS Prabal (K92)
- INS Pralaya (K91)

Khukri급 미사일초계함 4척
- INS Khukri (P49)
- INS Khutar (P46)
- INS Kirpan (P44)
- INS Khanjar (P47)

Kora급 미사일초계함 4척
- INS Kora (P61)
- INS Kirch (P62)
- INS Kulish (P63)
- INS Karmukh (P64)

Seaward급 초계정 5척
- INS SDB T-55 (T55)
- INS SDB T-56 (T56)
- INS SDB T-57 (T57)
- INS SDB T-58 (T58)
- INS SDB T-59 (T59)

Trinkat급 초계정 2척
- INS Trinkat (T61)
- INS Tarasa (T63)

Bangaram급 초계정 4척
- INS Bangaram (T65)
- INS Bitra (T66)
- INS Batti Malv (T67)
- INS Baratang (T68)

Car Nicobar급 초계정 2척
- INS Car Nicobar (T69)
- INS Chetlat (T70)

이스라엘 Super Dvora Mk.II급 초계정 7척
- INS FAC T-80 (T80)
- INS FAC T-81 (T81)
- INS FAC T-82 (T82)
- INS FAC T-83 (T83)
- INS FAC T-84 (T84)
- INS FAC T-85 (T85)
- INS FAC T-86 (T86)

Aditya급 군수지원함 1척
- INS Aditya (A59)

Deepak급 연료보급함 1척
- INS Shakti (A57)

Jyoti급 연료보급함 1척
- INS Jyoti (A58)

Ambika급 연료보급선 1척
- INS Ambika

Pondicherry급 (러시아 Natya I급) 기뢰탐색함 10척
- INS Bedi (M63)
- INS Bhavnagar (M64)
- INS Alleppey (M65)
- INS Ratnagiri (M66)
- INS Karwar (M67)
- INS Cannanore (M68)
- INS Cuddalore (M69)
- INS Kakinanda (M70)
- INS Kozhikode (M71)
- INS Konkan (M72)

Nilgiri급 (영국 Leander급) 호위함 개량형 훈련함 1척
- INS Krishna (F46)

Tir급 훈련함 1척
- INS Tir (A86)

Varuna급 항해훈련범선 2척
- INS Varuna
- INS Tarangini

Sandhyak급 해양조사선 8척
- INS Sandhayak (J18)
- INS Nirdeshak (J19)
- INS Nirupak (J14)
- INS Investigator (J15)
- INS Jamuna (J16)
- INS Sutlej (J17)
- INS Darshak (J20)
- INS Sarvekshak (J22)

Sagardhwani급 연구선 1척
- INS Sagardhwani (A74)

Matanga급 다목적예인선 1척
- INS Matanga (A53)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스페인이 운영했던 최초의 Light Fleet Carrier (CVL) SNS Dedalo (AO-1)는 미해군이 2차대전당시 건조하여 운영하던 경항모였습니다, 스페인해군도 몇차례 함명을 변경하는데 1967년 임대받은 후 첫 배치시 ASW 헬기항모로 제식명칭은 PH-01가 되며 1972년 스페인이 정식구입한 후에는 항공모함으로 재분류되어 1976년부터 PA-01가 되고 Harrier 전투기를 운영하면서부터 NATO의 관례에 따라 1980년부터 R-01이 됩니다. Dedalo는 스페인어이며 영어로는 Daedalus라는 의미입니다

구 미해군의 인디펜던스급 항공모함 7번함인 CVL-28 Cabot 경함대항모 Light Fleet Carrier (CVL)는 12년간 모스볼상태로 보관되다가 1965년부터 Philadelphia Naval Shipyard에서 개수작업을 받은 후 1967년 스페인에 임대되며 1972년 완전매각됩니다. 초기에 Dedalo는 스페인해군의 대잠전용 헬기 SH-3D Sea King만을 운영하는 헬기항모로 1967년부터 1976년까지 운용됩니다.

