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해군 Los Angeles급 잠수함 USS Annapolis (SSN 760)함이 Ice Exercise (ICEX) 2009 훈련에 참가하여 북극해의 얼음을 깨고 부상한 모습입니다.
Annapolis함과 또다른 LA급 잠수함 USS Helena (SSN 725)함이 참가한 ICEX 2009 훈련에서 LA급 잠수함들은 University of Washington Applied Physics Laboratory의 연구를 지원하면서 북극지역의 특징적 환경에 도전하고 훈련을 실시합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11월 8일 미해군의 최신 littoral combat함 USS Freedom (LCS 1)의 취역식이 Milwaukee, Wis의 Veterans Park 부두에서 거행되었습니다.  작년 11월초 사진을 올린 바 있는데, 추가로 다시 올리는 사진들입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1월 10일 거행될 취역식을 앞두고 예행연습중인 미해군이 Naval Station Norfolk항에 정박중인 신형 항공모함 Pre-commissioning Unit George H.W. Bush (CVN 77)호 옆을 지나고 있습니다.

2008년 12월 23일 Naval Station Norfolk항에 입항중인 Pre-commissioning Unit George H.W. Bush (CVN 77)호.

 

 

 

재미있는 사실은 George H.W. Bush 전 대통령의 이름을 딴 세계 최대 규모의 항공모함이 미 해군에 전달도 되기 전에 취역식이 먼저 열린다는 내용입니다.
오는 1월 20일 퇴임을 앞둔 George W. Bush 미국 대통령이 '아버지 항공모함' 취역식을 자신의 임기 내에 실시하기 위해 무리하게 일정을 잡았다는 것입니다. 
제조사인 Northrop Grumman Newport News 조선소에서 전하는 소식에 의하면 George H.W. Bush호'로 명명된 미해군의 Nimitz급 10번째이자 마지막 최신 항공모함으로 함번은 CVN 77인데 현재 공정률 97%로 시험운항도 거치지 않은 상태입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남은 작업은 페인팅, 라벨 부착, 부품 테스트 등으로 시험운항을 위해서 이들 공정이 마무리되어야만 하지만 미 해군은 일단 취역식을 가진 뒤 작업을 마치고 1월말부터 시험운항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미해군에서 
완성도 되지 않았고 시험운항도 실시하지 않은채 취역식을 거행한 함정은 상당히 적은 경우인데다 현재 생존 인물을 항공모함의 이름으로 사용하는 것조차 드문일인지라 이 항공모함에는 묘한 일들이 계속 발생하고 있는 것입니다.
미해군에서 군함 잠수함 항공모함 등이 미 해군에 전달되기 전에 취역식을 먼저 거행한 경우는 15번 있었다고 하는데 가장 최근 사례가 벌써 23년전인 1986년 9월에 거행된 LA급 잠수함 시카고호(SSN 721호) 취역식입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미국 Military Sealift Command (MSC) 소속 화물및 탄약보급함 USNS Lewis and Clark (T-AKE-1)호는 Lewis and Clark급 선도함으로 미해군의 차세대 전투병참군용 보급함 (Combat Logistics Force (CLF)으로 기존에 미해군이 운영중이던 15척의 Mars급과 Sirius급 전투장비보급함및 Kilauea급 탄약보급함을 대체합니다. 또한 Henry J. Kaiser급 유류보급함과 함께 운용할 경우 Lewis and Clark 급은 Sacramento급 고속전투지원함을 대체할 것입니다.

첫단계로 모두 12척이 건조될 예정으로 일번함 USNS Lewis and Clark (T-AKE-1)호는 2006년부터 MSC에서 임무를 시작하였으며 40년간 운용수명을 가지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급의 함정들은 미국의 유명한 탐험가나 개척자들의 이름이 명명됩니다.

