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0일부터 21일 사이에 독일 Kiel의 해군항에 나란히 정박하고 있는 미해군 이지스 순양함과 구축함입니다.

두 함정을 비교해 볼 수 있는 사진으로 순양함과 구축함으로 구분한 이유가 무엇일까 생각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좌측에 있는 함정은 Ticonderoga 급 이지스 순양함 USS Gettysburg (CG-64)호로 1991년 취역하였으며 기본적인 제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USS Gettysburg호는 1989년 진수되고 1991년 취역하였습니다. Ticonderoga급 순양함중 한척으로 만재배수량이 9,600 tons이며 함길이 173 m, 함폭은 17 m, 홀수 10 m입니다. 
4기의 General Electric LM2500 가스터빈으로 2축추진이며 총출력은 80,000 shp (60 MW)로 최대속도는 32.5 knots (60 km/h)에 달하며 승조원은 장교 33명에 수병 327명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주요 센서및 임무장비로는 AN/SPY-1A/B 다기능레이더와 AN/SPS-49 공중수색레이더, AN/SPG-62 사통레이더, AN/SPS-55 수상수색레이더, AN/SPQ-9 함포사통레이더등이며, AN/SQQ-89(V)3 소나시트는 AN/SQS-53B/C/D Active소나, AN/SQR-19 TACTAS Passive 소나등으로 구성되며 기타 AN/SQQ-28 Light 공중다목적시스템, AN/SLQ-32 Electronic Warfare Suite 등이 장착됩니다.

주무장은 61연장 Mk 41 수직발사기 2기에 122발의 RIM-66 SM-2, RIM-162 ESSM, BGM-109 Tomahawk, 혹은 RUM-139 VL-Asroc등을 탑재하며 RGM-84 Harpoon대함미사일 발사기 8기, Mark 45 5 in / 54 cal 경량함포 2문, 25 mm 기관포 2문, .50 cal (12.7 mm) 기관총 2~4정, Phalanx CIWS 시스템 2기, Mk 32 12.75 in (324 mm) 3연장어뢰발사관 2기등입니다,

우측 함정은 Arleigh Burke 급 이지스 구축함 USS Cole (DDG-67) 호입니다.
1996년 취역하였고 2000년 남예멘항에서 테러보트 공격으로 함에 구멍이 난 후 14개월동안 수리를 받은후 2002년부터 임무 수행을 시작한 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1995년 진수되어 1996년 취역하였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rleigh Burke급 구축함으로 기준배수량은 6,794.38 ton, 만재배수량은  8,885.66 ton으로 Ticonderoga급 순양함의 만재배수량이 9,600 tons보다 겨우 9백톤정도 작은 크기입니다.
사진상으로는 봐도 비슷한 체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함길이 154 m, 함폭 20 m, 홀수 9.4 m에 주추진기관은 Ticonderoga급 순양함과 같은 4기의 General Electric LM2500-30 가스터빈에 출력은 더 높은 100,000shaft horsepower (75 MW)  으로 2축추진방식에 최대속도는 30+ knots (56+ km/h)로 더 빨라졌습니다. 
항속거리는 20노트로 항해시 4,400 nm이며 (8,100 km at 37 km/h) 승조원은 장교 23명, 부사관 24명, 수병 291명입니다.

주요 센서류및 임무장비로는 AN/SPY-1D 다기능레이더, AN/SPS-67(V)2 단거리 2차원 수상수색및 항법레이더, AN/SPS-64(V)9 수상수색레이더, AN/SQS-53C Sonar Array, AN/SQR-19 Tactical Towed Array Sonar, AN/SQQ-28 LAMPS III Shipboard System 등이며
전자전및 기만장비로 AN/SLQ-32(V)2 Electronic Warfare System, AN/SLQ-25 Nixie Torpedo Countermeasures, MK 36 MOD 12 Decoy Launching System 및 AN/SLQ-39 CHAFF Buoys를 장착합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주무장은 29 연장과 61 연장 Mk 41 수직발사기 각 1기를 장착하고 90발의 RIM-66 SM-2, BGM-109 Tomahawk 혹은 RUM-139 VL-Asroc을 탑재하며 Mark 45 5/54 in (127/54 mm) 함포 1문, 25 mm 기관포 2문, .50 cal (12.7 mm) 기관총 4정, Phalanx CIWS 시스템 2기, Mk 32 12.75 in (324 mm) 3연장어뢰발사관 2기등입니다
또한 SH-60 Sea Hawk 대잠헬기 1대를 상시 탑재합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프랑스해군의 L9014 Tonnerre 상륙함이 합동훈련을 앞두고 

Salins시 인근의 Gapeau 해역에 정박 대기중에

소형상륙용 주정 CTM - Chalands de Transport de Matériel- 를 함미 웰독에서 출발시키고 있습니다.

