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사관학교 제69기 졸업 및 임관식 실시, 172명 졸업 / 공군 제공
작성자: 운영자 유용원
조회: 2277 추천: 1
작성일: 2021-03-19 10:12:15
영예의 대통령상 수상한 조아인 소위
3대 군인 가문, 이현우 소위
지·덕·체를 겸비한 생도들의 귀감, 김현일 소위
대한민국에서 항공의 꿈을 키운 제69기 수탁생도들 (상단부터 필리핀 수탁생도 엔리케즈 글랜 마이클, 몽골 수탁생도 바트수크 바트 에르데네)
제69기 공사 졸업 및 임관식에서 '보라매 형제' 두 쌍 탄생 (상단부터 이준범·이승범/박진권·박진웅, 형제)
공군사관학교 제69기 졸업 및 임관식 실시
- 2017년부터 4년간 강도 높은 교육·훈련 마친 사관생도 172명 졸업
- 조아인 소위, 졸업생 전체 수석으로 ‘대통령상’ 수상 영예
공군사관학교는(이하 ‘공사’) 3월 19일(금), 공사 성무연병장에서 졸업생도 172명(남 149명, 여 18명, 외국군 수탁생도 5명)을 대상으로「제69기 공군사관생도 졸업 및 임관식」을 거행한다.
행사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행사장 사전 소독 △ 행사 참석자 마스크 착용 및 발열 체크 등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외부인 초청 없이 개최된다. 순서는 △우등상 수여 △졸업증서 및 임관사령장 수여 △계급장 수여 △임관 선서 △대통령 축전 낭독 △장관 축사 △후배생도 축하행진 및 축하비행 순으로 약 60분간 진행한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코로나19로 인해 현장에 참석하지 못한 가족 및 친지들을 위해 국방TV 유튜브와 국방홍보원 페이스북을 통해 생중계 될 예정이며, 이들을 위한 특별 이벤트로 졸업생도들의 감사 인사 영상, 학부모 졸업 축하 영상 등이 상영된다.
* 국방TV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kfnmaniagoon
* 국방홍보원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demaclub/
이번에 정예 공군 소위로 임관하는 167명의 사관생도와 외국군 수탁생도 5명은 지난 2017년 입학하여 강도 높은 군사훈련과 생활교육, 학위교육을 이수하며 군사학사와 함께 문학사·이학사·공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특히, 이번 졸업생도들은 인공위성실습실, 비행체 설계·실습, 창의활동공간(FabLab) 등 공사에 구축된 스마트 캠퍼스를 활용한 ‘항공우주 특성화 교육’을 통해 미래 항공우주군으로서의 학문적 기반과 기본 소양을 닦았다. 또한, ‘토론역량 강화 교육’을 통해 국가와 군을 이끌어갈 창의적인 능력을 갖춘 차세대 정예 장교로 거듭났다.
졸업생 중 공사십훈(空士十訓)과 사관생도 신조를 몸소 실천하며 타 생도들에게 모범이 되었던 조아인 소위가 종합성적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대통령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또한, 주승규 소위가 ‘국무총리상’을, 이현우 소위가 ‘국방부장관상’을 각각 수여 받았다.
이밖에도 △지·덕·체를 겸비한 생도로서 ‘공군참모총장상’과 ‘최용덕상’, ‘성무철인상’을 함께 수상한 김현일 생도 △FA-50PH 조종사를 꿈꾸며 수탁생도 중 학교생활 우수자로 선정된 필리핀의 마이클 수탁생도와 꾸준한 성적상승으로 마지막 학기 종합 7등을 차지한 몽골의 바트 수탁생도 △‘보라매 형제’로서 미래의 조국 하늘을 함께 수호할 형 이승범 중위(공사 67기)에 이어 임관한 이준범 소위와, 형 박진웅 중위(공사68기)에 이어 임관한 박진권 소위 등이 화제의 인물로 주목받았다.
한편, 이번 졸업 및 임관식에는 참석하지 못했으나 현재 美 공사에서 위탁교육 중인 신인섭 생도는 내년 현지에서 졸업 후 국내로 돌아와 중위로 임관할 예정이다. 또한, 독일공군장교학교에서 위탁교육 중인 임성일 생도는 올해 현지에서 소위로 임관되며 2022년까지 교육을 받고 귀국할 예정이다. //끝//
'위인.교육.기타 > 시사.뉴스.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MP “북한, 미국 무시하며 중국과 연대 강화” (0) | 2021.03.23 |
---|---|
[단독] 與 ‘한명숙 구하기' 또 무산… 대검회의 14명중 10명 “무혐의” (0) | 2021.03.20 |
세계적 기업 삼성전자에 날아든 ‘3개의 화살’ (0) | 2021.03.11 |
한미 방위비 타결…올해 13.9% 올라 1조1,833억 원 (0) | 2021.03.10 |
미 정찰기들 최근 서해에 집중 출동! 북 아닌 중 겨냥? (0) | 2021.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