USNS Lewis and Clark (T-AKE-1)호 연혁및 제원
함명유래: Meriwether Lewis and William Clark
발주: 18 October 2001
건조착수: 23 March 2004
진수: 21 May 2005
배치 : 20 June 2006

 

일반제원
형식: Lewis and Clark-class cargo ship
배수량: 41,000 tons (41,700 t)
길이: 689 ft (210 m)
함폭: 105.6 ft (32.2 m)
홀수: 29.9 ft (9.1 m)
추진기관: 전기통합식 추진시스템으로 6.6 kV by FM/MAN B&W 디젤발전기를 통해 전기모터로 1축의 고정식 피치 프로펠러와 bow thruster 가동
속도: 20 knots (37 km/h)
항속거리: 14,000 nautical miles at 20 knots, (26,000 km at 37 km/h)
적재량:
최대 dry cargo 중량 : 5,910 long tons (6,005 t)
최대 dry cargo부피 : 783,000 cubic feet (22,000 m³)
최대 보급연료 탑재량 : 2,350 long tons (2,390 t)
적재 화물 연료부피:  18,000 barrels (2,900 m³), (DFM: 10,500) (JP5:7,500) 
승조원 : 군인 49명, 민간인 123명
헬기: 2대

Lewis and Clark급 건조 내역
USNS Lewis and Clark (T-AKE-1) Launched 21 May 2005
USNS Sacagawea (T-AKE-2) Launched 24 June 2006
USNS Alan Shepard (T-AKE-3) Launched 6 December 2006
USNS Richard E. Byrd (T-AKE-4) Launched 15 May 2007
USNS Robert E. Peary (T-AKE-5) Launched 27 October 2007
USNS Amelia Earhart (T-AKE-6) Launched 8 April 2008
USNS Carl Brashear (T-AKE-7) Keel laid 2 November 2007
USNS Wally Schirra (T-AKE-8) Ordered 12 January 2005
USNS Matthew Perry (T-AKE-9) Ordered 1 January 2006
USNS Charles Drew (T-AKE-10) Ordered February 2008
USNS Washington Chambers (T-AKE-11)
USNS William McLean (T-AKE-12)
USNS Unnamed (T-AKE-13)
USNS Unnamed (T-AKE-14)

2009년 1월 7일 페르시아만의 5함대 관할해역에 배치되어 임무를 수행중인  Iwo Jima Expeditionary Strike Group 소속의 신형 상륙함 USS San Antonio (LPD 17)호에게 보급을 수행하는 USNS Lewis & Clark (T-AKE 1)호.

USNS Lewis & Clark (T-AKE 1)호 도면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function chg_div(id, cnt) { for(var i = 1; i <= cnt; i++) { var div_id = id + i; var obj = document.getElementById(div_id); if(obj.style.display != "none") { obj.style.display = "none"; var show_num = (i == cnt) ? 1 : i + 1; div_id = id + show_num; var show_obj = document.getElementById(div_id); show_obj.style.display = ""; return true; } } }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1989년 5월 19일 중국 상하이를 친선 방문하는7함대 기함 USS BLUE RIDGE (LCC-19)호와 순양함 USS STERETT (CG-31), 프리깃 USS RODNEY M. DAVIS (FFG-60)호 모습입니다.
1979년 1월 1일 수교한 양국은 10주년 기념의 일환으로 7함대 함정이 중국을 방문하였습니다.

 

 

 

 미해군 Belknap급 순양함 Sterett (CG-31)
현대 미해군의 유도미사일 순양함은 전장전력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들 함정은 항모를 지원하거나 전함 전투군, 상륙군, 독립적인 작전이나 수상 작전군의 기함등에서 AAW, ASW, ASUW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수상 전투함입니다.
이들 함정의 광범위한 전투능력덕분에 Battle Force Capable (BFC)부대로 개발되어왔습니다.

