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루먼호
  노포크에 기항한 CVN-75 "해리 트루먼"호의 승무원들이 비행 갑판에 정렬해 있습니다.
트루먼호
  거대한 니미츠급의 위용을 보여주는 부분
니미츠급
LA급 공격원잠
  LA급 공격 원자력 잠수함 SSN-765 몽펠리어호도 기항해 있습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Iwo Jima ESG은 다목적 강습상륙함 USS Iwo Jima (LHD 7)를 중심으로

최신도크형 상륙함 USS San Antonio (LPD 17)호가 최초로 원정군에 합류하여 임무수헹을 시작하였으며

USS Carter Hall (LSD 50) 상륙함과 미사일 순양함 USS Vella Gulf (CG 72),

미사일 구축함 USS Roosevelt (DDG 80), USS Ramage (DDG 61),

그리고 공격잠수함 USS Hartford (SSN 768)등으로 구성되었습니다.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다목적 강습상륙함 USS Iwo Jima (LHD 7)호를 중심으로 구성된 Iwo Jima Expeditionary Strike Group소속으로 미해군 5함대와 6함대 관할지역에 배치되기위해 대서양을 항진중인 미해군의 최신형 도크형 수송상륙함 USS San Antonio (LPD 17)호가 9월 3일부터 9월 6일 사이 대서양을 항진중인 사진들입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미해병 중헬기 (HMM) 264 Black Knights 비행대 소속 AV-8B Harrier 공격기가 미해군 강습상륙함 USS Iwo Jima (LHD 7) 에 탑재되어 미해군 5, 6함대 관할지역으로 이동중 훈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USS Iwo Jima (LHD 7) 상륙함을 주축으로하는 Iwo Jima Expeditionary Strike Group은 대서양을 항진중으로 지중해부터 페르시아만까지를 작전지역으로 하여 대테러전 지원임무와 해상보안작전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미해군 Expeditionary Strike Group (ESG)은 Expeditionary Strike Force이라고도 하며 미해군이 1990년대부터 도입한 개념으로 Naval Expeditionary Task Force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미해군은 12개 Expeditionary Strike Groups과 12개 Carrier Strike Groups를 편성하고 있습니다.
2003년부터 미해병대와 미해군은 원정타격단 ESG(Expeditionary Strike Group)을 구성하여 고도의 기동성을 보유하며 효과적인 전세계적 임무를 자체적으로 지속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연안지역분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초수평상륙작전을 적용하여 편성된 타격군 조직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현재 미해군의 원정타격군은 다음과 같습니다
Tarawa Expeditionary Strike Group
Nassau Expeditionary Strike Group
Peleliu Expeditionary Strike Group
Wasp Expeditionary Strike Group
Essex Expeditionary Strike Group
Kearsarge Expeditionary Strike Group
Boxer Expeditionary Strike Group
Bataan Expeditionary Strike Group
Bonhomme Richard Expeditionary Strike Group
Iwo Jima Expeditionary Strike Group

다음은 USS Essex (LHD 2) 상륙함의 VMA 513 Nightmares 비행대소속 AV-8B Harrier 공격기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미해병 중헬기 (HMM) 264 Black Knights 비행대 소속 AV-8B Harrier 공격기가 미해군 강습상륙함 USS Iwo Jima (LHD 7) 에 탑재되어 미해군 5, 6함대 관할지역으로 이동중 훈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USS Iwo Jima (LHD 7) 상륙함을 주축으로하는 Iwo Jima Expeditionary Strike Group은 대서양을 항진중으로 지중해부터 페르시아만까지를 작전지역으로 하여 대테러전 지원임무와 해상보안작전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미해군 Expeditionary Strike Group (ESG)은 Expeditionary Strike Force이라고도 하며 미해군이 1990년대부터 도입한 개념으로 Naval Expeditionary Task Force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미해군은 12개 Expeditionary Strike Groups과 12개 Carrier Strike Groups를 편성하고 있습니다.
2003년부터 미해병대와 미해군은 원정타격단 ESG(Expeditionary Strike Group)을 구성하여 고도의 기동성을 보유하며 효과적인 전세계적 임무를 자체적으로 지속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연안지역분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초수평상륙작전을 적용하여 편성된 타격군 조직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현재 미해군의 원정타격군은 다음과 같습니다
Tarawa Expeditionary Strike Group
Nassau Expeditionary Strike Group
Peleliu Expeditionary Strike Group
Wasp Expeditionary Strike Group
Essex Expeditionary Strike Group
Kearsarge Expeditionary Strike Group
Boxer Expeditionary Strike Group
Bataan Expeditionary Strike Group
Bonhomme Richard Expeditionary Strike Group
Iwo Jima Expeditionary Strike Group

