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5월 23 네덜란드해군 Walrus급 공격잠수함 1번함 S802 Walrus호가 Cork를 향해 강을 거슬러 오르는 모습입니다,.

네덜란드 해군은 냉전시절 나토에서 중요 해상전력을 보유한 국가였다. 대서양과 접해있는 네덜란드의 특성상 수상함이나 잠수함 등은 대양작전에 적합하도록 건조되었으며, Walrus급 역시 다른 나라의 디젤잠수함에 비해 그 배수량이 이례적으로 큰 이유도 대양작전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함이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네덜란드 해군은 70년대에 건조한 즈바르드비스급 2척 건조이후 차기 잠수함 건조 사업으로
원자력 잠수함의 도입을 검토했지만 예산상의 이유와 의회의 승인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도입을 포기하였다. 그러나 대양에서의 작전능력을 요구하는 나토와 네덜란드 해군의 요구는 강력히 주장되었고, 또한 돌핀급을 교체할 목적으로 기존의 즈바르드비스급 잠수함을 기초로 개량형의 신형함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이 잠수함이 바로 Walrus급 잠수함이며, 모두 4척이 취역하였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주요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체는 즈바르드비스급과 거의 비슷하며, 주로 수중에서의 기동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우선 누적형의 선체설계를 사용하였다.
종횡타는 +형보다는 통제는 어렵지만 기동성을 향상시켜주는 X형을 채택하였다. 이외에도 잠항심도를 증가시켜 정찰과 매복임무를 위해 내압선체에 HY100고장력강을 적용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 디젤잠수함 중에서 매우 깊은 심도에서 작전이 가능토록 되었다.

둘째, 전투시스템 분야로서, 이 시스템은 자국 시그널사가 개발한 SEWACO(Sensor, Weapon and Command)로서 2개의 워크스테이션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처리장치와 7개의 다목적 콘솔로 이루어져 있으며, 승무원의 작업효율과 피로도를 고려한 인간공학적 설계를 대폭적으로 적용한 장비이다.

셋째, 소나장비는 대부분 톰슨 신트라사제를 사용하며, 다른 센서로는 TV 및 레이저 거리측정기가 장착된 콜로코겐사의 잠망경을 사용하고 있다. 특이한 점은 디젤잠수함으로 당시에는 이례적인 TASS를 장착하여 후방 감시능력 및 장거리 감시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TASS 시스템은 Walrus급이 대형함이 아닌 관계로 함내 탑재가 불가능하며, 잠항시에는 케이블을 이용, 소나의 거리를 조정하고, 입출항시 수상함의 보조를 받아 착탈식으로 운용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작전임무에 따라 TASS 시스템의 장착여부를 조정하는 것으로 현재 알려지고 있다.

넷째, 무장 분야로서, 4문의 533mm 어뢰발사관을 가지고 있으며, Mk48 Mod4 중어뢰와 서브 하푼 대함미사일 등을 조합하여 20발을 탑재할 수 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Walrus급은 디젤잠수함중에서 대형으로 구소련 해군의 활동영역인 북해에서의 장거리 작전을
고려한 것이며, 네덜란드가 자국의 방위산업체의 활성화와 수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 함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잠수함은 디젤잠수함으로서는 대형이고, 가격이 고가이므로 네덜란드 이외에는 운용하는 국가가 없다는 점이 단점이다.

일반제원
ㅇ 배 수 량 : 2,465톤(수상), 2,800톤(수중)
ㅇ 속 력 : 20노트(최대)
ㅇ 크 기 : 전장 67.73미터, 폭 8.4미터, 흘수 7미터
ㅇ 승 조 원 : 52명
ㅇ 작 전 일 수 : 60일
ㅇ 잠 항 심 도 : 300미터
ㅇ 항 속 거 리 : 16,000킬로미터