Tonnere호는 미해군의 LCAC같은 수륙양용정이 없고 LCU와 같은 상륙정을 웰독에 4척 수용하고 있습니다.
수용하고 있는 CTM 함번은 29 Nuid Ho, 23 Song Can, 21 Guereo, 22 Kien An등입니다.


CMT 제원:
Chantier CMN (Cherbourg)
Dimensions (m) 23,80 x 6,35 x 1,2
Deplac 56 t
Dep. pc 150 t
Puissance 450 cv
Effectif 6 h
Vitesse 9 nds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005년 7월 벨기에 정부는 네덜란드가 칠레에 매각후 남은 Karel Doorman 급 프리깃 6척중 2척을 인수하여

현재 운용중인 Wielingen급 프리깃 Wielingen 함과 Westdiep함을 불가리아로 인도하면서 대체하기로 합니다.
2005년 12월 Karel Doorman (F827)과 Willem Van Der Zaan (F829)을 구입한

벨기에 해군은 Leopold I (F930) 과 Louise-Marie (F931) 로 명명하며 2007년과 2008년 재취역하였습니다.

M-급 프리깃은 척당 대략 110백만에서 120백만유로로 합계 220~240백만 유로에 도입하는 것입니다.
동시에 벨기에는 수송및 수색구조용(SAR)으로 10대의 NH-90 해군형으로 도입키로 하는데

이는 7대의 SA318 Alouette II/III 과 3대의 Sea King Mk48 헬기를 대체하면서

네덜란드로부터 도입하는 M급 프리깃함에 탑재할 것이며

이를 위해 함의 비행갑판을 강화하는 개수작업을 실시하였습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5월 11일 독일해군의 FGS F 218 Mecklenburg-Vorpommern호와 함께 독일 함부르크항에 정박한 모습입니다.

같은 Meko급이지만 모듈자체가 틀리다보니 함의 크기도 많이 다릅니다.



Vasco da Gama 급 프리깃은 독일 MEKO 200 PN 개념을 도입

Blohm + Voss사와 HDW사가 건조하여 포르투갈 해군이 3척을 도입하여 주력함으로 운용중입니다.

제원
길이: 115.90 m
함폭: 14.80 m
홀수: 6.2 m
배수량: 3200t
추진기관: CODOG 방식
2 축추진, 가변피치 프로펠러
MTU 20V 956 TB92 디젤엔진 2기, 각 8.14MW
General Electric LM2500 가스터빈 2기, 각 38MW
항속거리: 4000 nautical miles at 18kts
최대속도: 디젤엔진 20 knots, Gas-turbines: +32 knots

센서류:
1 Thales DA08 air search D band radar
1 Thales MW08 air/surface search F band radar
2 Thales STIR 180 fire-control radar
1 SQS510 hull mounted sonar
1 APECS II/700 ESM
대응장비: SRBOC launcher

무장:
1 100 mm Mod68 CADAM polyvalent artillery piece
1 Phalanx CIWS 20 mm Vulcan anti-ship missile defence system
2x3 12.75" Mk32 torpedo tubes in triple mountings
2 Mk 141 quad-pack Launcher for a maximum of 8 RGM-84 Harpoon
1 MK 21 Guided Missile Launching System for 8 RIM-7 Sea Sparrow
Hangar for 2 Super Lynx Mk.95 helicopters

승조원: 180 명
장교 19, 부사관 40, 수병 102, 항공요원 13, 6 boarding team.

보유함과 취역시기 내역
F330 Vasco da Gama - Blohm + Voss, 20 November 1990
F331 Álvares Cabral - HDW, 18 January 1991
F332 Corte-Real, HDW, February 1, 1992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곧 일본에 배치되는 미해군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 USS George Washington (CVN 73)호가 4월 22일 브라질 Rio de Janeiro항에 입항하기위해 외항에서 대기중인 모습입니다.
George Washington호는 이동항해중 Mayport, Fla에 위치한 미해군 남부사령부의 지휘아래 남미인근에서 다국적 합동 훈련 Partnership of the Americas (POA) 2008에 참가할 예정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올해의 PAO 08을 수행하고있는 미해군 함정은 4척으로 USS Farragut (DDG 99)와 USS Kaufman (FFG 59), USS Forrest Sherman (DDG 98) 등이 USS George Washington (CVN 73)호와 탑재된 Carrier Air Wing 17와 함께 참여합니다.
이 훈련기간중 Theater Security Cooperation (TSC, 전역안보협력) 의 일환으로 남미에서 상호 군사 협력, 인도적 지원, 재난 구호, 연합 훈련, 해상보안을 위한 훈련 및 작전과 연습등을 실시합니다.

