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카사흐스탄 동부의 샤리 샤간 미사일 시험장에서 진행된 A-235 ABM(Anti Ballistic Missile)으로 추정되는 대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영상입니다. A-235 ABM은 2단 고체연료 탄도탄 요격미사일로 모스크바의 방공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개발중인 고고도 대공방어 시스템인데요 구 소련 시절 핵탄두를 탑재한 A-135 ABM를 개량한 대공 체계로 고고도 뿐만 아니라 저고도도 요격이 가능하도록 개발 중이라고 합니다.
[영상] “뭐가 날아갔나?” 순식간에 사라진 러 신형 요격미사일
유용원 군사전문기자 입력 : 2020.11.27 14:29
러시아 국방부가 최근 미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등을 요격하기 위해 개발한 최신형 요격미사일 발사 영상을 공개했다. 지난달 카자흐스탄 동부 샤리 샤간 미사일 시험장에서 진행된 A-235 ABM(Anti Ballistic Missile)으로 추정되는 요격미사일 시험발사 영상이다. 미사일이 발사 직후 순식간에 시야에서 사라질 정도로 엄청나게 빨라 이 영상을 본 네티즌들은 댓글을 통해 “뭐가 날아 갔나?” “처음 보는 어마무시한 속도를 자랑하는 요격 미사일”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영상에는 미사일 지하 사일로(격납시설)에서 미사일이 발사된 뒤 순식간에 구름속으로 사라지는 장면을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장면들과, 차량으로 운반한 요격 미사일을 사일로에 집어넣는 장면 등이 포함됐다.
러시아 신형 요격미사일 A-235가 사일로(지하 격납시설)에 탑재되고 있다. /러 국방부 영상 캡쳐
A-235 미사일은 2단 고체연료 요격미사일로, 최대 속도는 마하 5~10(음속의 5~10배) 이상의 극초음속을 자랑한다. 미 ICBM 공격으로부터 모스크바 등의 방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됐으며 A-135 등 러시아 구형 미사일 방어(MD) 체계를 대체할 예정이다. 구형 요격미사일이 핵탄두를 장착하고 있었던 데 비해 A-235는 핵탄두외에 재래식 탄두로 직격(hit-to-kill) 방식으로도 요격이 가능하다는 게 특징이다. 직격(hit-to-kill) 방식은 SM-3, 패트리엇 등 미 요격미사일들이 택하고 있는 방식이다.
A-235 시스템은 장거리, 중거리, 단거리 등 3개 형태로 개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장거리 요격미사일은 최대 사거리 1500㎞, 요격고도 800㎞, 중거리 요격미사일은 최대 사거리 1000㎞, 최대 요격고도 120㎞다. 단거리는 최대 사거리 350㎞, 최대 요격고도 40~50㎞로 미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보다 사거리는 길고 요격고도는 낮다. 단거리 미사일은 러시아 최신형 대공미사일인 S-500과도 연동해 운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위인.교육.기타 > 시사.뉴스.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로템, 다목적 무인차량 'Sherpa'를 만나다! (0) | 2020.11.30 |
---|---|
[朝鮮칼럼 The Column] 주 52시간제 앞둔 중소기업의 기막힌 현실 (0) | 2020.11.29 |
진중권 “문 대통령, 윤석열 해임하며 ‘악어의 눈물’ 연출할 것” (0) | 2020.11.28 |
野도 염려한 꽃상여…"秋, 법치주의 죽였다" 칼바람 뚫고 행진 (0) | 2020.11.28 |
BTR-50 병력수송장갑차 (0) | 2020.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