추진기관: 디젤엔진 3기, 디젤전기추진식
출력: 5,430 shp, 1 축추진 5엽블레이드
승조원: 50에서 55명
수상수색레이더: Signaal/Racal ZW 07
소너시스템:
Thomson Sintra TSM 2272 Eledone Octopus,
GEC Avionics Type 2026 towed array,
Thomson Sintra DUUX 5 passive ranging and intercept
사통장비:
HSA SEWACO VIII action data automation,
GTHW integrated Harpoon and torpedo FCS
무장:
4 x 21 inch (533mm) 어뢰발사관
20기의 Honeywell Mk 48 혹은 Honeywell NT 37 어뢰, 기뢰, 서브하푼 SSM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건조함 내역
S802 Walrus
S803 Zeeleeuw
S808 Dolfijn
S810 Bruinvis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스페인 해군의 항공모함용 함재기로 운영되고 있는 EAV-8B Matador II 는 Rota에 있는 스페인해군기지 9ª Esc에서 17대를 운용하고 있으며 경항공모함 Principe de Asturias (R11)에 12대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스페인이 도입한 Harrier II 기종은 기존의 EAV-8B 9대외에 8기의 신제작기체와 5대의 재생기체로 도입된 EAV-8B+와 TAV-8B 복좌형 Matador 1대등입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수량은 EAV-8B 9대, R/D를 장착한 EAV-8B Plus 11대, 복좌형 TAV-8B 1대 등 총 21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무장은 GAU-12U 기관포와 AIM-9L 사이더와인더 공대공 미사일과 AGM-65E 메버릭 공대지 미사일이며, 스페인 해군에서는 EAV-8B에 레이더를 탑재하여 AIM-120 AMRAAM을 운용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하였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he Armada Espanola is now celebrating thirty years of Harrier operations, divided over three generations of this famous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The first batch of six AV-8S single seat and two TAV-8S two seat aircraft were delivered to the Armada Espanola throughout 1976. A second batch of four AV-8S aircraft was delivered in 1980. The distinctive large air intakes gave the aircraft the nickname “Cobra”, although the official name is “Matador”. All of the AV-8S Matadors were operated by 8 Escuadrilla (8 Squadron), based at Naval Air Station Rota like all other Spanish Naval Aviation Squadrons.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hese early model AV-8S Matadors, with their distinctive large air intakes and low placed canopies, received company when the Armada Espanola took delivery of the EAV-8B Harrier II in 1987. Between 1987 and autumn 1988, 12 EAV-8B Harrier II aircraft were delivered to the newly formed 9 Escuadrilla at NAS Rota.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he new EAV-8B Harrier II offered better performance and handling. It had a newly designed wing, which offered better performance at high speeds, better fuel consumption and increased fuel capacity. The Rolls Royce F402-RR-406 engine offered better trust and reliability than the old AV-8S. The EA-8B also has smaller air intakes and a higher placed canopy, offering better pilot visibility .

The remaining seven AV-8S and two TAV-8S Matadors were sold to Thailand in 1996, where they entered service with the Royal Thai Navy. After phasing out the AV-8S and TAV-8S Matadors, 8 Escuadrilla was disbanded.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During that same year, the Armada Espanola took delivery of its first EAV-8B+ aircraft. The Harrier II Plus program was a joint effort by the United States Marine Corps, the Spanish and Italian Nav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AV-8B Harrier II while sharing the costs of the program.

The largest and most noticeable improvement of the Harrier II Plus program was the installation of the Hughes AN/APG-65 multimode radar, the original radar system of the F/A-18A and F/A-18C Hornet. Although fitted with a slightly smaller antenna than the Hornet, the AN/APG-65 gives the EAV-8B+ a true Beyond Visual Range (BVR) capability. Armed with the AIM-120 AMRAAM missile, the EAV-8B+ can detect and destroy enemy aircraft well before they enter visual range. The radar-less EAV-8B can onl   y rely on short-range heat seeking AIM-9 Sidewinder missiles for self-defence. EAV-8B+ Harriers can easily be identified by their larger noses, which house the AN/APG-65 radar.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But also the strike capabilities of the EAV-8B+ were improved. The Litening II Targeting Pod enables the EAV-8B+ to undertake strike missions at night or in adverse weather. New avionics and weapon systems allow the EAV-8B+ to use precision-guided munitions including JDAM and laser guided weapon systems. The EAV-8B+ also received a new Rolls Royce engine, the F402-RR-408, delivering 10% more thrust than the older 406 engines. The Armada Espanola received eight “factory fresh” EAV-8B+ aircraft in 1996, which also entered service with 9 Escuadrilla. Of the remaining nine EAV-8B Harriers, three aircraft were lost in accidents, five were upgraded to Harrier II Plus standard by CASA in Spain.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Four EAV-8B “Day Attack” Harriers continue to operate next to the EAV-8B+ variants with 9 Escuadrilla, although the Armada Espanola is looking into a small upgrade of these aircraft. This upgrade would not give them the AN/APG-65 radar of the EAV-8B+, but would include the F402-RR-408 engine and some of the targeting systems.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Besides the EAV-8B and EAV-8B+ Harriers, 9 Escuadrilla also operates a single two seat TAV-8B. After the sale of the two TAV-8S aircraft in 1996, US Marine Corps instructors at MCAS Cherry Point, North Carolina, trained the Spanish Harrier pilots. After delivery of the sole TAV-8B of the Spanish Navy in June 2001, Spanish Harrier pilots can receive their training at NAS Rota. But Spanish Harrier pilots in the making still have to travel to the United States as all initial flight training is conducted with the T-34 Mentor and T-45 Goshawk training squadrons of the US Navy.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뉴욕시의 마천루를 배경으로 Fleet Week New York 2008 행사가 5월 21일 4천여명의 선원과 해병 해안경비대원들이 참여하여 다양한 관련 행사들과 함께 뉴욕시에서 열렸습니다.