다음은 USS Essex (LHD 2) 상륙함의 VMA 513 Nightmares 비행대소속 AV-8B Harrier 공격기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프랑스의 뭉개져가는 자존심을 대변하는 전투기 Rafale이 미해군과 Joint Task Force Exercise "Operation Brimstone" 에 참가하여 대서양에서 미해군 항공모함 Theodore Roosevelt (CVN 71)에 이착함 훈련중인 장면입니다.

Rafale의 개발 목적은 멀티롤 전투기인데, 멀티롤 임무 근처도 아직 못가고 있으며 개량작업도 원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5~60년대 유아독존적 방식을 벗어나지 못한 무기체계 개발방식을 현재에도 적용한 프랑스의 실수를 볼 수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개  요 

1979년 말부터 프랑스 공군은 Mirage-2000 및 Jaguar의 대체기로서 차세대용 전투기 개발 착수,  Dassault사는 1983년 첨단기술의 다목적 전투기인 Rafale A 시제기 개발을 발표하였고, 1984년 6월 조립에 착수함. 1986턴 7월 첫 비행 실시하여  2000년 이후 프랑스 공군의 주 전력으로 운용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주요제원 및 성능      

구  분

내  용

구  분

내  용

항공기 크기(FT)

17.5×50.1×35.4

기  총

30mm×125발

중  량

최대이륙

54,000 lbs

최대속도

M 1.8

최대무장

20,944 lbs

최대 G

9G

엔  진

모 델

SNECMA M88-2E4

최대 항속거리

950 nm

추력(MIL)

2×10,950 lbs

이착륙거리

1,315/1,480 ft

추력(MAX)

2×16,400 lbs

무장장착대

14 POINT

레이더 TYPE

RBE 2(탈레스)

최대 상승고도

60,000 ft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주요 특성


   기 능

     - Rafale은 기본형태는 앞전후퇴각 45도이 델타익과 소형 카나드를 조합한 클로즈드 커플트 델타 형식으로 공기흡입구는 고정식

     - Rafale은 고속성능보다 천음속 영역에서 기동성과 가속성 중시

     - Rafale은 공대공 요격 공대지 공격 및 대공화기 제압 등의 임무에 적합한 다목적 전투기임.

     - 주익 배치는 미라지 2000식의 저익에서 중익으로 바꾸었으며, 동체의 단면적을 줄이고, 기체 아랫면을 많은 무장탑재가 가능토록 활용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기 술

     - 기체는 스텔스성을 가미하기 위해 최대한 소형 경량화 하도록 신소재를 많이 사용

     - 조종시스템은 디지털식 3중 FLY-BY-WIRE 시스템 구비

     - 고속, 고출력의 최신 컴퓨터에 의하여 비행제어와 엔진제어를 통합, 단순화시킴과 동시에 무장  시스템까지도 연계시켜 자동조종이 가능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장착능력

    - 무장은 최신형 DEFA 554 30mm 기총 1문이 탑재되며, 발사대가 12개소 마련되어 Matra사의 미카(mica)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및 Matra R550 매직(magic)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이 장착

    - 대지공격용으로는 엑조세 대함미사일, ASMP 핵미사일 탑재 가능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운용 현황 

프랑스 공군에 대한 라팔 C형의 인도는 2005년 6월부터 시작, 초도작전능력은 2007년 획득함. 라팔 해군형은 2002년 샤를르 드골 항모와 함께 아프칸에 파병되었으나, 아직 공대지 능력 미구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미해군 미사일구축함 USS Ramage (DDG 61)호와 USS Roosevelt (DDG 80)호가 호위를 하는