 

Belknap급 미사일 순양함의 주임무는 항모 기동부대의 방어를 위한 대공 (AAW) 대수상 (ASUW)전을 수행합니다. 두번째 임무는 대잠수함 (ASW) 전과 상륙작전을 지원하는 연안포격 (NGFS)전등입니다.
장거리 Battle Group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장기간동안 고속으로 항해할 수 있도록 개발된 Belknap급은 장거리 수색레이더와 디지탈 컴퓨터를 사용하는 무장지시 시스템을 장착하고 있습니다.
이들 시스템은 어떤 항공기나 미사일 공격에 대해서도 사거리 연장형 스탠다드 미사일을 조준하고 발사하기 위한 미사일 사격통제와 발사시스템에 공중표적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또한 Belknap급은 장거리 소나를 장착하고 사격통제시스템에 연결된 수중전투부대에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ASW 무장은 Anti-Submarine Rockets, Light Airborne Multi-Purpose 헬기, 어뢰등으로 이루어집니다. 여기에 단장 2중 목적용 5인치 54구경 함포는 대공표적과 수상표적과 교전능력을 가지며 NGFS를 위한 화력지원도 가능합니다. 다른 무장으로 2문의 20mm Gatling guns (CIWS)는 근접방어용으로 장비하며 수평선너머 적함정 공격용 HARPOON 대함미사일도 장착합니다. 또한 기만기로 사용하는 Super Rapid Blooming Offboard Chaff (SRBOC)도 장착합니다. 

 

1975년 Guided Missile Destroyer Leader [DLG]함정들은 Guide Missile Cruisers로 변경됩니다.
전투시스템 능력개발을 포함한 New Threat Upgrade (NTU)를 시행하면서 함의 대공 수색 레이더 (SPS-48E 와 SPS-49), 사격통제레이더 (SPG-55B), 전투지시시스템(CDS)등의 개량이 실시됩니다.
이런 개량을 통해 SM-2 Extended Range의 다수의 항공표적과 교전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NTU 오버홀동안 모든 공간이 리노베이션되고 휴식과 식사제공지역이 새롭게 제작되며 기관계통은 완전히 오버홀작업을 실시하였습니다.
Belknap급 순양함은 새로운 능력을 획득하였지만 30년간의 운용을 마치고 1990년대초 퇴역을 시작합니다.


Belknap급 미사일 순양함 USS Sterett (CG-31) 개요
함명유래: In honor of Rear Admiral George Eugene Belknap
건조사: Several
운용군: United States Navy
선행함: Leahy 급 순양함
후계함: California 급 순양함
게열함: Truxtun급 순양함
건조: 1962-1967
취역: 1964-1995
건조척수: 9

제원
형식: 유도미사일 순양함
기준배수량: 7,930 tons (8,057 metric tons)
길이: 547 ft (167 m) 
함폭: 55 ft (17 m) 
홀수: 29 ft (8.8 m) 
추진기관: 1200 psi (8300 kPa) 보일러 4기, 스팀터빈 2기, 2축. 85,000 shp (63,384 kW)
속도: 32 knots [1] (59 km/h)
승조원: 27 officers, 450 enlisted
센서및 관제장비:
AN/SPS-10 surface search RADAR
AN/SPS-48 3D air search radar
AN/SPS-49 2D air search radar
2 AN/SPG-55 Terrier missile fire control radar
AN/SQS-26 SONAR

무장 (마지막 형상)
1 × Mk. 26 Standard 미사일 발사기
1 × Mk. 16 ASROC
2 × 4 Harpoon 대하미사일 발사기
2 × 3 Mark 46 어뢰발사기
1 × 5 Inch/54-caliber Mk. 42 함포
2 × Phalanx CIWS
항공기: 1 × SH-2 Seasprite 대잠헬기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미해군 Ticonderoga급 미사일 유도 순양함 USS Vella Gulf (CG 72)호가 인도양에서 어뢰 회피 훈련을 하면서 고속으로 선회하는 기동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순양함은 Iwo Jima Expeditionary Strike Group 소속으로 해상보안작전을 수행중입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미해군 공격잠수함 USS Santa Fe (SSN-763)와 USS OKLAHOMA CITY (SSN-723)호가 함수의 Tomahawk 순항미사일을 탑재하여 발사하는 Mark 36 수직발사기 해치를 열어 놓은 보기드문 사진입니다.