HMCS Toronto (FFH 333) passes the Statue of Liberty during the parade of ships on opening day of Fleet Week 2008 in New York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HMCS St. John (FFH 340) sails up the Hudson River during the parade of ships on opening day of Fleet Week 2008 in New York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Fleetweek 2008 은 5월 21일 시작하여 5월 28일까지 화려하게 열리는데 사진은 뉴욕 Hudson 강에서 펼쳐진 Fleet Week New York 함정퍼레이드 모습으로 참여하는 함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미해군 함정들:
USS Kearsarge (LHD 3)
USS Leyte Gulf (CG 55)
USS Monterey (CG 61)
USS Nitze (DDG 94)
USS The Sullivans
U.S Coast Guard District 1

캐나다해군 함정들:
HMCS Toronto (FFH)
HMCS St. Johns (FFH)
HMCS Preserver (AO)

Coast Guard coastal tender Ida Lewis (WLM 551) passes by Ellis Island as it sails up the Hudson River during the parade of ships on opening day of Fleet Week 2008 in New York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USS Kearsarge (LHD 3) steams up the Hudson River during the parade of ships on the opening day of Fleet Week 2008 in New York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USS Leyte Gulf (CG 55) sails up the Hudson River during the parade of ships on the opening day of Fleet Week 2008 in New York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USS Monterey (CG 61) sails up the Hudson River during the parade of ships on the opening day of Fleet Week 2008 in New York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USS Nitze (DDG 94) passes by the Statue of Liberty during the parade of ships on opening day of Fleet Week 2008 in New York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USS The Sullivans (DDG 68) leads the amphibious assault ship USS Kearsarge (LHD 3) up the Hudson River during the parade of ships on opening day of Fleet Week 2008 in New York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VFA 143 and VFA 211 of Naval Air Station Oceana, Va., fly over the guided-missile destroyer USS Nitze (DDG 94) as it sails up the Hudson River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5월 21일 2대의 프랑스해군 함재 전투기 Raphael M이 미해군 항공모함 USS Harry S. Truman (CVN 75)에서 항모 이함및 착함 기량유지 훈련과 touch and go 훈련을 실시하였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라팔(Rafale; '폭풍'의 의미)은 프랑스 다소사(Dassault Aviation)가 개발한, 쌍발엔진, 삼각날개의 고기동 다목적 전투기로서, 프랑스 공군용과 프랑스 해군을 위한 함재기형의 종류가 생산되고 있다. 여러 나라에서 관심을 표명하였으나, 아직 수출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미라주 전투기 2000의 후속기종으로 프랑스의 다소(Dassault)사가 개발했다. 유럽 여러 나라가 공동개발하고 있는 유로파이터 계획에서 탈퇴한 프랑스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최신예 전투기이다. 1986년 7월 라팔 A형의 첫 비행이 있었다. 프랑스 공군의 재규어 전투기와 해군의 크루세이더, 쉬페르에탕달 전투기의 퇴역에 따른 후속기로 21세기에 실전 배치될 예정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임무에는 육상공격, 해상공격, 공중방어, 공중정찰, 고정밀 공격, 핵무기공격 등이 포함되며, 그 목적에 따라 기본형인 라팔 C 외에 라팔 B, 라팔 M 등 몇 개의 버전이 있다. 라팔 C와 B는 공군용, 라팔 M은 해군용 버전이다. 이밖에 공군용으로 스텔스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라팔 D, 1997년부터 정찰임무용으로 개발을 검토 중에 있는 라팔 R 등 파생기종이 있다.

라팔 C는 단좌기로 1번기가 1988년 4월 발주되어, 1991년 10월 최초 비행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2번기에 대한 발주는 1991년 취소되었다. 라팔 B는 복좌기로, 라팔 C에 비하여 350kg이 더 무겁고, 가격도 3∼5% 가량 더 비싸다. 앞자리에 조종사, 뒷자리에 무기관제요원이 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조종사 1명만 탑승하고도 전투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1번기는 1989년 7월 발주되어, 1993년 4월 첫비행하였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라팔 M은 프랑스 해군용의 단좌기이다. 라팔 C형에 비하여 무게가 610kg 정도 더 무겁지만, 부품의 80% 정도와 시스템의 95%를 같이 사용한다. 2000년부터 공급되기 시작한 해군용의 M기종은 당초 프랑스의 신형 핵추진 항공모함인 드골호에 탑재될 예정이었으나, 드골호의 취역시기가 예정보다 늦어짐에 따라 일단 현재 취항 중인 항공모함 포슈호에 탑재하기로 결정되었다.