(참고로 미해군에서 운용된 USS Cabot 의 연혁을 살펴보면, Cleveland급 경순영함 Wilmington (CL-79)로 발주되어 New York Shipbuilding Corp., Camden, N.J에서 1942년 건조에 착수되었는데 곧 항모로 개수명령이 내려지고 CV-28이라는 제식명을 받습니다.
, 1943년 진수되어 "Light Aircraft Carrier" (CVL-28)라는 제식명을 부여받고 1943년 취역하여 2차대전중 Presidential Unit Citation과 9쳑의 "Battle Stars" 소속으로 임무를 수행하며 1944년 일본 카미가제 공격으로 손상을 입고 1947년 퇴역하였습니다,
1947년 Naval Air Reserve 훈련항모로 재분류되어 1950년 부터 51년사이 ASW 임무를 위한 현대화 작업을 거친 후 1955년 퇴역하여 예비보관함으로 계류됩니다. 1959년 보관기간중 함의 용도가 재분류되어 "Aircraft Transport"가 되며 제식명은 AVT-3로 재명명되었고 이후 스페인에 임대하기로 결정되었습니다)

1972년 일련의 시험을 거친 후 스페인해군은 STOVL AV-8S Matadors (AV-8A Harrier)를 발주하여 운용하기로 하며 Dedalo는 오버홀 작업을 실시합니다. 이를 통해 수직이착륙하는 Harriers의 배기열로부터 나무로 된 갑판을 보호하기 위해 철판이 덧씌어지는데 이는 후미의 비행갑판부분에 실시됩니다. 첫번째 도입된 6대의 AV-8S 단좌형과 2대의 복좌형 TAV-8S가 스페인해군에 인도된 것은 1976년입니다. 이어 두번째 발주분인 4대의 AV-8S가 1980년 인도됩니다.

다른 Harrier를 운용하는 항모들이 ski-jump대를 설치하여 STOVL 의 이륙을 돕지만 Dedalo에는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Harrier전투기들의 이륙중량은 제한되었습니다.
SNS DeDalo (R-01) 항모의 전형적인 항공기 운영체계는 8대의 AV-8S 전투기와 4대의 Sea King ASW 헬기, 그리고 4대의 AB 212ASW Twin Hueys를 탑재하거나 Sikorsky S-55/CH-19, AH-1 Cobras등 스페인 육해공군의 특수한 헬기등이 이착륙하였습니다.

스페인해군에서 Dedalo항모가 운영된 내역을 합해보면 1,650일동안 300,000 miles을 항해했고 항공기 이착함 횟수는 30,000번에 달하며 1대의 AV-8A 와 3대의 AB 212ASW 헬기가 사고로 손실됩니다.
SNS Dedalo함은 1989년 퇴역하였으며 미국 New Orleans항으로 돌아온 후 2003년 스크랩처리되었습니다.

사실 이 항모를 미국이 임대해준 시기는 바로 프랑코 휘하의 독재체제국가였습니다. NATO에도 가입하지 못하고 있던 스페인이지만 대서양과 지중해을 관할하는 스페인의 지정학적 위치때문에 미국은 당시 러시아의 잠수함을 견제하도록 대잠전을 지원할 목적으로 CVL-28 Cabot항모를 대잠 항공모함으로 임대하여 원거리 대잠전 임무를 수행하도록 합니다.
그러나 너무 낡은 함정이고 Harrier운용에도 문제가 있어 미국으로부터 SCS 제해함(Sea Control Ship)으로 알려진 저강도 분쟁지역에서 대잠 위협 억제용으로 제안된 경항공모함 도면을 인수합니다. 이 제해함은 당시 대량건도되던 Spruance급 구축함의 선체를 바탕으로 추진관은 LM2500 가스터빈 4기를 2기로 줄인 경제적 함정으로 가격이 저렴한 이점이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스키점프대를 설치하고 자함방어용 메로카 CIWS를 장착한 Principe de Asturias R-11호를 건조하여 1988년 취역하면서 Dedalo 항모는 1989년 퇴역시킬 수 있었습니다. (글참조 http://whitebase.egloos.com/3584221㈜ Luthien's 망상공방님)

 

격납고 크기 : 70 m x 13 m x 5 m
비행갑판 크기 : 168 × 22 m, 2 elevators

제원
배수량: 11,000
길이: 622.5 ft (189.7 m)
함폭: 71.5 ft (21.8 m) (홀수선), 109 ft 2 in (33.3 m) (전장)
홀수: 26 ft (7.9 m)
추진기관: "B&W" 보일러 4기와 GE 터빈 4기로 4축 추진 100,000 hp,
속도: 32 knots (59 km/h)
승조원: 무려 1,112명?
센서및 관제 시스템: Radar "SPS-6" aerial, Panels 2 "WRL-1"
무장:

26 × Bofors 40 mm 기관포와 Subaquatic 무장으로 "Mk 63"2기와 "Mk 57" 2기등의 기뢰
항공기: AV-8S 8대, SH-3D 8대까지 최대 33대의 고정익기와 헬기 탑재 가능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파키스탄해군이 운용중인 비무장 해상 초계기 F-27-200 Fokker Friendship 입니다.

