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해군은 1963년 5월 16일 미국의 플레쳐급 구축함(DD)을 도입하여, 충무함이라 명명하면서 구축함 시대를 열었고, 다수의 미국 구축함을 들여와 주력 전투함으로 사용하였다. 1968년 1.21사태와 프에블로호 납치사건이 발생했고, 1969년 북한이 미국 정찰기 EL-121기를 격추시킨 사건이 발생하면서, 한반도에는 긴장이 고조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1969년 7월 25일 미국의 닉슨 대통령이 "아시아에서 재래식 전쟁이 발발할 경우 그 방위의 1차적 책임은 당사국이 져야 하며, 미국은 선택적이고 제한적으로 지원할 것" 이라는 이른바 '닉슨 독트린'을 발표하였다. 그 후 주한미군의 철수가 이어졌고 우리나라는 자주국방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율곡사업이 추진되었다. 한국해군은 1975년 7월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한국형 호위함(FFK) 국내건조를 추진하였으며, 현대중공업은 미국의 JJMA社의 지원을 받아 함정설계를 마쳤고, 우여곡절 끝에 1981년 1월 1일 한국형 호위함 1번함인 울산함이 취역하게 되었다. |
크기(m) | 102×11×3 | 추진방식 | CODOG |
톤수 | ㆍ경하 : 1,400톤 ㆍ만재 : 2,300톤 |
무 장 | ㆍHarpoon ㆍ76mm 함포 ㆍ30~40mm 함포 |
최대속력 | 34kts | 어 뢰 | 6발 |
항속거리 | 4,000nm / 15kts | 탐색장비 | ㆍ대공/대함/사통 레이더 ㆍ전자전장비 ㆍ선체고정형 음탐기 |
승조원 | 150여명 | 취역년도 | 1981 - |
'$cont.escTitle > 대한민국nav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KDX-1 1번함 광개토대왕함(DDH - 971) (0) | 2009.03.17 |
---|---|
[스크랩] 상륙함(LST)에 대하여,,, (0) | 2009.03.17 |
[스크랩] 차세대 한국형 구축함(KDX-Ⅱ 2번함976)인 문무대왕함. (0) | 2009.03.17 |
[스크랩] LPH - 6111독도함 (0) | 2009.03.17 |
[스크랩] 포술 최우수 전투함 <왕건>함 (0) | 2009.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