이 전투기는 여러 목표물에 대한 전천후 공격을 할 수 있는 뛰어난 기동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야간 구분없이 지대공 정밀공격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다른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단 15분만에 장비를 교체할 수 있으며, 엔진 교체에 60분, 지상에서의 재급유는 항공기 상태에 따라 4분에서 7분이 소요된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냉전의 종결로 국방예산이 삭감되어, 계획은 늦어지게 되었다. 또한, 배치될 숫자도 처음에는 공군이 미라주 2000의 후속기로서 250대(C형: 225대, B형: 25대), 해군은 F-8E 크루세이더와 슈페르 에탕다르의 후속기로서 M형 86대를 도입하기로 예정하였으나, 공군은 234기(C형:95대, B형:139대), 해군도 M형 60대로 삭감되었다. 내용에 있어서는 복합적 임무에는 복좌형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복좌형의 도입이 늘었다.

현재, 라팔은 해군형인 라팔 M을 중점적으로 생산하고 있다. 이는 공군이 사용하고 있는 미라주 2000에 비교하여, 해군이 항공모함에서 사용하던 F-8E의 노후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갱신을 서두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2001년 이후, 원자력 항공모함인 샤를르 드골호에 탑재되고 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제원
승무원   1명 또는 2명
길이  15.27 m
날개폭  10.80 m
높이  5.34 m
날개 면적  45.7 m²
날개 형태  델타익 + 커나드
엔진 정보  2 x SNECMA M88-2 터보팬
중량
비적재시  9,060 kg
적재시  9,500 kg
최대 이륙  24,500 kg
성능
최고 속력  마하 2
항속거리  1,800 km
상승고도  18,000 m
상승속도  305 m/s
날개 하중  326 kg/m²
추력/질량  1.13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무장
기관총  30 mm (1.18 in) GIAT 30/719B 캐논, 125발
미사일 
공대공:
MICA IR/EM
AIM-9 사이드와인더
AIM-132 ASRAAM
AIM-120 AMRAAM
MBDA Meteor
Magic II

공대지:
MBDA Apache
SCALP EG
AASM
AM 39 Exocet
ASMP 핵 미사일

전자 장비
레이다  탈레스(Thales) RBE2
전자대응  탈레스 SPECTRA 전자대응 시스템
기타 정보  Thales/SAGEM OSF 적외선 탐지 장비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인천=연합뉴스) 캐나다 해군 함정 오타와함(4천770t급)이 사령관 나이젤.S.그린우드(Nazel.S.Greenwood) 준장을 비롯, 장병 200여명을 태우고 21일 인천항에 입항했다.

아시아 해상 훈련 중 인천항을 방문한 캐나다 해군 장병들은 26일까지 체류 기간 함상 리셉션, 인천해역방어사령부와 친선 축구경기, 장애인 복지시설 봉사활동을 갖고 판문점, 전쟁기념관, 경복궁 등지를 관광할 계획이다.

또 오타와함 지휘부는 안상수 인천시장 등 인천지역 기관.단체장과 국방부 및 해군 고위급 장성을 예방하며 군사외교 활동도 가질 예정이다.

오타와함은 오는 26일 다음 기항지인 중국을 향해 출항한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2차대전 당시 101척이 건조된 Graring급 구축함들


기어링급 구축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Fletcher급 구축함에 이어 개발된 Allen M. Sumner 급 구축함의 방공 능력과 항해 거리를 더 늘려야 한다는 미국 해군의 요구로 개발된 구축함으로 선체 중앙에 4m(14피트)의 공간을 추가했다. Graring급의 첫번째이자 네임쉽은 DD-710 Graring 함이다. 추가된 공간 덕분에 연료 160톤을 추가 적재할 수 있었고, 항속거리도 섬너급에 비해 약 30% 가량 증대되었다. 마지막 함명은 USS Meredith (DD-890)호까지 101척이 건조되었습니다
.

1978년 USS William C. Lawe (DD-763)호가 몬트리얼인근 St.Lawrence 수로를 항해중인 모습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1950년대말, Graring급 구축함 44척이 함대 재정비와 현대화 계획(FRAM, Fleet Rehabilitation and Modernization)으로 알려진 현대화 개장 공사를 거친 후 대잠전 및 대공 플랫폼 능력을 강화하게 되었다. 

