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kuna은 브라질 해군이 도입한 독일 Howaldtswerke-Deutsche Werft (HDW) 사의 209급 잠수함의 한형식인 연안용 잠수함 Type 209/1400급 잠수함으로 브라질은 Tupi급을 개량하여 도입한 신형잠수함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upi급은 5척을 도입할 계획이였으나 브라질 해군이 더 개량된 잠수함을 요구하여 4척만 건조된 후 사업이 종료되었고 이후 Tikuna급으로 명명된 개량형 Type 209 1척을 2005년 진수하여 도입 운용하고 있습니다. 2번함 Tapuia호는 예산부족으로 건조가 취소되어 현재 유일하게 운용되는 함정이기도 합니다.
S-34 Tikuna는 함길이가 0.85m 연장되었고 센서류를 중심으로 추가 장비가 탑재되며 배수량도 1,550톤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앞서 건조되어 취역한 브라질해군의 Tupi급 209/1400급 잠수함 일번함 Tupi (S30)호는 1989년 최초로 브라질해군에 취역하며 나머지 함은 브라질의 Rio de Janeiro에 있는 Arsenal de Marinha 해군조선소에서 건조되어 Tamoio (S31)가 1994년, Timbira (S32)호가 1996년에 그리고 마지막함인 Tapajo (S33)호가 1999년 취역하였습니다.
Tupi급은 BAE Systems이 개발한 Mk24 Tigerfish Mod 1 혹은 Mod 27 어뢰를 발사할 수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upi급 (Type 209/1400)과  Tikuna급 제원

승조원 Improved Tupi - 40명 / Tupi - 장교 8명 포함 30명
수상배수량 Improved Tupi - 1,850t / Tupi - 1,260t
수중배수량 Improved Tupi - 2,425t / Tupi - 1,440t 
길이 Improved Tupi - 6.7m / Tupi - 61m 
함폭 Improved Tupi - 8m / Tupi - 6.2m 
함고 5.5m
수상속도 혹은 Snorting 속도 : 10kt
수중속도 : 24kt
수상항해시 항속거리 : Improved Tupi - 11,000 miles / Tupi - 8,000 miles
수중항속거리 : 400 miles

무장시스템
어뢰발사관 : Boe에 8문의 533mm 발사관, 자력추진 발사식  
어뢰 8기는 즉시 발사가능 장전, 재장전용 8기 탑재
IPqM 어뢰사거리 18km, 속도 45kt
Tigerfish Mod 1 혹은 Mod 27 어뢰사거리 14km 에서 40km, 속도 25kt 에서 40kt
IPqM Mines MCF-01/100 기뢰를 어뢰대신 탑재가능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레이더류 
Weapon Control KAFS-A 10
Radar Warning Receiver DR-4000

센서류
Periscopes 2 x Kollmorgen Mod 76 periscopes
I-band Navigation Radar Calypso III
Hull-Mounted Sonar CSU-83/1 

엔진
Tupi급 디젤엔진: 4 x MTU 12V 493 AZ80 GAA31L
Alternators (Tupi) 4 x Siemens 1.8MW
Motor (Tupi) Siemens 3.4MW motor
Improved Tupi급 디젤엔진: 4 x MTU 12V 396, providing 2.76MW

5월 25일 브라질 Santos항에 정박중인 브라질해군의 신형 209급 잠수함 Tikuna (S34)호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프랑스해군 헬기 순양함 Jeanne d'Arc (R97)호가 6월 2일 Seine강을 항해하는 모습입니다.
호위함 D640 Georges Leygues호가 기계 이상으로 귀항하여 홀로히 순방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Jeanne d'Arc (R97)는 프랑스해군의 헬기 순양함으로 평화시에는 교육과 훈련목적으로 운용하며 전시나 위기 발생시에는 헬기순양함으로 운용합니다. 그러나 현재는 헬기사이즈와 무게증가로 곤란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Mistral급 헬기운용 강습상륙함의 배치로 2010년전 퇴역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함이력
건조착수: 1959
진수: 1961
취역: 1964
함명변천: La Resolue호로 건조되었지만 1964년 Jeanne d'Arc호로 변경
모항: Brest
예명: "La Jeanne"

일반제원
배수량: 10,575 tonnes
길이: 182 m
함폭: 24 m
홀수: 7.5 m
추진기관: 10,000 마력(7.5 MW) 출력을 가진 증기터빈 4기로 29 420 kW 출력
속도: 28 knots (52 km/h)
항속거리: 3 000 nm/26,5노트, 3 750 nm/25노트, 6,800 nm/16노트, 7,500 nm (14,000 km)/ 15 knots (28 km/h)
승조원: 장교 31명, 하사관 182명, 수병 414 명, 150 cadet officers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센서및 전술시스템:
1 DRBV 22 D
1 DRBV51A
2 DRBN34
1 DRBC32A
1 Sonar DUBV24
1 Inmarsat

전자전 디코이 시스템: Nixie

무장:
Exocet-38 대함미사일 발사기 6기
100 mm 함포 2문(원래 4문이였는데 2000년 철거)
12.7mm 기관총 4문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세느강정도는 되어야 배가 다니든가 말든가 할텐데, 이런 사진을 보고 "우리도 가능해"하고 헛소리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사진들은 세느강을 통해 Rouen으로 향하는 모습인데, 세느강이 과연 어느정도 일까요?
네이버 백과를 참조하면, 총길이는 776km로 영국해협으로 흘러드는 프랑스에서 3번째로 긴 강인데, 발원지가 몽타셀로산으로 고도가 겨우 471m입니다.

