開泰寺

 

개태사를 옆구리에 매달고 말을 달리는 형상을 한 천호산 12 봉의 원래 이름은 황산(黃山).

 

세력을 넓혀가던 왕건이 이 근처 연산 뜰에서 후백제군과 자웅을 겨루던 중 수세에 몰리게 되었는데

갑자기 황산(黃山)에서 신장을 들고 말을 탄 병사들이 우루루 몰려나와 후백제군을 물리치게 되었고

내친김에 견훤의 아들 신검의 무릎을 꿇리고 실질적으로 대업을 이룬 뜻 깊은 장소이기도 하다.

 

 고려 건국과 치국 이념의 바탕은 불교였다던가?  개국에 대한 의미 부여와 미륵의 보살핌을

기원하는 장소로서도 이 곳은 매우 적절 했기에  그는 친히 절 이름을 짓고 기원문까지 지어

 호국의 원찰로 삼았던 모양. 물론,후백제 유민들을 다독거려 그 들의 민심을 얻고

숨진자들의 원혼을 달려려는 고도로 계산된 정치적 의미도 담겨있으리라.

 

개태(開泰)는 부처의 원력으로 태평성대를 연다는 뜻이고, 산 이름을 황산에서 천호(天護)로 바꾼것은

하늘의 보살핌을 기원한다는 의미가 담겨있다고 한다.

 

* 사진은  두 번째 문 이다 *

 

 

저 유명한 개태사 석조 삼존불을 안치한 건물인데

 "용화대보궁" 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개태사지 석조삼존불입상   *보물 제219호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은 경내(境內) 북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쪽을 주시하고 있다.

                    본존불은 높이 4.15m 크기로 복연(伏蓮:아래로 향한 연꽃) 의 방형 기단상에 안치되어 있는데,

                    중앙부에 만들어진 방형의 불대(佛臺) 후면에 2개의 구멍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본래는 광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불상의 형태는 크게 돌출된 육계에 둥그런 얼굴을 지니고 있으며,

                    이마에 백호가 선명하고 이목구비의 형태가 뚜렷하나 얼굴의 규모에 비해 크게 과장된 형상이다.

                    불상의 규모에 비해 크게 과장된 듯한 양손은 오른손을 들어 가슴에 붙이고,

                    왼손은 배에 대어 무엇을 잡은것처럼 만들었는데, 이로 미루어 본존은 아미타불로 추정된다.

 

                    좌우의 협시보살은 각각 시무외인, 여원인을 나타내고 있는데,

                    오른손과 왼손의 위치가 다르게 있다는 특징을 보인다.

 

                    보살상은 각각 지름 2m 내외의 팔각형 연꽃 대좌에 올려져 있으며, 높이는 3.12m 내외이다.

                    새로이 만들어진 얼굴은 육계가 크며, 본존불보다 더욱 치졸하다.

                    머리띠 장식은 귀 뒤로 어깨까지 내려져 있으며, 양팔에는 팔찌를 돌리고 있다.

                    법의는 우견편단으로 양팔에서 좌·우로 늘어져 있고, 배에서 무릎까지 한줄의 매듭장식이 드리워져 있다.

 

.

 

본존불을 가까이...

 

한동안 법회가 진행 중이더만 갑자기 우루루 법당을 빠져나와  모두들 점심 공양에  정신이 없을 즈음

혼자서 고요한 법당을 전세내어 촬영에 들어가게되었는데 법당 기둥엔 다음과 같이 적혀 있었다.

 

- 법당 내부 사진 촬영 금지 -

 

 

본존불에 더 가까이

                                            

                                                    개태사가 다시 복원된 것은, 이 마을에 살던 김광영 보살에 의해서 라고.

                                                    1930년 정월, 꿈에 관음보살의 계시를 받아 미륵불을 발굴하게 되었는데

                                                    또다시 “안 된다”는 계시가 내려서 계룡산으로 들어가 천일기도 치성 후,

                                                    천호산의 벽력석으로 석불의 머리를 조성하여 ‘발굴해낸 몸체’와 함께 복원했다고.

 

 

좌 협시보살

 

 

간이 작은 관계로 자세히 오래도록 살피진 못 했으나

여기저기 성형 흔적이....

 

 

우 협시보살

  

 

요사채인 우주당에서 바라본 "용화대보궁"

 

 

정법당을 오르는 계단 옆에 조용하게 자리한 "석불좌상 "

 

 

충남민속자료 제1호 개태사철확

                      

                            세간에 널리 알려진 개태사  철확(鐵鑊) 가마솥이다.