FRAM I 개수공사를 받은 USS Damato (DD-871)호가 1961년 이탈리아 제노바인근에서 항해중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차대전후 넘쳐나는 Graring급 구축함들은 많은 미국의 동맹국들에게 공여되었다. 대한민국 해군도 1972년에 DD-805 셔벌리어(Cheval              ier)를 DD-915 충북함이란 이름으로 처음 도입한 이후 모두 7척을 도입하여 2001년 2월까지 운용했다.

브라질해군이 공여받아 CT MARIZ e BARROS (D-26)로 명명했던 USS Brinkley Bass (DD-887)호로 2000년 표적으로 사용되어 수장되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제원
배수량 : 표준 2,616톤; 만재 3,460톤
길이 : 119m (390.5 ft)
선폭 : 12.5m(40.9 ft)
홀수 : 4.4m(14.3 ft)
추진력 : 2축, 제네럴일렉트릭 증기터빈, 보일러4 개 60,000 shp
최고속도 : 36.8 노트
항속거리 : 20노트로 항해 시 4,500nm

1982년 USS William C. Lawe (DD-763)호가 South Shore 운하의 St.Lawrence 수로를 항해중인 모습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기어링급과 FRAM
함대 재정비와 현대화 계획(Fleet Rehabilitation and Modernization, FRAM)에 따라 1950년 대말에 많은 기어링급이 창정비 과정을 거쳐 대공 플랫폼에서 대잠플랫폼으로 용도를 변경하게 되었다. 1950년대 말의 FRAM I은 기어링급에 대한 개조 공사 계획이었다. 이 계획으로 미국은 기어링급 구축함의 상부구조물을 재설계하고 무장, 레이더, 소나, 엔진, 전력 시스템을 개수하여 성능을 향상시켰다. 고물 쪽의 2연장 5인치 함포는 철거되었고 SQS-23 소나, SPS-10 해상수색레이다, Mk.32 3연장 어뢰발사관 2기, 8셀의 애스록 상자형 발사기를 설치하고, QH-50C DASH 무인기를 위한 공간을 확보했다.

한국전에 참가하여 흥남과 원산일대에서 함포사격을 실시한 USS Eversole (DD-789)호로 FRAM공사를 받았으며 1973년 터키해군에 인도되어 TCG Gayret (D-352)로 활약하였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QH-50C DASH는 무인 대잠기로서 헬리콥터같은 형태이며, 배에서 원격으로 조종했다. 이 무인기는 2발의 Mk.44 유도 대잠어뢰를 운반했다. 애스록이 겨우 9km(5마일)을 유효 거리였던 반면, DASH 무인기는 최대 41km까지 소나가 접촉을 유지하는 동안에 띄울 수 있었다.[2] 그러나 DASH는 실제 야전 운용 성과가 좋지 않아 모두 폐기되었다.

1961년 USS Rich (DD-820)호가 제노바항에 입항하는 모습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FRAM II는 본래 섬너급 구축함을 대상으로 했지만, 기어링급도 이 개수를 받았다. 이 프로그램은 수명 연장 및 새로운 레이더 시스템, Mk. 32 어뢰, DASH 대잠무인기와 함께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새로운 가변 심해 소나(variable depth sonar, VDS)를 장착했다

한국해군이 미국으로부터 인도받은 Gearing급 구축함 내역
 

미국 해군 대한민국 해군
함 번호 및 이름 취역 일자 함 번호 및 이름 취역 일자 퇴역 일자
DD-805 USS 셔벌리어 1945년 1월 9일 DD-915 충북 1972년 7월 5일 2000년 12월
DD-830 USS 에버릿 F. 라슨 1945년 4월 6일 DD-916 전북 1972년 10월 30일 1999년 12월
DD-818 USS 뉴 1945년 4월 5일 DD-919 대전 1977년 2월 23일 2001년 2월
DD-849 USS 리처드 E. 크라우스 1946년 5월 23일 DD-921 광주 1977년 2월 23일 2000년 12월 29일
DD-714 USS 윌리엄 R. 러쉬 1945년 9월 21일 DD-922 강원 1978년 7월 1일 2000년 12월 31일
DD-883 USS 뉴먼 K. 페리 1945년 7월 26일 DD-923 경기 1981년 1999년
DD-876 USS 로저스 1945년 3월 26일 DD-925 전주 1981년 7월 25일 1999년


2차대전 말기에 건조된 기어링급 구축함들은 전후에 장비 교체 등을 통해 성공적으로 운용되어 왔으나, 이는 오직 장비의 근대화였을 뿐 함 자체의 근대화가 아니었기 때문에 1960년대 초에 들어서면 대부분의 기어링급 구축함들이 함체 및 추진기관 노후화로 인해 정상적인 전력발휘가 어려운 실정이었습니다. 이들 노후 구축함들을 모두 퇴역시킬 경우 전력 공백이 발생하여 소련에 대한 견제가 어려워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노후함들을 모조리 신조함으로 대체하기에는 너무 많은 예산과 시간이 걸리게 돼서 이 또한 바람직한 일이 아니었죠. 결국 미 해군 당국은 기존 노후함정의 선체보수와 추진기관 교체, 전투시스템 현대화 등을 골자로 하는 구식 함정 근대화 계획을 내놓았으니 이것이 바로 FRAM입니다.