가운데 유류보급함 USNS Big Horn (T-AO 198)호가 다목적 강습상륙함 USS Iwo Jima (LHD 7)호에게 연료를 보급하며 대서양을 항진중입니다.
Iwo Jima함을 중심으로한 Iwo Jima Expeditionary Strike Group은 미해군 5함대와 6함대 관할지역에 배치되어 해상보보안작전을 지원할 것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Iwo Jima ESG은 다목적 강습상륙함 USS Iwo Jima (LHD 7)를 중심으로 최신도크형 상륙함 
USS San Antonio (LPD 17)호가 최초로 원정군에 합류하여 임무수헹을 시작하였으며 USS Carter Hall (LSD 50) 상륙함과 미사일 순양함 USS Vella Gulf (CG 72), 미사일 구축함 USS Roosevelt (DDG 80), USS Ramage (DDG 61),그리고 공격잠수함 USS Hartford (SSN 768)등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막연하게 5함대와 6함대 관할해역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미해군은 발표하고 있는데, 우리는 가능한 배치 지역이 어디인지 다음과 같이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

Gulf of Guinea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닌 지역으로 5개월간의 임무를 마치고 귀국하는 Nassau ESG에 이어 금년들어 가장 중요한 해역중 하나인 곳입니다. 이곳에서는 MEND가 Shell사의 $36억달러 짜리 “
Bonga” Floating Production, Storage, 및 Offloading vessel (FPSO)에 대한 공격이 있었던 곳입니다.

Black Sea
1936년 Montreux Convention이후 몇가지 룰이 적용되는 곳으로 45,000톤급 이상의 타국 함정은 배치할 수 없으며 3주이상 흑해내에서 작전을 할 수 없는 지역으로 USS McFaul (DDG 74)를 대신할 함정으로 USS Ramage (61)호를, 탄도미사일 수색및 지휘함 USS Mount Whitney (JCC 20)호를 대신하여 USS San Antonio (LPD 17)가 인도적 지원활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Somalia
해적 출몰이 잦은 지역으로 Maritime Security Patrol Area (MSPA)이 설립된 해역입니다. NATO 소속의 Task Force 150이 초계임무를 수행중이며 소말리아에서 아라비아해까지는 전략적으로도 중요한 지역입니다.
현재 캐나다해군 함정이 중핵을 수행중이며 홍헤에는 USS Peleliu (LHA 5)가 있어 미해군입장으로 Iwo Jima ESG의 우선적 배치지역은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만 해적들의 활동을 강하게 억제하기 위한 배치 가능성도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Iran

이란 공격설이 잠잠해진 현재 이스라엘의 위험스런 행동등이 예견되는 시기에 배치가 될 것은 아닐까 추측할 수 있는 지역입니다.
특히 신냉전시대의 도래가 점쳐지는 현재의 미국과 러시아의 관계에서 이란은 중요한 변수이기도 하며 이들의 돌발적인 Strait of Hormuz의 봉쇄 조짐등잉 예상되면 지체없는 배치가 예상되는 중요지역입니다.
특히 소함정과 기뢰, 점수함 탄도미사일등 모든 무기류가 전개될 수 있는 전략요충지인 해협내 3개의 섬 Abu Musa, Greater Tunb, 그리고 Lesser Tunb등에 대한 감시한 견제를 위해 함대의 배치가 필요한 해역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미해군 5함대 관할 North Arabian Sea에 배치된 USS Abraham Lincoln (CVN 72)항모를 주축으로 하는 Carrier Strike Group (CSG) 9 소속의 미해군 미사일 순양함 USS Mobile Bay (CG 53)호가 해상에서 고기동으로 항해하는 모습입니다.