 

                           “어느 해의 일이다. 큰 스님 한 분이 개태사를 찾아와서 얼마 후 대홍수가 나서 본당의 부처님이 위험할 것이니

                            이 솥으로 본당에 이르는 물길을 막으면 불상은 안전할 것이다.” 라고 하는 것이었다.

 

                            이 말을 들은 스님들은 가마솥으로 본당 앞을 막았다. 과연 대홍수가 났는데 불상은 안전했지만

                           가마솥은 떠내려가 지금의 고양리 다리 근처에 묻히게 되었다고 한다.

 

                           이 쇠 솥으로 제방을 쌓으면 수해를 막아주고 풍년이 들게 한다라는 전설이 전해 온다.

                           이 가마솥의 뚜껑은 인근 천의 어디 엔가에 묻혀 있어 지금도 흐린 날에는 ‘윙’하는 소리가 들린다고...


 

                               승려들의 식사를 위해 국을 끓이던 것으로 지름 3m, 높이 1m, 둘레 9.4m

                               조선조  절이 없어지면서 벌판에 방치된 채로 있던 것을,

                               가뭄 때 솥을 다른 곳으로 옮기면 비가 온다고 하여 여기 저기로 옮겨다니가

                               연산 읍으로 옮겨진 후, 서쪽 냇가에 묻혀 있다가 일제강점기 때 발굴하여

                               서울에서 열린 경성박람회에 출품되기도 한 사연 많은 솥이다.

 

                               후엔 연산공원으로 옮겨졌다가 지금은 개태사의 우주정으로 옮겨오게 되었다고

 

                               일인에 의해 1435년 부산까지 반출해갔다가 솥에서 울려 나오는 큰 소리 때문에 반출되지 못하고,

                               도둑의 손에 고철로 부서질 때도 뇌성 같은 소리와 벼락이 치고 소나기가 내리면서

                               날이 갑자기 어두워져 모두 무서워서 도망쳤는데  그 때 파손된 부분이 현재 테두리에 남아 있다.

 

 

 

팔각 형태의 건물인데 안에 들어있는 주인공과 바로 옆 건물에

들어있는 주인공이 아무래도 서로 뒤바뀐 느낌이다

 

 

세상에....! 저 삐딱하게 걸린 편액 하나도 반듯하게 바로잡을 자가 이 절엔 없단 말인가.?

 

 

여러개의 방석을 깔고 앉은 이는 사연 많은  "나반존자"님 이시라고...

  

 

정법궁이라는 편액이 내 걸린 청기와 건물

저 안엔 단군과 부처, 그리고 관우의 영정이 들어있다는 말만 들었지 실제로 보진 못했다.

그 중에서도 단군 영정은 오원 장승업을 사사 했다는 '심전 안중식(1861~1919)이 그렸다고 한다.

 

 

 

정법당에 그려진 청룡

 

청기와가 어지러히 지붕에 흩어진 모습도 볼 수 있었는데

도대체 절집 사람들은 지붕에 올라가면 죄다 낙상이라도 한단 말인가?

 

 

문 아랫쪽에 조각된 거북

 

 

분명 기와 불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던데 정법당

건물을 저 지경으로 방치하는데는 무슨 사연이라도...?

 

 

원래의 자리에 신축한 우주당

개태사 미륵삼존불이 뫼 山 형상이고, 이 우주장의 건물도 뫼 山 형상이다.

이 뫼 山 두개가 합쳐지면 날 出 이되는데 이는 미륵의 강림을 의미한다나 뭐라나....

 

 

개태사오층석탑 (開泰寺五層石塔)

                      

                       문화재자료 제274호   

                       충남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396


 

                       절마당에 자리하고 있는 이 탑은 옛 터에 남아 있었는데,

                       절을 새로 지을 때 이곳으로 자리를 옮긴 것으로, 옮길 당시 아래 부분이 일부 없어져

                       완전한 제 모습을 갖추고 있지는 않다.

 

                       즉, 높직한 바닥돌 위로 기단(基壇)이 없어진 채,

                       5층의 탑신(塔身)만이 차례로 쌓여 있다. 탑신부의 각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새겼고,

                       몸돌을 덮고 있는 지붕돌에는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었다.

                       꼭대기에는 네모난 받침돌 위로 꽃봉오리 모양의 머리장식이 놓여 있다.


                       비록 일부가 없어져 본래의 모습을 볼 수 없는 것이 아쉽기는 하나,

                       조각 기법이 소박하고 단아한 기품이 느껴지는 탑으로,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측된다.