FRAM은 크게 FRAM 1과 FRAM 2로 나뉩니다. FRAM 1이 함을 처음부터 다시 건조하는 수준에 가까웠다면 FRAM 2는 함체에는 그다지 손을 대지 않고 신형장비만을 도입하는 "함정 근대화" 수준에 가까웠죠. 각각의 개장으로 연장할 수 있는 수명도 틀려서 보다 철저한 개장인 FRAM 1으로는 8년을 연장할 수 있었던 반면, FRAM 2로는 5년을 연장하는 것이 한계였습니다.




FRAM 1은 주로 기어링급 구축함에 적용된 프로그램으로써 요점은 함의 완벽한 재건조였습니다.

① 함체의 부식된 부분을 새것으로 완전히 교체하고 함교와 상부구조물을 혁신하며 거주성을 향상시킴

② 엔진과 전기배선 계통을 완전히 오버홀하고 불량부품을 교환하여 화재사고를 예방

③ 5인치 포탑중 1기를 제거하고(2번 혹은 3번포탑) 대신에 아스록 대잠로켓 발사기와 DASH(무인 대잠헬기)시스템, SQS-23 신형소나 등의 최신장비를 탑재함 

최초의 FRAM 1 개수공사는 1959년 5월 1일에 시작되었으며 이후 1965년까지 총 80척의 기어링급 구축함들이 FRAM 1 개수공사를 받았습니다. 참고로 1척당 든 비용은 평균 770만 달러입니다,

함을 완전히 개조한 FRAM 1에 비해 FRAM 2는 함 자체는 그다지 손을 대지 않고 신형장비만 탑재한 방식입니다. FRAM 1과 공통적으로 DASH 무인헬기 시스템과 비행갑판, Mk32 단어뢰 발사관 등이 탑재되었고 추가적으로 가변심도소나(VDS)가 탑재되어 대잠 수색능력 강화에 일조했습니다. (아스록은 탑재되지 않았습니다) 참고로 가변심도소나란 소나를 바다속 깊은 심도까지 늘어뜨리는 시스템으로써, 급격한 수온변화나 밀도변화 등으로 인해 표면의 함정소나가 깊은 심도의 음파를 잡아내지 못할 경우에 대처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성공적으로 FRAM 개수를 받고 현역 임무에 종사하던 기어링급들도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다시 수명연한이 다해가고 신형 프리기트들이 취역하는 등 점점 입지가 좁아져 갔습니다. 1972년까지는 대부분의 기어링급들이 해체되거나 예비역 함으로 돌려졌죠. 그러나 이런 구식 구축함마저도 일부 국가들에겐 감지덕지할 수준이었으니 바로 대만, 터키, 한국 등 중소 해군국들이 그러했습니다. 우리나라는 1972년 7월에 USS Cheval   ier(DD-805)를 DD-915 충북함으로 도입한 것을 시작으로 1981년까지 총 7척의 기어링급을 도입하여 사용했지요.


그러나 도입 당시부터 이미 함령 25∼30년을 초과한 함들을 운용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도입된 함들은 FRAM 1 적용함이 5척, FRAM 2 적용함이 2척이었는데, 후부 헬기 격납고와 헬기 갑판은 남아있었지만 정작 DASH 무인헬기는 인도받지 못하여 헬기갑판을 승조원들의 체력단련장으로 사용했다는 에피소드도 전해져옵니다. 물론 후에 프랑스제 알루에트Ⅲ를 도입하여 헬기부재로 인한 애로사항은 어느정도 해소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도입된 함들중 FRAM1 대응의 경우 아스록 대잠미사일이 없었고 (후기 도입분인 경기·전주함 2척에만 장착됨. 단, 미사일은 없고 발사기만 장착). FRAM2의 경우는 함미의 가변심도소나가 제거되어 있었습니다.


① DD-915 충북 / DD-916 전북 : FRAM2 대응. 5인치 포탑이 3기인 대신 40mm 보포스 미탑재.

② DD-919 대전 : FRAM1 전기형. UPX 1-12 피아식별장치 탑재. 아스록 없음.

③ DD-921 광주 : FRAM1 전기형. 타함과 달리 SPS-40이 아닌 SPS-37형 레이더 탑재.

④ DD-922 강원 : FRAM1 전기형. 가장 표준적인 타입.