F-27 Friendship은 1976년 네덜란드 Fokker사가 개발하였으며 1978년부터 생산을 시작합니다.
초계용 항공기는 기수 부분에 기상관측 레이더 RLS를 장착하고 있으며 수색용 레이더 AN/APS-504 V5와 APS-140 V 안테나는 동체하부 페어링부에 장착하고 있습니다.
자동조종비행시스템과 조합된 특수항법시스템을 탑재하였으며 무선고도계와 함께 조종사의 조작없이도 고도 45m에서 선택된 표적을 정찰할 수 있습니다.
또한 REO 구성은 수중 음파 탐지기 AQS-902, 전자 정찰 시스템 ELT/263, 중앙 전술상 체계 TATTIX등으로 되어 있습니다.
전방 외부 연료탱크하부에는 서치라이트가 장착되었고 카메라와 관성항법시스템등도 탑재되었습니다.
동체후미에는 화물용 도어가 있어 구조용 장비를 탑재한 낙하산을 투하할 수 있습니다.
장착엔진은 영국 Rolls-Royce사의 Dart MK/536-7R 터보프롭엔진 2기를 장착하며 최대출력 2,320 hp 이며 연료는 5,140 l를 탑재합니다. 추가적으로 주익 보조연료탱크에 각각 1,875 l를 탑재합니다.

2008년말 파키스탄 해군 항공대의 주요 항공기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Westland Lynx - 대함/대잠/수송 헬기 3대
Westland Sea King Mk45 - 수송헬기
Harbin Z-9EC - 헬기 1대
Aerospatiale SA-319B Alouette III - 수송/대함헬기 8대
Lockheed P-3C Orion - 해상수색/대잠/조기경보기 4대 (6대 이상 추가 도입예정)
Fokker F27-200 Friendship - 해상수색기 5대
Breguet Atlantique I - 해상수색/대잠전기 2~3대
Dassault Mirage V - 대함공격전폭기 12대이상이 해군소속이지만 공군이 운용중

향후도입 계획
6대이상의 신형헬기를 도입하여 Westland Sea King Mk45 대체 추진중.
Aerospatiale SA-319B Alouette III 대체용으로 적어도 8대 이상 도입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미국 Military Sealift Command (MSC) 소속 화물및 탄약보급함 USNS Lewis and Clark (T-AKE-1)호는 Lewis and Clark급 선도함으로 미해군의 차세대 전투병참군용 보급함 (Combat Logistics Force (CLF)으로 기존에 미해군이 운영중이던 15척의 Mars급과 Sirius급 전투장비보급함및 Kilauea급 탄약보급함을 대체합니다. 또한 Henry J. Kaiser급 유류보급함과 함께 운용할 경우 Lewis and Clark 급은 Sacramento급 고속전투지원함을 대체할 것입니다.

첫단계로 모두 12척이 건조될 예정으로 일번함 USNS Lewis and Clark (T-AKE-1)호는 2006년부터 MSC에서 임무를 시작하였으며 40년간 운용수명을 가지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급의 함정들은 미국의 유명한 탐험가나 개척자들의 이름이 명명됩니다.

USNS Lewis and Clark (T-AKE-1)호 연혁및 제원
함명유래: Meriwether Lewis and William Clark
발주: 18 October 2001
건조착수: 23 March 2004
진수: 21 May 2005
배치 : 20 June 2006

 

일반제원
형식: Lewis and Clark-class cargo ship
배수량: 41,000 tons (41,700 t)
길이: 689 ft (210 m)
함폭: 105.6 ft (32.2 m)
홀수: 29.9 ft (9.1 m)
추진기관: 전기통합식 추진시스템으로 6.6 kV by FM/MAN B&W 디젤발전기를 통해 전기모터로 1축의 고정식 피치 프로펠러와 bow thruster 가동
속도: 20 knots (37 km/h)
항속거리: 14,000 nautical miles at 20 knots, (26,000 km at 37 km/h)
적재량:
최대 dry cargo 중량 : 5,910 long tons (6,005 t)
최대 dry cargo부피 : 783,000 cubic feet (22,000 m³)
최대 보급연료 탑재량 : 2,350 long tons (2,390 t)
적재 화물 연료부피:  18,000 barrels (2,900 m³), (DFM: 10,500) (JP5:7,500) 
승조원 : 군인 49명, 민간인 123명
헬기: 2대