미해군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 USS George Washington (CVN 73)호가 4월 23일 브라질 Rio de Janeiro항에 입항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PAO 훈련을 통해 남미와 카리브해에서 참여국간에 해상 및 연안에서 다양한 훈련과 이벤트를 통해 관계를 증진시키게 됩니다. 다국적 해군력의 전개는 연합 훈련을 통하여 테러와 불법 마약 밀매, 그리고 다양한 임무지역에 맞는 훈련수준을 개선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훈련시작을 앞두고 그동안 정박했던 Rio de Janeiro항에서 5월 10일 출항하는 미해군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 USS George Washington (CVN 73)호.
10여일동안 정열의 나라에서 온 힘을 다 빼고 출항하는 승조원들, 제대로 훈련을 할 수 있을지~^^;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9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0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러시아 Kara급중 유일하게 운영되고 있는 Kerch 순양함


냉전시대 원자력 잠수함들이 등장하면서 은밀성이 더욱 강화되자 

부동항이 적은 러시아해군의 입장에서는 항구봉쇄를 당할 경우 해군력이 전멸할 수도 있는 상황으로 몰리게 되었습니다.
이에 러시아는 항구주변에 대한 대잠전을 위해

Project 1134Б 'Berkut', NATO 암호명 'Kara' 급 대잠순양함을 1968년부터 건조합니다.

이 급은 전형식인 Kresta II급과 달리 가스터빈을 추진기관으로 장비하여 1분내 30노트까지 가속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총 7척이 건조되었으며 MG-332 Titan-2T HMS 소너, MG-325 VDS 소너를 대잠수색용으로 장비하고

잠수함 공격용 무장으로 SS-N-13 Silex 함대잠 로켓을 함브릿지아래 좌우의 4연장 발사기에 장착하고 있습니다.

533mm 대형 중어뢰 AT-2UM을 장착한 이 함대잠로켓은 6~50km의 사거리를 가지고 있으며

착수후 어뢰도 8km를 항주하여 표적에 명중할 수 있습니다.

현재 유일하게 Kerch 호 한척만이 남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마지막 사진은 2006년 Kerch 호가 드라이독에 입고되어 수리중인 모습인데, 엄청나게 큰 프로펠러가 보입니다.

제원
건조조선소: 61 Kommunara SY 445, Nikolayev, USSR;
취역시기: 1974;
만재배수량: 8,825 tons full load;
속도: 30 knots;
승무원: 400;
함장: 173.4
함폭: 18.5
홀수: 6.4 m;
추진기관/속도
순항용 가스터빈 3기, 12,000 shp, 18 knots;
가속용 가스터빈 4기, 80,000 shp; 30 knots;
탑재미사일:
URK-5/SS-N-14 Rastrub/Silex SSM/ASW 4연장 2기
Shtorm SAM 미사일 시스템 2기
Osa-M SAM 미사일 시스템 2기
함포:
2 x 2 76.2mm/59cal AK-726 DP
4 x 6 30 mm AK-630 AA
항공기: 함미 갑판과 격납고 보유, 헬기 Ka-25/26/27 시리즈 1대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러시아해군 유일 Kashin급 대형 대잠구축함 "Smetlivy"


러시아해군의 대형 ASW Destroyer "Smetlivy", Project 61M, NATO 암호명 'Kashin Mod'로 불리는 이 구축함은

1990년부터 95년 사이에 새로운 Project 01090에 따라 개량되었습니다.
개량작업으로 대잠수색장비 MNK-300가 탑재되고

2기의 RBU-1000 대잠로켓은 "Uran" SS-N-25 'Switchblade' 대함미사일발사기로 대체됩니다.

Kashin급 구축함은 방공및 대잠용으로 1959년부터 개발,

 건조된 냉전시대 구소련의 대표적 구축함으로 무엇보다 세계최초 전가스터빈 추진식 함정으로

최대속도가 37~38노트의 고속 주행이 가능한 점입니다.