⑤ DD-923 경기 : FRAM1 후기형. 중앙부에 아스록 발사기가 있기 때문에 (단, 미사일은 없음) 시발칸을 장비하지 못함.

⑥ DD-925 전주 : FRAM1 후기형. 경기함과 마찬가지로 중앙부의 아스록 발사기 때문에

시발칸을 헬기갑판으로 옮겼고, 덕분에 헬기운용능력을 상실.

(글출처 : 네이버 무사고님)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함대 항진 작전중인 미해군 Arleigh Burke급 이지스 구축함들


3월 28일 대서양에서 임무배치를 앞두고 마지막 평가훈련중인 USS Theodore Roosevelt (CVN 71) 항모가 주축이된 항모전단의 미해군 Arleigh Burke급 이지스 구축함들 - USS Sullivans (DDG 68)호, USS Mason (DDG 87)호와 USS Nitze (DDG 94) 호가 Group Sail Operation에 참가하여 항해하는 모습입니다.

1. USS Sullivans (DDG 68)호 이력
Ordered: 8 April 1992
Laid down: 27 July 1994
Launched: 12 August 1995
Commissioned: 19 April 1997
Homeport: NS Mayport, Florida
Status: Active in service as of 2008

2. USS Mason (DDG 87)호 이력
Ordered: 13 December 1996
Laid down: 19 January 2000
Launched: 23 June 2001
Commissioned: 12 April 2003
Status: Active in service as of 2008

3. USS Nitze (DDG 94)호 이력
Ordered: 6 March 1998
Laid down: 20 September 2002
Launched: 3 April 2004
Commissioned: 5 March 2005
Status: Active in service as of 2008

Arleigh Burke급 일반제원
Displacement: 6,600 tons light, 9,200 tons full, 2,600 tons dead
Length: 509 feet 6 inches (155.3 meters) overall, 471 feet (143.6 meters) waterline
Beam: 66 feet (20.1 meters) extreme, 59 feet (18 meters) waterline
Draft: 31 feet (9.4 meters) maximum, 22 feet (6.7 meters) limit
Propulsion: four General Electric LM2500-30 gas turbines, two shafts, 100,000 shp (75 MW)
Speed: 30+ knots
Range:
Complement: 32 officers, 348 men

Armament:
one    32-cell, one    64-cell Mark 41 vertical launch systems, 96 RIM-66 SM-2, BGM-109 Tomahawk or RUM-139 VL-Asroc, missiles
one    5/62 in (127/62 mm) gun, two 25 mm, four 12.7 mm guns
two Mark 46 triple torpedo tubes
Aircraft: two SH-60 Sea Hawk helicopters

Sensors and processing systems: (Flight II 기준)
• AN/SPY-1D Radar
• AN/SPS-67(V)2 Surface Search Radar
• AN/SPS-64(V)9 Surface Search Radar
• AN/SQS-53C Sonar Array
• AN/SQR-19 Tactical Towed Array Sonar
• AN/SQQ-28 LAMPS III Shipboard System
Electronic warfare
and decoys: • AN/SLQ-32(V)2 Electronic Warfare System
• AN/SLQ-25 Nixie Torpedo Countermeasures
• MK 36 MOD 12 Decoy Launching System
• AN/SLQ-39 CHAFF Buoys

마지막 사진들은 태평양에서 Ronald Reagan Carrier Strike Group (CCSG) 7소속으로 기동훈련중 USS Decatur (DDG 73)호입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미해군 항공모함 USS Kitty Hawk (CV 63)와 USS Nimitz (CVN 68)호가 ]

서태평양에서 합동훈련을 펼치며 위용을 과시하고 있습니다.
지휘함 USS Blue Ridge (LCC 19)호와 항공모함 호위함들인

USS Shiloh (CG 67)호, USS Princeton (CG 59)호등도 훈련에 참가하여

미해군 항모타격군의 위력을 과시하고 있습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9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미해군 Nimitz급 원자력 추진항모 USS Ronald Reagan (CVN 76) 항공모함이

Ticonderoga급 미사일 순양함 USS Chancellorsville (CG 62)호와

함께 다가온 임무 배치를 앞두고 태평양에서 훈련중인 모습입니다.