Lewis and Clark급 건조 내역
USNS Lewis and Clark (T-AKE-1) Launched 21 May 2005
USNS Sacagawea (T-AKE-2) Launched 24 June 2006
USNS Alan Shepard (T-AKE-3) Launched 6 December 2006
USNS Richard E. Byrd (T-AKE-4) Launched 15 May 2007
USNS Robert E. Peary (T-AKE-5) Launched 27 October 2007
USNS Amelia Earhart (T-AKE-6) Launched 8 April 2008
USNS Carl Brashear (T-AKE-7) Keel laid 2 November 2007
USNS Wally Schirra (T-AKE-8) Ordered 12 January 2005
USNS Matthew Perry (T-AKE-9) Ordered 1 January 2006
USNS Charles Drew (T-AKE-10) Ordered February 2008
USNS Washington Chambers (T-AKE-11)
USNS William McLean (T-AKE-12)
USNS Unnamed (T-AKE-13)
USNS Unnamed (T-AKE-14)

2009년 1월 7일 페르시아만의 5함대 관할해역에 배치되어 임무를 수행중인  Iwo Jima Expeditionary Strike Group 소속의 신형 상륙함 USS San Antonio (LPD 17)호에게 보급을 수행하는 USNS Lewis & Clark (T-AKE 1)호.

USNS Lewis & Clark (T-AKE 1)호 도면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function chg_div(id, cnt) { for(var i = 1; i <= cnt; i++) { var div_id = id + i; var obj = document.getElementById(div_id); if(obj.style.display != "none") { obj.style.display = "none"; var show_num = (i == cnt) ? 1 : i + 1; div_id = id + show_num; var show_obj = document.getElementById(div_id); show_obj.style.display = ""; return true; } } }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오만해군 Dhofar (Province)급 미사일 고속정은 영국에서 건조한 만재배수량 394톤의 Oman해군용 Province급 고속 초계정으로 4기의 Paxman Valenta 18RP200 디젤엔진으로 최대속도 39노트의 속도를 발휘하며 항속거리는 18노트 주행시 2천마일입니다.
승무원 45명이 승선하며 훈련병 14명이 추가로 승선할 수 있으며 주무장은 6기에서 8기의 Aerospatiale Exocet MM40 함대함미사일 발사기와 1문의 OTO Melara 3 inch/62 컴팩트함포, 2연장 Breda 40 mm/70 대공기관포와 2문의 측현장착 12.7 mm 기관총이 있습니다.

Dhofar (Province) 급 미사일 초계정 제원
만재배수량: 394 tons
선체치수: 56.7 x 8.2 x 2.1 meters (186 x 27 x 7 feet)
추진기관: 4 diesels, 4 축추진, 18,200 bhp, 40 knots
승조원: 45 + 14 cadets/transients
무장:
6 ~ 8 MM40 Exocet SSM,
1 76 mm OTO DP,
1 dual 40 mm AA,
2 12.7 mm MG

 


보유함 내역
B10 Dhofar 1982년 취역
B11 Al Sharquiyah 1983년
B12 Al Bat'nah 1984년
B14 Mussandam 1989년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이탈리아해군의 연안호위함인 Minerva급 콜벳은 1982년 첫번째 시리즈가 발주되었고 두번째 시리즈는 1987년 주문되어 됩니다.
그러나 계획된 세번째 발주는 새로운 초계함 Soldato급으로 인해 취소되었습니다.
이 콜벳은 내항성과 안정성이 뛰어나서 선체와 구조물 사이에 균형이 잘 잡힌 함정으로 유명한데 작은 크기의 구조물은 제한적인 전자기적 신호만을 제공하고 갑판은 장래에 무장 시스템을 추가할 수 있는 개방된 공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자동화된 설비를 갖추고 있어 브릿지로부터 직접적인 기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Minerva급 콜벳은 연안방어, 어선 감시, 경제수역 보호와 초계임무와 대도시 인근 항 보호, 해군수병 훈련등 매우 다양한 임무도 수행합니다.
첫번째 건조분 함정들은 Aspide 대공미사일 발사기를 제거하고 어뢰발사관을 장비하였습니다.