CSG 9 소속함정들은 USS Shiloh (CG 67), USS Benfold (DDG 65),  USS Shoup (DDG 86), USS Louisville (SSN 724),  USS Rainier (AOE 7)등이 참가하고 있습니다.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2006년 9월 23일 진수된 후 무장과 각종 장비등의 치장공사를 실시한 미해군 신형 연안전투함 LCS-1 Freedom호가 7월 28일 첫 시험운항을 시작하였습니다.
미해군 태평양함대에 배치하게 될 ‘프리덤’ LCS-1은 배수량 3000톤급으로 미 해군이 보유한 군함 중에서는 비교적 경량이지만 BAE Systems Mk 110 57mm함포와 ‘RIM-116 Rolling Airframe Missiles’ 근접방어용 대공미사일시스템, Honeywell Mk 50 형 어뢰, ASuW 모듈에 탑재된 Non Line of Sight Launch System을 이용한 정밀유도미사일  NETFIRES PAM 를 탑재하며 근접방어용으로 2문의 50-cal 기관총을 탑재합니다. 
MH-60R/S Seahawks 헬기 2대와 MQ-8 Fire Scout 소형무인전투기, 12.2미터길이의 고속정과 11m의 소형함정도 적재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국가의 근해경비를 담당하는 경무장함정에 비하면 상당한 전투력을 갖추고 있는 셈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미 해군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항공모함과 이지스함 등 대형함정들도 근해작전을 수행할 수는 있지만 그들의 막강한 화력을 국지연안전투에 투입하는 것은 비효과적이라는 것이 미해군의 판단으로 LCS-1의 등장은 대다수의 연해 방어 작전을 구사하는 국가들에게 커다란 부담을 주게되며 중국같은 국가는 미해군 항공모함 외에 연안전투함(LCS)에 대한 대응능력도 강화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중국이 이처럼 LCS-1의 출현에 우려를 나타내는 것은 국가이익이 달린 주요 지역이 중국 근해로 타이완해협과 영토분쟁이 끊이지 않는 남사군도는 인접육지에 둘러싸인 지역이며 대중국 수출원유의 80%가 지나다니는 말레이해협도 중국 근해는 아니지만 대륙과 섬에 둘러싸여 있는 환경으로 LCS-1같은 함정의 주무대가 될 수 있음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LCS-1 Freedom 은 강을 거슬러 올라가며 강안의 육지를 공격하는 능력과 특수부대를 침투시키는 능력도 보유해 중국 장강(양쯔강) 유역의 각종 산업도시에 실제적인 위협이 될 수 있는데, 중국측은 LCS가 워터제트 추진을 이용하는 항해능력으로 아무런 장애 없이 큰 강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어 강 연안 광활한 지역의 주요 군사 경제 공업 교통 등 목표를 타격하고 특수부대를 통해 암살 등 고도의 특수작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고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해군력을 증강해 이들 지역에서의 중국의 이익을 지키려 했던 중국해군의 최우선 과제는 항공모함 보유로 미 해군을 견제하고 인도와 일본해군에 맞서려면 항공모함이 필요하고 핵추진잠수함과 대형 수상함정의 증강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은 이제 미해군의 LCS 실전배치에 따른 대응책의 수립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이를 위해 중국은 다양한 장비를 갖춘 경량호위함이 기타 함정을 지휘하는, 네트워크식 전투모델을 갖춘 연안전투함대를 조직할 것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LCS-1 이력

Ordered: May 2004 (NVR states December 15, 2004)
Builder: Marinette Marine, Marinette, Wisconsin
Laid down: 2 June 2005
Launched: 23 September 2006
Commissioned: Scheduled for September 2008 in Milwaukee, Wisconsin[1]
Homeport: Planned San Diego, CA

LCS-1 제원
Displacement: Appx. 3000 tons (full load)
Length: 378.3 ft (115.3 m)
Beam: 57.4 ft (17.5 m)
Draft: 12.1 ft (3.7 m)
Propulsion: 2 Rolls-Royce MT30 36 MW gas turbines, 2 Colt-Pielstick diesel engines, 4 Rolls-Royce waterjets
Speed: 45 knots (sea state 3)
Range: 1,500 nmi (2,800 km) at 50 knots (60 mph/90 km/h), 4,300 nmi (8,000 km) at 20 knots (20 mph/40 km/h)
Endurance: 21 days (336 hours)
Boats and landing
craft carried: 11 m RHIB, 40 ft (12 m) high-speed boats
Complement: 15 to 50 core crew, 75 mission crew (Blue and Gold crews)