USS Santa Fe (SSN-763)는 미해군 Los Angeles급 공격잠수함으로 1994년 1월 취역하여 진주만을 모기지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USS Oklahoma City (SSN-723)호 역시 Los Angeles급 공격잠수함으로 1988년 취역하였으며 현재 버지니아주 Norfolk항을 모항으로 임무 수행중입니다.


미해군 LA급 공격잠수함은 미국의 주력 공격잠수함으로 20여년동안 62척이 건조되어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 공격잠수함입니다. 
개발 배경은 냉전시절 미국 항공모함을 격침하는 것을 주요 임무로 하는 구소련의 잠수함에 대한 대잠전 수행이나 소련 수상 기동 그룹내의 주력함을 격침시키기 위한 대수상함전 수행을 임무로 하는 공격용으로 건조되었으며 현재의 주요 임무로는 미국 해군의 항공모함전단 호위입니다. 함대의 구성에서 2대의 잠수함이 포함되는데 LA급 잠수함이 여기에 속합니다.


첫 함인 SSN-688(로스앤젤레스호)가 1976년 취역했고, 마지막 함인 SSN-773(샤이언)호가 1996년 취역했습니다.

LA급 SSN은 핵공격잠수함계의 M1A1전차와 같다고 할수있는데, 견실한 설계와 장시간 잠수에 적합한 거주공간, 공격무기,물자탑재등을 통해 장시간동안 전투가가능했고 30노트가 넘는 고속성과 은밀성-저소음 기술의 채택은 초기 5000개소에서 후기형 LA급에 이르러서 30000개소로 증가했다-으로 인하여 보기 드문 정숙도를 자랑했습니다.

19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소련의 SSN들은 LA급을 지근거리에서(약 1Km이내)발견하지 못할 정도로 정숙하였고 대항군으로써 LA급 함정을 이용한 훈련에서는 동급끼리 서로 탐색이 어려웠을 정도로 우수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에서는 영국역시 상당한 위치에 도달해 있었는데 영국군의 SSN의 경우 콩궈러 급에 이르러서 LA급에 버금가지는 못하지만 상당한 수준에 도달하였고 구소련의 SSN보다는 우수한 능력을 발휘했던 것입니다.

 


특히 소너 성능에 있어서는 영국군의 SSN과 SSBN의 성능이 미해군의 SSBN과 SSN을 능가했다고 알려져있으며 단지 미해군의 경우 영국군의 원자로의 소음때문에 합동 훈련에서 번번히 영국해군의 SSN과 SSBN을 잡을 수 있었다 합니다.

제원
승 무 원 154명
어 뢰 어뢰발사관 4기, MK-48 중어뢰, 미사일과 어뢰 총 26발 탑재 가능
전 장 110 m
선 폭 10 m
미 사 일 Tomahawk 순항미사일용 수직발사기 MK36 12기, Tomahawk 순항미사일, 서브 하푼
흘 수 9.9 m
배 수 량 6,100톤(수면), 6,900톤(수중)
최 대 속 도 30 knots
잠 항 심 도 450 m
동 력 S6G원자로, 35,000마력