제원
선체치수: 87 x 10,5 x 3,2 (4,8) m
만재배수량: 1.285 tons
기준배수량, 1.029 tons
추진기관: Grandi Motori Trieste BM-230.20 DVM 디젤엔진 2기로 지속출력 11,000 HP (8,088 kW)
최대속도 25 knots
항속거리 3500 miles / 18 knots
승조원: 7 + 113

무장:
4/6 OTO Melara Teseo Mk 2 기관포 1문
Albatros 8연장 Aspide 대공미사일 발사기 1기, 재장전용 미사일 탄장 보유
Oto Melara 76/62 mm compact 함포 1문
어뢰발사관 3연장 2기, 어뢰 324 mm whitehead Mu-90

레이더:
Selenia RAN 10s (SPS 774) for air / surface search in E/F band;
SMA SPS-728(V)2 for navigation in I band;
2 Selenia RTN 30X (SPG-76) for Albatross and 76/62

소너: Raytheon/Elsag DE 1167 on the bulb for research and attack that works on 7,5-12 kHz

이탈리아해군의 연안호위함인 Minerva급 콜벳은 1982년 첫번째 시리즈가 발주되었고 두번째 시리즈는 1987년 주문되어 됩니다.
그러나 계획된 세번째 발주는 새로운 초계함 Soldato급으로 인해 취소되었습니다.
이 콜벳은 내항성과 안정성이 뛰어나서 선체와 구조물 사이에 균형이 잘 잡힌 함정으로 유명한데 작은 크기의 구조물은 제한적인 전자기적 신호만을 제공하고 갑판은 장래에 무장 시스템을 추가할 수 있는 개방된 공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자동화된 설비를 갖추고 있어 브릿지로부터 직접적인 기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Minerva급 콜벳은 연안방어, 어선 감시, 경제수역 보호와 초계임무와 대도시 인근 항 보호, 해군수병 훈련등 매우 다양한 임무도 수행합니다.
첫번째 건조분 함정들은 Aspide 대공미사일 발사기를 제거하고 어뢰발사관을 장비하였습니다.

건조사: Fincantieri S.p.a. on Riva Trigoso and Muggiano
건조함 내역
I series ;
Number Name Year comm. Homeport
F551 Minerva 1987 Augusta
F552 Urania 1987 Augusta
F553 Danaide 1987 Augusta
F554 Sfinge 1988 Augusta

시리즈; 수 유명한 년 comm. Homeport F551 Minerva 1987년 오거스타 F552 Urania 1987년 오거스타 F553 Danaide 1987년 오거스타 F554 Sfinge 1988년 오거스타 II


II series ;
Number Name Year comm. Homeport
F555 Driade 1990 Augusta
F556 Chimera 1991 Augusta
F557 Fenice 1990 Augusta
F558 Sibilla 1991 Augusta

시리즈; 수 유명한 년 comm. Homeport F555 Driade 1990년 오거스타 F556 키메라 1991년 오거스타 F557 Fenice 1990년 오거스타 F558 Sibilla 1991년 오거스타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우크라이나해군 Mukha급 하이드로포일형 대잠 콜벳 MPK-215호로 1987년 취역하였으며 비교적 이른 2001년 퇴역하였습니다.


또하나의 동급함으로 MPK-231호가 있었는데 완성되지 못하고 1994년 건조가 취소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3척 모두 우크라이나해군용으로 건조되었지만 MPK-220호는 러시안연방해체후 러시아해군의 흑해함대 소속으로 현재도 운용되고 있으며 나머지 2척은 스크랩처리되었습니다.

대잠용 콜벳 Project 11451 Mukha급이라고도 불리는 하이드로포일형식 함정입니다. 러시아어로는 Malyy Protivolodochnyy Korabl' (MPK)로 소형 대잠함정이라는 의미입니다.
'Babochka' 급 ASW hydrofoil 을 개량하여 개발하였는데 선체는 동일하지만 무장과 추진기관은 상이합니다. 우크라이나의 Feodosiya에 있는 FSO "More"에서 MPK "Vladimiretc"호에서 3척의 건조를 추진하였습니다. 

MDK-220호와 정박중인 MDK-215호 모습으로 러시아연방 붕괴전 사진으로 추정합니다.

 

제원입니다.