Armament:
BAE Systems Mk 110 57 mm gun
RIM-116 Rolling Airframe Missiles
Honeywell Mk 50 Torpedo
NETFIRES PAM missile in the ASuW module
2 .50-cal guns 

Aircraft carried: 2 MH-60R/S Seahawks, MQ-8 Fire Scout 

Notes: Electrical power is provided by 4 Isotta Fraschini V1708 diesel engines with Hitzinger generator units rated at 800 kW each.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미해군 Los Angeles급 공격잠수함 USS Norfolk (SSN 714)호가 그리스 Crete섬의 Suda항을 정기 방문한 후 임무스행을 위해 바다로 향하는 모습입니다.
Norfolk호는 미해군 중앙사령부 관할 수역에서 독자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배치되어 있는 잠수함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LA급 원자력 추진 공격잠수함은 대잠수함전, 정보수집, 무력과시, 특수부대 수송, 기습작전, 순항미사일에 의한 지상공격, 기뢰부설, 수색과 구조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미해군 잠수함으로 무려 62척이나 건조되었습니다.
LA급 혹은 688급으로 설계되어 1976년 1번함인 Los Angeles호가 취역한 이후 앞서 건조된 17척은 벌써 퇴역할 정도로 오랜 기간동안 건조되어 미해군에 배치되었습니다.종전의 Sturgeon급이나 Thresher/Permit class급 잠수함 등에 비하여 월등하게 빠르고, 소음이 작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후속함인Seawolf 급이나 Virginia급이 등장하기 이전까지 가장 최신의 잠수함으로 당분간은 미해군 공격잠수함의 주력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냉전시대 미국 항공모함에 대하여 공격하는 구소련 잠수함과 수상 기동함대의 주력함정들을 공격하여 격침시키는 대잠수함전 및 대수상함전 수행을 주임무로 하는 공격용 잠수함으로 개발된 LA급 잠수함은 냉전이 종료된 후 현재에 이르러서는 대테러전과 해상안보 유지 작전에 중점 투입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승무원은 장교 14명과 수병 140명 등 총 154명이다. 함 내에는 이들에게 90일 이상 식사를 제공할 수 있는 식량을 보관하여 작전을 수행하며 바닷물을 담수로 바꾸어 주는 2개의 담수화 플랜트가 있어, 마실 물 등의 생활용수와 원자로의 가동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동력원인 원자로는 1회의 핵연료 충진으로 30년 동안 계속 사용할 수 있으며,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는 보조 전원공급 장치로 일반 발전기도 1대 장비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일반제원
기준배수량 : 5,751 tons
만재배수량 : 6,126 tons full,
적재중량(데드웨이트) 375 tons
길이: 110.3 m (361 ft 11 in)
함폭: 10 m (32 ft 10 in)
홀수: 9.7 m (31 ft 10 in)
승조원: 장교 12, 수병 98
추진기관: GE PWR S6G 핵반응로 1기. 증기터빈 2기
출력 : 35,000 hp (26 MW), 보조모터 1기 325 hp (242 kW), 1 축추진
수상속도: 20 knots
수중속도: 20+ knots - 최대수중 속도는 33+ knots이라고 알려짐
항속거리: 연료봉교체까지 30년간 무한
작전기간: 90 일- 승조원 음식과 식수등 교체
무장:
4×21 in (533 mm) 보우장착 어뢰발사돤 ,
Mk48 ADCAP 재장전 어뢰 10발
Tomahawk 지상공격용 block 3 SLCM 순항미사일
Harpoon 잠대함미사일
Mk67 이동식 기뢰 혹은 Mk60 captor 기뢰등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6월 20일부터 21일 사이에 독일 Kiel의 해군항에 나란히 정박하고 있는 미해군 이지스 순양함과 구축함입니다.