미국의 원자력 잠수함 획득 전망

   미국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원자력 잠수함은 65척이며 보유척수를 급격하게 줄여 가는 상태이다. 1999년에 9척을 퇴역시키고 2003년까지는 50척 규모로 유지할 것을 4년간의 방위평가서(QDR : Quadrennial Defense Review)는 밝히고 있다.
    최근에 미국의 공격용 원자력 잠수함 획득은 Seawolf(SSN-21)급 잠수함과 Virginia 로 명명한 신형 공격 잠수함인 NSSN(New Attack Submarine)함의 개발 전망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수년 전에 미 해군은 막강한 전투력을 갖는 Seawolf함은 건조 가격이 비싸서 함정의 크기가 작은 NSSN함(당시의 이름은 Centurion함)으로 대체하여 개발하기로 결정한바 있다. 이에 따라 미 해군은, 적절한 해군력을 보유하고 잠수함 건조 업체의 유지를 위해서, 향후 18년 동안에 NSSN 30척을 건조하기로 하고 구매 가격은 640억 달러를 예상하였다.
    본 고에서는 NSSN함과 Seawolf함의 특성을 비교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NSSN함
    1997년에 해군 당국은 NSSN함을 건조하는 방법으로는 이례적으로 잠수함 건조 대상업체인 Electric Boat사와 Newport News사 간에 함정을 부분적으로 나누어서 개발하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Electric Boat사는 엔진실, 추진기관, 선체 개발을 담당하고 Newport News사는 선수부, 선미부, 무장 분야를 담당하도록 하는 것이다. 초도함은 Electric Boat사의 책임 하에 2004년에 건조가 끝나며 2번함은 Newport News사의 책임 하에 2005년에 건조가 완료된다. 후속함은 두 선박회사가 교대로 건조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4척의 함을 건조할 때 비용은 한 선박회사가 단독으로 건조할 때 136억 달러보다 36억 달러가 절감된 104억 달러에 건조할 수 있으며 척당 평균 건조비는 26억 달러가 될 것이다. 5번함 이후의 개발비는 척당 16.5억 달러로 줄어들 것이다.
    NSSN함은 냉전 이후에 미 해군에서 요구하는 해역 작전과 연안 작전을 온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 다중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장비와 무장을 탑재하고 스텔스, 살상력, 거의 무제한 순항 능력 등을 갖추어서 미 해군력 강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NSSN함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
    · 은밀한 정보 수집, 감시, 정찰 임무 등을 수행
        - 잠수함의 최신 전자센서는 중요한 기밀정보를 수집.
        - 통신을 도청하고 적 함정의 기동상태를 추적
        - 기뢰원 탐지
        - 기타 위협과 표적을 감시
    · 특수전 수행
        - 잠수함은 특수전이 요구하는 모든 작전을 지원
        - 탐색과 구조활동, 사보타주, 견제적인 공격 작전, 화력지원
        - 9명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부 챔버(lock- out chamber)는 특전요원 수송 시스템이나 잠수정을 탑재할 수 있으며 갑판 시설(dry deck shelter)은 특수전 선박이나 장비를 보관할 수 있음.
        - 어뢰실은 특수전 수행을 위한 많은 병력의 체류 공간으로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음.
    · 대잠전과 대수상함전 수행
        - 잠수함에 구비된 최신 전투체계, 어뢰, 대함미사일, 기뢰 등을 사용하여 적의 잠수함과 수상함을 공격.
    · 은밀한 정밀 타격 및 연안 작전 직접 지원
        - 잠수함의 수직발사대나 어뢰발사관을 사용하여 육상 공격용 미사일을 발사.
        - NSSN함이 연안에 접근하여 기습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서 공격효과를 배가 할 수 있음. 처음에는 Tomahawk미사일을 탑재하여 육상 공격임무를 수행하게 되며 장래에는 잠수함에서 사용할 때 효과도가 높은 사정거리 160마일을 갖는 Army Tactical Missile System을 탑재할 계획.
    NSSN함은 현재 운용중인 잠수함들이나 Seawolf 함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도록 추진하고 있다.
    · 수명주기 동안의 비용을 고려하여 운용요원의 수를 줄이고 효율성을 높인다.
        - 배수톤수 1,000톤을 기준으로한 함정의 운용요원 수는 다음과 같다.
        - Sturgeon급(SSN-637) 28명, Los Angeles급(SSN-688) 18명, NSSN함 17명
    · 원자로의 작동 수명이 길고 정비 기간이 단축되므로 전력 가동률(force employment efficiency)이 증가된다. 함정별 전력 가동률은 다음과 같다.
        - Sturgeon급(SSN-637) 82%, Los Angeles급 (SSN-688) 86%, improved Los Angeles급(SSN-688I) 93%, NSSN함 94%
    · 추진부 특성
        - NSSN함은 펌프, 밸브, 회로 차단기, 특수 부품, 파아프 행거 등의 수량이 다른 함정 보다 적고 수명 주기동안 교체하지 않도록 설계한다.
    · 잠수함의 지휘통제 시스템은 COTS부품을 사용하고 오픈 시스템 아키텍처를 적용하여 개발 비용을 현격하게 감소시킨다. 개발비 중에서 소프트웨어는 60∼70%, 하드웨어는 70∼80%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NSSN함의 Virginia급은 Seawolf급 잠수함이나 개량된 Los Angeles급 잠수함과 같이 최근에 개발된 AN/BQQ-10 소나를 장착할 것이다. 이 소나는 1998년 5월에 미 해군의 Augusta (SSN- 710)함에 장착하여 성공적으로 실험을 마쳤으며 예인선배열소나를 사용하여 광대역 탐지기능, 원거리 추적, 잠수함의 순간소음 탐지 등의 성능개선이 이루어졌다.
    방사소음 측면에서는 개량된 Los Angeles급 잠수함의 최종 건조함과 같은 수준으로 낮은 소음수준을 발생하였다.
    NSSN함의 주요 재원은 다음과 같다.
    · 수중 배수량 : 7,700톤
    · 길이 : 377피트, 폭 : 34피트, 흘수 : 30.5피트
    · 실험 수심 : 1,600피트
    · 2대의 증기터빈 : 단일 축 구동시 40,000shp 출력
    · 속도 : 약 35노트
    · 운용 요원 : 약 100명
    · 38발의 무장 탑재, 21인치 어뢰발사관 4대, 수직발사대 12대