엔진같은 경우 앞서 올린 MDK-220호와 완전히 다른 자료입니다.
기준배수량: 362 tons
만재배수량: 468.1 tons
선체길이 163 ft  7 in (50.0 m)
선체폭 32 ft  5 in ( 9.9 m)
Foil 전개시 폭 69 ft  6 in (21.2 m)
선체홀수 14 ft  8 in ( 4.5 m) 
Foil포함 홀수 23 ft 10 in ( 7.3 m) over foils
주추진기관 CODAG: NK-12M 가속용 가스터빈 2기(각 18,000 shp), M-401 디젤엔진 2기 (각 1,200 bhp); 합계 출력 38,400 total 3축추진
보조추진기관; Kort-Nozzle low-speed thusters 2기
최대속도: 50 knots
항속거리: 750 nm at 50 kts.(디젤엔진 1기로 추진시); 1,200 nm at 12 kts.; 2,000 nm at 8 kts.
승조원:  39명 (5 Off. + 34 Enl.)
무장
76.2-mm/59 cal. (AK-176) DP 함포 1문
30-mm/54 cal. (AK-630M) Gatling CIWS 2문
4연장 어뢰발사관 224-mm (TR-224) ASW 2기
레이더 Reyd (Peel Xcone**) surface search/navigation 1기, Don-2** navigation 1기
사격통제 MR-123 Vympel (Bass Tilt**) 1기
소너 Zevezda-M1 선체장착 가변디핑 소나 1기
EW : PK-16 16연장 기만로켓발사기 2기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Anzac급 프리깃함
개관
첫번째 안작급 프리기트함의 진수는 호주 해군력 개발에 있어서 하나의 중요한 이정표쯤으로 볼수 있다. 1989년 호주와 뉴질랜드간에 신형 프리기트함 공동 건조계획을 세우고 호주의 조선소인 Transfield Defence Systems에서 총 10척의 함정을 건조하여 그중 호주가 8척, 뉴질랜드가 2척을 획득하기로 계약하였다.
호주 해군용으로 건조된 안작급 1번함인 HMAS ANZAC호는 1996년 5월 취역하였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프로그램
15년간에 걸친 호주와 뉴질랜드의 신형 프리기트 건조 계획에는 미국 달러로 약 38억달러정도가 소요될 예정으로, 이것은 여태까지 호주가 맺은 방산관련 프로젝트중 가장 대규모의 것이다.
호주의 Transfield사가 주간 계약사로 함의 전체적 설계/성능/시스템 인터그레이션부분을 맡았으며, 메코級 프리기트함과 독일의 F123형 브란덴부르크級 프리기트함, F124 작센급 프리기트함의 개발社로 유명한 Blohm + Voss사의 호주지사인 Blohm + Voss 오스트레일리아(Blohm + Voss Australia)가 플랫폼의 설계/ 연습 전투시스템(PRACTICAL COMBAT SYSTEM이라고 되어 있는데 PRACTICAL이 연습이란 의미로 사용된 것인지 실제란 의미로 사용된 것인지 헷갈리네요.) 인터그레이션부분에 대한 공동 계약사로 선정되었으며, 스웨덴의 방산그룹 셀시우스그룹의 호주지사인 셀시우스테크 오스트레일리아(CelsiusTech Australia)사가 전자장비 인터그레이션과 전투시스템 설계자로 계약되었다.
이 함정의 건조는 호주의 빅토리아주 윌리암스타운(Williamstown)에 위치한 Transfield 조선소에서 Blohm + Voss社의 메코 200형의 모듈러 - 각종 탑재물의 호환성 극대화에 중점을 두고 개발한 프리기트급 함정의 선체로 지령/관제 시스템, 무장, 각종 장비, 센서류들을 사용자가 선정하여 장착 할수 있도록 철저히 모듈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마디로 이시대의 프리기트함의 베스트셀러쯤으로 볼수도 있을 것 같다. - 를 기본으로 하여 건조된다.
전강철제의 구조로 이 함정은 추가 장비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넉넉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며, 제한적이나마 스텔스성이 고려되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디자인
안작급은 만재 배수량 3600톤, 길이 118m(만재시 수면에 면하게 되는 라인(워터라인) 기준 109m), 폭 14.8m, 빔 4.35m로 우리나라의 광개토대왕함級 프리기트함보다 약간 짧고 통통한 형태이다.
최고속도는 27노트이며 최대항속거리는 18노트로 순항시 6000마일이다. 22명의 장교를 포함해서 163명의 승무원이 탑승하며, 다양한 기상조건하에서 평시 순시임무를 제대로 수행 할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추진
안작급 프리기트함은 우리나라의 광개토대왕함이나 F123 브란텐부르크급 프리기트, 네덜란드의 카렐도어만급 프리기트와 마찬가지로 CODOG방식의 추진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고속운항시에 사용할 가스터빈으로 3600rpm에서 33600마력의 출력을 내는 한개의 제너럴일렉트릭사제 LM 2500 개스터빈을 장착하며 순항시 사용하는 디젤엔진으로는 기당 1200rpm에서 4828마력의 출력을 내는 독일 MTU사제의 12V 1163 TB83 디젤엔진 2기를 장착하고 있다. 기관으로부터 연결되는 2개의 샤프트에는 가변 핏치형 스크류가 달려 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무장과 센서
안작급 프리기트함은 유나이티드 디펜스社의 UK Mk.45 Mod-2 127mm 함포와 1개의 셀마다 4발의 씨-스패로 미사일을 수납 할 수 있는 8개의 셀을 가진 Mk.41형 수직발사관(우리나라의 광개토대왕함이 Mk.48형의 씨스패로 전용 VLS를 가진것에 비하면 훨씬 더 현명한 선택인 것 같다. Mk.41형은 씨-스패로뿐 아니라 아스록 대잠 미사일, 스탠다드 함대공 미사일등을 적재할수 있는데 비해 Mk.48형은 씨-스패로와 차기 버젼인 ESSM만을 적재 할수 있을 뿐으로 향후의 업그레이드를 생각하면 더 현명한 선택인것으로 판단된다.)과 Thomson Sintra Pacific Spherion사의 함수장착 소나, 하푼 대함미사일, 골키퍼 CIWS, 견인형 소나등을 장착한다.
안작급의 전투 데이터 시스템은 링크 11과 SHF Satcom이 포함된 셀시우스테크社의 9LV 453 Mk-3 전투 관리 시스템이다.
무기관제는 함대공미사일 관제용의 레이디온사의 CW Mk-73을 사용하는 셀시우스테크社의 CelsiusTech 9LV 453 광학 디렉터를 사용한다.
대공 레이더는 레이디온社의 SPS-49(V)8 ANZ이며, 공중/수상 탐색용은 셀시우스테크社의 9LV 453TIR 레이더이다. 네비게이션 레이더는 STN Atlas Electronik社의 9600 ARPA이다.
이밖에 서방세계 수상함 소개치고 빠지지않고 등장하는 324mm Mk.32 어뢰발사용 튜브가 장착되어 Mk.46 어뢰를 발사 할 수 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전투 수행능력 개선 계획
애초에 차후의 보강이 용이하도록 넉넉하게 설계된 함정으로 실제로 호주해군 안작 전투력 개선계획(RAN Anzac Improved Warfighting Project)에 의해 전투력 보강이 계획되어 있다. 이 계획에는 씨-스패로를 대체하여 ESSM을 개함방공용의 미사일로 교체, 함대방공용의 스탠다드 SM-2 블록 Ⅲ 미사일을 신규로 채택, Mk.41형 VLS를 추가하며, BAe Ausralia Nulka사의 대미사일 혼란용의 신형 Offboard형 디코이의 추가, 씨-스키밍 미사일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위한 위상배열 다기능 레이더의 채용등이 포함되어 있다.
신규로 장착되는 위상배열레이더는 록히드마틴社의 AN/SPY-1F/ 시그날사의 APAR/ 브리티쉬에어로스페이스社의 샘슨(Sampson)/ CEA Technologies의 CEA-FAR중의 하나가 선택될 예정으로 결론적으로 이지스함적 성격을 부여받게 될것이다.