레이건항모는 Carrier Air Wing (CVW) 14 소속 함재기들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레이건 항모가 주축이 된 Carrier Strike Group Seven (CSG-7) 은

Carrier Air Wing 14 항모전투비행단과 DESRON-7 (Destroyer squadron 7)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CAW 14의 비행대는 다음과 같습니다.
VFA-115 Eagles — F/A-18E Super Hornet
VFA-22 Redcocks - F/A-18F Super Hornet
VFA-113 Stingers — F/A-18C Hornet
VFA-25 Fist of the Fleet — F/A-18C Hornet
VAQ-139 Cougars — EA-6B Prowler
VAW-113 Black Eagles — E-2C Hawkeye 2000
HS-4 Black Knights — SH-60F / HH-60H Seahawk
VRC-30 (Det 1) Providers — C-2A Greyhound

CSG-7 comprises CVN-76 and DESRON-7. Destroyer squadron 7 consists of:
USS Decatur (DDG-73) — Arleigh Burke급 미사일 구축함
USS McCampbell (DDG-85) — Arleigh Burke (Flight IIA)급 미사일 구축함
USS Gridley (DDG-101) — Arleigh Burke (Flight IIA)급 미사일 구축함
USNS Rainier (T-AOE-7) — 고속전투지원함. 구 USS Rainier (AOE-7).
EOD-11 Det 15 (Explosive Ordnance Disposal Unit)

USS Ronald Reagan (CVN 76) 항공모함의 이력
Name: USS Ronald Reagan (CVN-76)
Ordered: 8 December 1994
Laid down: 12 February 1998
Launched: 4 March 2001
Commissioned: 12 July 2003
Homeport: Naval Air Station North Island, Coronado, California
Fate: Active in service as of 2008

일반제원
Class and type: Nimitz-class aircraft carrier, Ronald Reagan subclass
Displacement: 101,000 to 104,000 tons full load
Length: Overall: 1,092 ft (333 m)
Waterline: 1,040 ft (317 m)
Beam: Overall: 252 ft (76.8 m)
Waterline: 134 ft (40.8 m)
Draft: Maximum navigational: 37 ft (11.3 m)
Limit: 41 ft (12.5 m)
Propulsion: 2 × Westinghouse A4W nuclear reactors
4 × steam turbines
4 × shafts
260,000 shp (194 MW)
Speed: 30+ knots (56+ km/h)
Range: Essentially unlimited
Complement: Ship's company: 3,200
Air wing: 2,480

Sensors and processing systems:
SPS-48E 3-D air search radar
SPS-49A(V)1 2-D air search radar
Mk 23 target acquisition radar
2 × SPN-46 air traffic control radars
SPN-43B air traffic control radar
SPN-44 landing aid radars
3 × Mk 91 NSSM guidance systems
3 × Mk 95 radars

Electronic warfare and decoys:
SLQ-32A(V)4 Countermeasures suite
SLQ-25A Nixie torpedo countermeasures

Armament:
2 × Mk 29 Sea Sparrow
2 × RIM-116 Rolling Airframe Missile

Armor: Unknown
Aircraft carried: 90 fixed wing and helicopters
Motto: Peace Through Strength
Nickname: Gipper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Tarawa급 다목적 상륙함 USS Peleliu (LHA 5)가 납중국해에서 항해중인 모습입니다.
Peleliu 원정타격군 (Expeditionary Strike Group)의 기함으로 태평양에 전개 배치되어 정기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USS Peleliu (LHA 5)함을 중심으로 지난 5월 4일 샌디에고항을 출항하여 5월 12일 하와이를 방문 이틀간 휴식을 취한 뒤 태평양으로 진출하여 미국의 대테러전과 해상안보작전을 시작하였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PELESG는 Commander, Amphibious Squadron (COMPHIBRON) 3 이 지휘하며 기함으로 상륙함 USS Peleliu (LHA 5)과 제 15 Marine Expeditionary Unit (MEU)을 주축으로 상륙함 USS Dubuque (LPD 8), USS Pearl Harbor (LSD 52)와 미사일 순양함 USS Cape St. George (CG 71), 미사일 구축함 USS Halsey (DDG 97)호 및 USS Benfold (DDG 65) (마지막 사진에 두 함정이 보입니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함이력과 제원
발주: 6 November 1970
건조착수: 12 November 1976
진수: 25 November 1978
취역: 3 May 1980
모항: San Diego, California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만재배수량: 39,438 tons full,
경하배수량: 25,982 tons light,
재화배수량; 13,456 tons dead
길이: 820 ft (250 m)
함폭: 106.6 ft (32.5 m)
홀수: 27 ft (8.2 m)
추진기관: Steam Turbine
속도: 24 knots (44 km/h)
승조원: 262 officers, 2543 enlisted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무장:
2 x RAM launchers,
4 x 25 mm Mk 38 Bushmaster gun mounts,
2 x Phalanx CIWS,
5 x 0.50 cal (12.7 mm) mounts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항공기:
6 x AV-8B Harrier attack planes,
4 x AH-1W Super Cobra attack helicopters,
12 x CH-46 Sea Knight helicopters,
9 x CH-53 Sea Stallion helicopters,
4 x UH-1N Huey helicopters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