Seawolf급 잠수함
    NSSN함 획득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은 Seawolf급 잠수함 건조사업의 추진 상황이다. 미 해군의 입장에서는 두 종류의 잠수함 건조를 병행해서 추진할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Seawolf급 초도함의 해상 실험은 1997년 6월에 실시하였으며 센서 마운트 등 사소한 문제점은 발견되었으나 지금까지의 어떠한 잠수함보다 가장 빠르고 소음이 적으며 다량의 무장을 탑재할 수 있는 잠수함임이 확인되었다. 즉 Seawolf급 잠수함은 NSSN함이나 개량된 Los Angeles(SSN- 6881)급 잠수함보다 빠르며 소음이 적고 잠항 수심이 깊은 장점을 갖고 있다.
    Seawolf급 잠수함의 주요 성능은 다음과 같다.
    · 수중 배수량 : 9,137톤
    · 길이 : 353피트, 폭 : 40피트
    · 실험 수심 : 1,950피트
    · 40,000 shp 출력
    · 속도 : 약 40노트
    · 50발의 무장 탑재, 26인치 어뢰발사관 8대
    이러한 상황에서 미 해군은 비용이 저렴한 NSSN함의 건조 계획은 변경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몇 척의 신형 Seawolf급 잠수함과 병행하여 획득할 것으로 보인다.

(U.S. Naval Institute Proceeding, 1998. 12, pp.68∼71), members.tripod.com/~fidelispark/c3.htm에서 인용.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함대 기함이자 상륙지휘함 USS Mount Whitney (LCC/JCC 20)호가 지난 10월 30일 흑해로 진입한 후 11월 5일 러시아 흑해함대 해군기지인 Sevastopol항에 도착하여 기항하였습니다.
지난 8월 그루지야사태 당시 USS Mount Whitney호는 Operation Assured Delivery를 지원하기 위해 흑해에 진입하여 그루지야의 Poti항에서 물자를 하역한 첫번째 NATO 함정으로 기록됩니다. 



Blue Ridge급 Amphibious Command Ship함정은 Command Ship/Joint Command Ship/Amphibious Force Command 함정으로 미해군 상륙함대를 지휘하는 임무를 수행합니다. 평시에는 상급부대의 지휘/훈련 지시를 접수하여 전달하며 대규모 훈련시에는 전체 함대의 임무수행을 통합하고 조직하며 조정하는 임무를 수행합니다.