이를 통해 미해군 항모전단에 대하여 SS-N-2C Styx 대함미사일로 공격을 하며

 HMS 소너와 VDS 소나를 이용하여 침입한 미해군 잠수함을 수색 격침시키는 임무를 수행하였습니다.
러시아해군은 총 20척을 발주하여 15척은 61 Kommunar Yard에서 건조하였고

 5척은 Zhdanov Yard, Leningrad에서 건조하였습니다.
마지막 20번째 함은 개량형인 61M으로 개량된 상태로 건조하였고

Project 61으로 건조된 5척은 배치된 이후 Project 61MP형으로 개량하였습니다.
외국에서는 유일하게 인도해군이 Project 61ME형으로 5척을 도입합니다.

Smetlivy 제원
건조조선소: 61 Kommunara SY 445, Nikolayev, Ukraine;
건조시기: 1969;
만재배수량: 4,898 tons
속도: 33,6 knots;
승조원: 266;
함장: 146.2
함폭: 15.8
홀수: 4.84 m
추진기관: 4 M8E gas turbines, 2 축추진
출력: 72,000 shp;
탑재미사일:
2 x 4 'Uran' 함대함미사일
2 Volna-M SAM systems
Guns: 1 x 2 76.2mm/59cal DP AK-726
1x5 21 inch torpedo tubes
항공기: 헬기용 비행갑판과 격납고 보유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인도양에서 귀환한 프랑스해군 Cassard급 2번함 D615 Jean Bart 방공프리깃


인도양에서 임무를 마치고 모항으로

귀항한 인도양에서 프랑스해군 Cassard급 2번함 D615 Jean Bart 방공프리깃이

4월 28일 Toulon항에 입항하고 있습니다.

프랑스해군 Cassard 급 (Type F70 AA) 대공프리깃은

Toulon에 있는 지중해사령부 기지의 Force d'Action Navale본부 소속으로

Cassard D614호와 Jean Bart D615호 두척이 DCN사의 Lorient 해군조선소에서 건조되어 1988년과 1991년 취역하였습니다.
Georges Leygues 급을 바탕으로 방공용 무장을 장착한 방공형으로 개발되었으며

독특한 선체에 선임급과 다른 추진장비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주임무는 함대, 항모전단 혹은 호위임무시 대공방어 임무를 제공하는 것이며

수색과 해상검문및 해외주둔배치등에 운용합니다
Cassard급을 설계하고 건조, 운용하면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신형 스텔스 프리깃 La Fayette형이 탄생하기도 하였습니다.

Cassard급은 DCN사가 개발한 Senit 전투데이터시스템과 OPSMER 지휘지원시스템을 장비합니다.
Senit는 함정의 각종 센서로 부터 얻은 정보를 모으고 분류하고 분석하여 표시해주며

Link 11 과 14 를 포함한 전술적 데이터연결을 통해 다른 장비들과 함께 데이터를 교환을 수행합니다.

 Syracuse는 위성통신시스템입니다.
DCN CTMS으로 사격통제를 하며 SAGEM DIBV 1A Vampir적외선 감지기는 표적을 추적하기 위해

함의 수색레이더와 통합되어 있습니다. Najir 광학식 사격지시기는

EADS Matra Systèmes & Information사제로 주포 사격통제용으로 장비합니다.

Cassard 급 제원
승무원 245 명
길이 139 metres
함폭 14 metres
만재배수량 4,750 tons
추진기관: SEMT-pielstick 18 PA6 v 280 BTC 디젤엔진 4기
출력 31.75 MW (10,800마력 x 4기)
2축추진 가변피치 프로펠러
최대속도 30 knots
경제속도 18 knots
항속거리 8,000 miles/경제속도 운항시

전투시스템: Senit command support system OPSMER

무장
대함미사일 Exocet MM40
대공미사일 Mark 13 Mod 5 단장발사기 1기, Standard SM-1MR 40기 탑재
근거리방공미사일 Sadral 6연장 발사기 2기, Mistral 미사일 39발 탑재 운용
Creusot Loire Compact 100mm/55 Mod 68 DP 함포 1문
Oerlikon 20 mm기관포 2문
12.7 mm 기관총 4정
Type Kd 59E 고정식 어뢰발사관 2기, 대잠어뢰 Ecan L5 Mod 4 어뢰 10발 탑재

전자전장비
전자지원기 DR-3000S
적외선 지시기 DIBv 1a vampir
레이더재머 ARBB-33
Dagaie 및 Sagaie 디코이 발사기 각 2기
LAD 디코이 시스탬
견인식 어뢰기만기 Nixie

운용헬기
비행갑판과 격납고 보유, 헬기 착용시스템 Samahe 장비
Lynx Mark 4 혹은 AS 565MA Panther 헬기 1대

레이더
3차원대공수색레이더 DRBJ 11B
대공및 수상 수색레이더 DRBv 26C - D band.
사격통제레이더 DRBc 33A
사격통제레이더 SPG-51C