 

 

 

 

"용화대보궁"에서 바라본 천호산 12 봉

 

저 부드럽게 이어지는 산줄기 아래 수 많은 역사적 부침이 있었지만 그 중 최고의 이벤트를 꼽으라면

단연 황산벌 전투가 아닐까...? 계백의 원혼이 서린 곳. 계룡산의 관문이기도 한 이 곳 황산벌.

계백이 신라의 화랑 관창의 목을 날린 관동리도  이곳이요, 계백의 결사대가 숨을 거둔 장소도 이 근처다.

그런가 하면 왕건이 맞수였던 견훤의 아들 신검의 무릎을 꿀려 항복을 받아 낸 곳도 이 곳이지 않은가?

한 마디로, 뭔지 알 수 없는 수승하고 영험한 기운이 서려있는 산 이라는 느낌이 강하게 온다고나 할까?

 

 

개태사를 나와 황산벌을 가로질러 찾아간 곳은  계백의 묘와 "백제군사박물관".

 

 

백제군사박물관 트레이드마크

 

 

박물관 입구가 마치 무령왕릉을 연상케 한다.

 

 

마치, 계백의 포효가 귓전에 생생하게 들려오는 듯...

 

 

그 시대의 각종 무기

 

 

도검류

 

 

 

무기 제작 모습의 재현

 

 

 

황산벌 전투 미니어쳐

 

 

 박물관 문살

 

 

한창 피어나는 떼죽나무꽃

 

 

계백의 영정을 모신 사당

 

 

계백 장군 영정

 

 

사당 추녀의 공포 형식과 단청의 문양과 색감이 쉽게 접 하기 어려운 형태.?

 

 

 

계백의 달

                                                      - 윤순원-

 

                                     백중보름이라 했다

                                    그런 날이면 어쩌다 붉은 달을 볼 수 있다 했다

                                    나는 그 달을 가슴에 품었다

                                    내 생애 처음으로 한 남자를 만나 품었던 뜨거운 가슴으로,

                                    달이 울고 있었다.

                                    붉게 멍든 가슴으로 울음 삼키고 있었다



                                    아련한 등잔불 밑으로

                                    다소곳이 아미 숙여오는 밤이면

                                    하, 조신하여 하얀 보름달 같았을 백제의 여인

                                    깊고 아득한 눈빛으로 裸身 슬어 내리며

                                    굵고 단단한 두 팔로 그녀의 부드러운 허리를 안을 때마다

                                    이 뜨거움은 무엇이란 말이냐

                                    사랑이란 대체 무엇이란 말이냐, 곰삭이며

                                    젊은 계백은 되뇌었을 것이다.



                                    칼을 받아라

                                    나의 마지막 사랑이니라

                                    여인은 울지 않았다, 허리를 곧게 펴고

                                    계백의 깊은 눈 속으로 빨려 들어가듯

                                    그 큰 사랑이 황홀하여 목을 길게 늘였다.

                                    늙으신 어머니와 아이들이 잠에서 깨어나고 있었다

                                    백사장에서 평화롭게 모시조개를 건져 올리던 아이들

                                    백강 위로 짙은 안개 서서히 풀리며 햇살 드러나고 있었다



                                    계백은 울지 않았다

                                    백제불멸의 제단에 바쳐질 운명

                                    운명에 앞서 이미 스스로 내일을 정각했던 계백

                                    그는 아들을 베인 칼을 함부로 휘두르지 않았다.

                                    투구를 들어올린 소년은 입술이 붉었다

                                    끝내 되돌아 온 화랑의 勇과 氣를 죽일 수는 없었다

                                    아비의 가슴으로 관창의 머리를 돌려보냈다

                                    죽이지 않는 것이 자극하지 않는 것임을 계백은 익히 알고 있었다




                                    황산벌 불멸의 신화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이제 시작일 뿐이다

                                    세상의 그 어느 사랑이

                                    목숨을 접수함으로 사랑을 완성한 계백의 사랑보다 더 고귀한 사랑 있으랴

                                    하늘까지 뻗친 장도의 날 끝에서 영원히 빛 부실 휴머니즘이여,

                                    21세기의 청명한 동편의 밤하늘에

                                    피를 삼킨 붉은 달이 울고 있었다

                                    계백의 달이었다

 

                      

 

                                                  



                                                                      

 

 

 

 

 

.

 

 

출처 : 보헤미안의 유토피아
글쓴이 : 月 明 居 士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