또한 전시에는 원거리에서 수행하는 대규모 작전의 지휘와 봉쇄 작전, 상륙부대 통합 지휘 임무를 수행하며 동시에 수반되는 함포, 미사일등과 항공기의 근접공중지원 전단의 운용을 원활하게 조정하는 임무를 수행합니다. 또한 상륙지역에 대한 전자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장비도 장착하고 있으며 지휘함으로서 광대역 통신 능력을 보유함으로서 각 함정의 지휘/통제부에 전 세계적인 미군부대 기밀 통신을 제공할 수 있고, 동시에 대량의 통신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LCC-20 Mount Whitney호는 원래 AGC-20로 계획되었으나 1969년 1월 1일부터 LCC-20 로 재분류되어 동년 1월 6일 버지니아주 Newport News에 있는 Newport News Shipbuilding & Drydock 회사에서 건조에 착수하여 1970년 1월 진수되고 1971년 1월 취역하였습니다.
함정이름 Mount Whitney는 캘리포니아주Sierra Nevada 에 있는 14,505피트의 산으로 미국 48개주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라고 합니다.



이 함정에는 90일간 승조원들이 충분히 작전할 수 있는 음식을 적재하고 3천명분의 긴급구호물자를 공급할 수 있는 물자를 적재하고 있습니다. 전수시스탬은 하루에 100,000 US gallons (400 m³)이 넘는 신선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여성승조원이 승선할 수 있는 선실을 갖춘 최초의 함정이기도 합니다.
2005년부터 LCC/JCC 20로 재분류된 이함정은 6함대 기함으로 이탈리아 La Salle를 모항으로 6함대 기함이자 Commander Joint Command Lisbon과 Commander Striking Force NATO의 사령관함역활을 하고 있습니다



# Reclassified LCC-20, 1 January 1969
# Laid down, 8 January 1969, at Newport News Shipbuilding and Drydock, Newport News, VA.
# Launched, 8 January 1970
# Commissioned USS Mount Whitney (LCC-20), 16 January 1971
# Mount Whitney serves as the flagship for Commander Second Fleet/Commander Striking Fleet Atlantic, and is homeported at Norfolk, VA.
# Mount Whitney is scheduled to be turned over to control of the Military Sealift Command (MSC) in 2006
Navigation, deck, engineering, laundry and galley services provided by MSC civil service mariners. Commanded by



제원:
배수량 : 기준 17,000 t, 만재 18,400 t
길이 (189 m)
함폭 (33 m)
만재시 홀수 29 ft, 9 inches
추진기관: 보일러 2기. 기어터빈 1기
최대속도: 23 knots (43 km/h)
총승선가능인원: 930 명 including embarked staff
함승조원: 미해군 170 명, Military Sealift Command 155명 (민간인)
무장:
Super RBOC chaff rockets,
2 × 25 mm Bushmaster guns,
4 × .50 cal. Machine guns,
2 × 20 mm Phalanx CIWS
항공기: CH-53 Sea Stallion보다 작은 헬기 운용가능, 통상 CH-60S Knight Hawk
.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미해군 Military Sealift Command 급유함 SS Chesapeake (T-AOT 5084)가 Single Anchored Leg Moor (SALM) 를 바다에 내리기 위해 13도가량 기울어진 모습이 마치 전복될 듯하게 보이는 모습이 포착되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SALM은 연료를 보급하거나 적재하는 동안 함정을 고정시키는 역활을 하는 것입니다. 미해군 Naval Beach Group (NBG) 1, Amphibious Construction Battalion (ACB) 1, and Underwater Construction Team (UCT) 1은 기존의 다접점 정박시스템을 대체하는 SALM을 유류보급함에 장착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이 계류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유는 보다 원활한 유류보급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것입니다.
원유선은 원유부이(SBM)에 계류된 상태에서 하역작업중 조류 및 바람 등 외력의 영향을 받으며 원유부이를 중심으로 주기적으로 선회합니다. 즉, 선회권은 원유선이 원유부이에 계류중에 원유부이 주위를 선회하면서 쓸고 나간해역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원유부이(SBM)를 포함한 해상구조물은 통항하는 선박과 접촉 또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수역에 대해 제한구역(Restricted Area)을 설정해 두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이를 위해 연근해 시설(Offshore Installations)이 표시되며 여기에는 Single Point Mooring을 가지는 Single Anchor Leg Mooring(SALM), Articulated Loading Column(ALC) 등이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