헬리콥터
호주 해군은 안작급 프리기트에 초기에는 우선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시콜스키의 씨-호크 S70B2를 사용하기로 하고, 추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11대의 카만社의 SH-2G 슈퍼 씨-스프라이트 헬리콥터를 주문하여 2000년 9월이후 배치 할 예정이다.
뉴질랜드 해군(Royal Navy of New Zealand : RNZN)은 다섯기의 SH-2G를 주문하였다. 호주해군의 SH-2G에 덴마크 콩스베르그(Kongsberg)사의 펭귄 Mk.2 Mod 7 공대함 미사일이나 혹은 펭귄미사일과 레이디온社의 마베릭미사일을 함께 사용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호주해군은 안작급 프리기트를 취역시키면서 점차 구형의 퍼쓰(Perth)급 구축함과 리버(River)급 프리기트함을 퇴역시킬 예정이다.
한편 1980년부터 1993년까지 미국 해군이 퇴역시킨 올리버헤자드페리급 프리기트함 6척을 개수하여 구입 FFG-7 아델라이드급 프리기트로 취역시킨 호주해군은 이함정들을 Progressive Upgrade Programme에 의해서 3억6천9백만 US달러이상의 비용을 들여 업그레이드 시킬 예정이다.
이밖에 호주해군은 6척의 콜린스급 잠수함과 두척의 훈련/지원함, 6척의 해안소해함, 9∼12 척의 연안 경비정, 두척의 하이드로그래픽 함을 추가 획득 할 예정이다. --- 1999년 2월 4일 작성됨.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1999년 2월 22일 추가된 내용
naval-technology 싸이트의 안작級에 대한 설명에는 이 함정이 빅토리아州 윌리암스타운(Williamstown)에 위치한 Transfield 조선소에서 건조된 것으로 되었으나, 호주 해군 홈페이지에는 Tenix Defence Systems Pty Ltd.이 건조사로 되어 있다.
또한 승무원의 수도 naval-technology에는 164명, 호주해군 홈페이지에는 163명으로 되어 있다.
1번함인 안작함의 취역일도 naval-technology에는 4월로 되어 있으나, 호주해군 홈페이지에는 5월 13일로 되어 있다.