두 함정을 비교해 볼 수 있는 사진으로 순양함과 구축함으로 구분한 이유가 무엇일까 생각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좌측에 있는 함정은 Ticonderoga 급 이지스 순양함 USS Gettysburg (CG-64)호로 1991년 취역하였으며 기본적인 제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USS Gettysburg호는 1989년 진수되고 1991년 취역하였습니다. Ticonderoga급 순양함중 한척으로 만재배수량이 9,600 tons이며 함길이 173 m, 함폭은 17 m, 홀수 10 m입니다. 
4기의 General Electric LM2500 가스터빈으로 2축추진이며 총출력은 80,000 shp (60 MW)로 최대속도는 32.5 knots (60 km/h)에 달하며 승조원은 장교 33명에 수병 327명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주요 센서및 임무장비로는 AN/SPY-1A/B 다기능레이더와 AN/SPS-49 공중수색레이더, AN/SPG-62 사통레이더, AN/SPS-55 수상수색레이더, AN/SPQ-9 함포사통레이더등이며, AN/SQQ-89(V)3 소나시트는 AN/SQS-53B/C/D Active소나, AN/SQR-19 TACTAS Passive 소나등으로 구성되며 기타 AN/SQQ-28 Light 공중다목적시스템, AN/SLQ-32 Electronic Warfare Suite 등이 장착됩니다.

주무장은 61연장 Mk 41 수직발사기 2기에 122발의 RIM-66 SM-2, RIM-162 ESSM, BGM-109 Tomahawk, 혹은 RUM-139 VL-Asroc등을 탑재하며 RGM-84 Harpoon대함미사일 발사기 8기, Mark 45 5 in / 54 cal 경량함포 2문, 25 mm 기관포 2문, .50 cal (12.7 mm) 기관총 2~4정, Phalanx CIWS 시스템 2기, Mk 32 12.75 in (324 mm) 3연장어뢰발사관 2기등입니다,

우측 함정은 Arleigh Burke 급 이지스 구축함 USS Cole (DDG-67) 호입니다.
1996년 취역하였고 2000년 남예멘항에서 테러보트 공격으로 함에 구멍이 난 후 14개월동안 수리를 받은후 2002년부터 임무 수행을 시작한 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1995년 진수되어 1996년 취역하였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rleigh Burke급 구축함으로 기준배수량은 6,794.38 ton, 만재배수량은  8,885.66 ton으로 Ticonderoga급 순양함의 만재배수량이 9,600 tons보다 겨우 9백톤정도 작은 크기입니다.
사진상으로는 봐도 비슷한 체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함길이 154 m, 함폭 20 m, 홀수 9.4 m에 주추진기관은 Ticonderoga급 순양함과 같은 4기의 General Electric LM2500-30 가스터빈에 출력은 더 높은 100,000shaft horsepower (75 MW)  으로 2축추진방식에 최대속도는 30+ knots (56+ km/h)로 더 빨라졌습니다. 
항속거리는 20노트로 항해시 4,400 nm이며 (8,100 km at 37 km/h) 승조원은 장교 23명, 부사관 24명, 수병 291명입니다.

주요 센서류및 임무장비로는 AN/SPY-1D 다기능레이더, AN/SPS-67(V)2 단거리 2차원 수상수색및 항법레이더, AN/SPS-64(V)9 수상수색레이더, AN/SQS-53C Sonar Array, AN/SQR-19 Tactical Towed Array Sonar, AN/SQQ-28 LAMPS III Shipboard System 등이며
전자전및 기만장비로 AN/SLQ-32(V)2 Electronic Warfare System, AN/SLQ-25 Nixie Torpedo Countermeasures, MK 36 MOD 12 Decoy Launching System 및 AN/SLQ-39 CHAFF Buoys를 장착합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주무장은 29 연장과 61 연장 Mk 41 수직발사기 각 1기를 장착하고 90발의 RIM-66 SM-2, BGM-109 Tomahawk 혹은 RUM-139 VL-Asroc을 탑재하며 Mark 45 5/54 in (127/54 mm) 함포 1문, 25 mm 기관포 2문, .50 cal (12.7 mm) 기관총 4정, Phalanx CIWS 시스템 2기, Mk 32 12.75 in (324 mm) 3연장어뢰발사관 2기등입니다
또한 SH-60 Sea Hawk 대잠헬기 1대를 상시 탑재합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