소너 : hull mounted sonar SDUBa 25a 혹은 DUBv 24C

통신장비; Syracuse 위성통신시스템
전술테이터링크 : Link 11 , Link 14

DRBV26C sentry radar
1 DRBJ11B tri-dimensional air sentry radar
1 DIBV2A infra-red alert system
2 DRBN34 navigation and landing radar
1 DUBV 24C hull sonar
Syracuse II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1 ARBR 17 radar detector
1 SAIGON radio emission detector
1 ARBB 33 jammer
2 SAGAIE NG decoy launchers
2 DAGAIE decoy launchers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9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0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소비에트 연방 해체이후 경제난을 겪던 러시아가 석유와 가스 수출등으로

막대한 경제적 부를 쌓은 후 5월 9일 대규모 군사퍼레이드를 수도 모스크바 붉은 광장에서 성대하게 열립니다.
더불어 러시아해군도 해상에서 막강한 해군력 재건을 알리는 퍼레이드를 실시하는데.

사진은 5월 8일 열고 러시아의 힘을 과시하기 위해 벌써부터 예행연습이 한창입니다.
모스크바급 순양함을 비롯해서

엘리케이터급 상륙함 나누치카급 타란튤라급 콜벳, 보라급 콜벳,

가르시아급 콜벳등 다양함 함정들의 사열모습입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핀란드해군 Hameenmaa 급 기뢰부설지원함 Uusimaa 05



핀란드해군의 Hameenmaa 급 기뢰부설및 지원함으로 기존의 함정들을 발전하여 2척을 건조하여

운용중인 다목적함정입니다.

기뢰작전을 하지 않을 경우 지원함이나 수송함으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Hameenmaa급 minelayer는 (핀란드어 Hameenmaa는 miinalaiva)2척을 보유중인데

강철체 선체에 알루미늄 알로이 기골로 건조되었으며 결빙지역에서 운용할 수 있는 ICE-1A급 함정이므로

결빙이 작은 핀란드 해역에서 일년내내 작전이 가능합니다.
또한 선체 설계는 핀란드해군에서 최초로 시도된 스텔스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Hameenmaa 급 주임무는 기뢰부설이지만 호위, 수송및 병참지원용 거점함으로 운용할 수도 있습니다.

2척의 함정은 2006년부터 2008년사이 현대화 개량작업이 실시되는데 개량 목적은 현대식 장비를 장착하는 것과

European Security and Defence Policy같은 국제 협동작전을 수행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임무 해제된 Tuuji급 호버크래프트에서 가져온 Umkhonto missile 시스템을 장착하묘

레이더와 소너등을 위한 현대식 모니터 장비등이 장착됩니다.

무장 변동 내역: 원형 현대화 이후
2× Bofors 40 mm 기관포
2× twin 23 mm 대공기관포
1× 6연장 ItO 91 대공미사일 발사기
2× 대잠로켓발사기
2× 폭뢰발사 레일발사기
100-150 기뢰(기뢰부설레일 4기)
1× Bofors 57 mm 기관포
1× 8연장 ItO 04 대공미사일 발사기
2× 대잠로켓발사기
2× 폭뢰발사 레일발사기
100-150 기뢰(기뢰부설레일 4기)

Hameenmaa 호는 개량작업 후 2007년 3월 핀란드해군에 인도되었고 Uusimaa호는

2006년 4월부터 개량작업이 시작되어 2007년 10월 인도되었습니다.
이들 함정들은 2008년 연말까지 시험운항을 거쳐 작전신뢰성을 평가받게 됩니다.

일반제원
배수량: 1,300 tons
길이: 77.8 m
함폭: 11.6 m
홀수: 3 m
엔진: 2 × Wartsila Vasa 16V22 diesel; 5,200 kW with 2 CW propellers
속도: 20 knots
승조원: 70

무장:
1 × Bofors 57 mm/70 SAK Mk.1
8-cell Denel Umkhonto-IR VLS SAM system
4 × 12.7 mm machine guns
2 × RBU-1200 ASROC launchers
2 × rails for depth charges
4 × rails for 100-150 mines

센서및 관제장비:
Selesmar ARPA radar
Radamec 2400 optronic director
Simrad hull-mounted sonar
Electronic warfare: Decoy: ML/Wallo Superbarricade multichaff and IR flairs
ESM: Thales Matilda radar warning system

보유함:
FNS Hameenmaa (02)
FNS Uusimaa (05)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