1999년 8월 23일 추가된 내용
아래의 내용은 백선호님께서 이 홈페이지의 Military-Web Board에 올려주신 내용이다.

오스트렐리아의 FFG-7급은 전부 미해군 퇴역함을 사들인 것이 아니고 처음 4척은 오스트렐리아해군용으로 건조한 함입니다. 나머지 2척은 중고함을 사들인 것으로 보입니다만 이것은 확인을 해봐야 겠네요.
Adelaide(1980), Canberra(1981), Sydney(1983), Darwin(1984), Melbourne(1992), Newcastle(1992)
위의 함들은 "FFG Progressive Upgrade Project(?)/Plan(?)"란 계획에 따라 ESSM 32발용 Mk.41 VLS 8셀이 추가되고 사격통제 시스템도 Mk.92 Mod.12로 개량될 예정입니다.
Tenix에서 기존의 SPS-49/CAS/STIR에서 CAS(=Combined Antenna System)와 STIR(=Separate Tracking and Illumination Radar)를 떼고 그자리에 대신 Mk.74/SPG-51 사격통제 레이다 2기를 달고 독일 DASA제 TRS-3D 3차원 레이다도 추가하는 제안을 했지만 탈락했읍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안작급의 일반제원>
크기,성능 승무원 : 163名(22名의 사관포함) - naval technology자료/ 164名 - 호주해군자료
배수량 : 3,600톤(만재시)
전장 : 118m
함폭(Beam) : 14.8m
흘수선 : 4.35m
속도 : 27노트(최고)/ 18노트(순항)
항속거리 : 6,000해상마일(18노트로 순항시)
무장 함대공미사일 : 1×8-cell Mk 41 VLS (씨스패로미사일), 154-157번함에는 ESSM장착예정
함대함미사일 : 하푼(현재미장착)
포 : 1×127 mm Mk 45 Mod 2
어뢰 : 2×324 mm 3연장 어뢰발사관, Mk 46 Mod 5 어뢰
함재헬리콥터 : 1×S-70B 씨호크(후에 SH-2G 씨스프라이트로 교체예정)
전투데이터시스템 : 셀시우스테크 9LV 453
무기관제 : 셀시우스테크 9LV 453 optronic director, 레이디온 CW Mk 73(씨스페로미사일관제용)
대응수단 ESM : Racal Thorn Sceptre A
Decoys : SRBOC launchers for SRBOC and Sea Gnat/ 4 x launchers for BAeAus Nulka decoy
레이더 대공수색 : 레이디온 AN/SPS-49(V)8 ANZ C/D 밴드
대공/수상 수색 : 셀시우스테크 9LV 453 TIR G-밴드
항법 : STN Atlas Elektronik 9600 ARPA I-밴드
소나 : Thomson Sintra Spherion B hull-mounted
추진 형식 : CODOG
고속 : 1×GE LM 2500 개스터빈, 22.5 MW
순항 : 2×MTU 12V 1163 TB83 디젤엔진, 6.5 MW
(글출처 : 이성찬의 최신무기지료)

뉴질랜드해군 취역함 내역 - 함명, 건조, 진수, 취역 순서
HMNZS Te Kaha (F77) F77 September 19, 1994 July 22, 1995 July 26, 1997 RNZN Devonport
HMNZS Te Mana (F111) F111 June 28, 1996 May 10, 1997 December 10, 1999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