강의 너비는 킬레뵈프 부근의 2km에서 점차 넓어져서 르아브르옹플뢰르 사이에서 10 km에 달하며, 그 구간에서는 밀물 때 거센 파도가 일어난다. Rouen까지 조수 간만의 영향이 미치고, 1만 t급의 외양선이 항행할 수 있다.
물길의 해발고도는 수원지에서 불과 51 km 지점인 샤티용에서 215m로 반으로 줄고 몽트뢰유에서는 47m, 파리에서는 26m로 낮아진다. 그와 같이 중류 ·하류에서는 완만한 흐름을 보이고, 또 욘강을 제외하고는 본류 ·지류가 다같이 안정되어 유수량이 연중 대체로 고르다.

파리에서의 유수량은 평균 매초 157m3, 최저 75m3, 최고 1,650m3이다. 흐름이 완만하고 유수량이 안정되어 하구에서 650 km 상류의 바르쉬르센까지 주운()이 가능하고, 특히 루앙과 몽트뢰유 사이의 선박 왕래가 활발하다.

하천의 흐름과 병행하여 오트센 운하외에, 다른 하천과의 사이에도 솜 운하, 아르덴 운하, 마른-라인 운하, 마른-손 운하, 부르고뉴 운하, 오를레앙 운하 등이 통하여 내륙수로망을 이룬다. 센강 유역에는 파리를 비롯하여, 루앙 ·르아브르 등의 대도시가 있고, 그들 도시의 발전은 센강에 의존하는 바가 크다. 특히 파리와 센강과의 공존관계가 커서, 센강이 파리의 도시미관에 큰 역할을 하고 있고, 센강의 수운() 발달은 파리 및 파리 분지의 번영에 의해 촉진되고 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6월 13일 촬영된 그리스 해군이 "Katsonis-급"으로 4척을 발주한 214급 잠수함 4척중 일번함인 S120 Papanikolis는 아직 제작사인 독일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HDW)소속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하자를 이유로 인수를 거부한 채 문제점 해결 및 가격 인하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인데, 2006년 12월 StrategyPage 보도에 따르면 Papanikolis는 심각한 기술적 문제점이 상당히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문제점중에는 과다한 프로펠러 공동현상(cavitation)으로 인해 소음이 심각하고, AIP 시스템의 연료전지가 과열이 되며 수상에서 악천후시 롤링이 심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Seapower지에 의하면 Papanikolis호에는 불충분한 AIP 시스템의 출력부족문제, 부적합한 periscope의 진동, 소너 flank array 문제, 그리고 함의 유압시스템으로 물이 스며드는 현상등 심각한 문제로 인해 그리스가 인수를 거부한다고 소식을 전한 바 있습니다.

반대로 독일의 건조사는 2006년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했다고 강력히 주장하면서 그리스해군이 인수를 거부하는 것은 단지 가격인하만을 노린 억지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건조사는 그리스해군이 모든 대금을 지불하기 전까지 잠수함의 인도를 거부하여 Papanikolis호는 2006년부터 독일 Kiel항에 계류되어 있습니다. 또한 다른 소식통에 따르면 아직도 문제점 해결을 위해 함을 뜯어내고 조립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다고 합니다.

2번함인 Pipinos호는 2007년초 진수된 후 그리스로 이동하여 Piraeus에서 적격시험을 실시중입니다. 나머지 2척은 진수가 완료된 후 의장공사중입니다.

6월 13일 촬영된 그리스 해군의 214급 잠수함 일번함 S120 Papanikolis이 독일 HDW 도크에 놓여 있는 모습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이에 반하여 현대중공업이 면허 생산한 214급 잠수함 1번함에서 그리스 해군과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였지만 훨씬 조선기슬도 뛰어나고 문제 처리능력도 훌룡한 한국 조선소와 방산품을 구매하는 방사청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고 적합 판정을 내려 해군이 공식 인수한 바 있습니다.
과연 진실일까요?

아래는 이와 관련하여 디펜스 타임즈 코리아 필진인 김병기님이 기고한 글입니다.

214 급의 진실이 무엇인지 되묻고 싶습니다.....

==> 진실의 실체는 객관적인 검증을 통해서 확인이 되어야만 밝혀질 것입니다. 아마도 국회국정감사를 통해서야 밝혀질 수있을 것으로 봅니다. 현재까지 확실한 사실은
# 특정 수심에서 일정 속도이상으로 순항할때 발생하는 소음문제와
# 수중기동시 안정성문제
# 연료전지 시스템의 변속시 안정성 문제가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것은 이미 여러 기사를 통해서 또는 관계자들을 통해 확인이 된 사실입니다. 오늘 조선일보의 기사에서도 관계자의 언급에 문제가 있었지만 많이 해소되어 가는 중이라고 내용이 있었습니다.

정확히 표현하면 10 여차례이상 문제를해결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해도 문제점을 잡지 못하다가 이제 소음의 원인이되는 형상의 문제를 파악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아직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닙니다. 이제 문제의 부분을 재설계를 하고 있는 중입니다. 개조후 시험을 통해 입증되어야 해결되는 것이지요.

그런데도 나머지 6 척의 추가 도입을 하겠다는 이야기를 하니 왜 이렇게 해야하느냐는 것이지요. 일정부분 재설계를 통해 변경을 해서 시험을 통해 검증이 된 후에 결정해도 늦지 않고 당연히 그렇게 해야하는 것이 순리입니다.

214 급의 소음 문제는 깊은 수심에서 저속 순항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별로 없습니다. 문제는 낮은 수심에서 슈노켈항해를 하며 일정속도 이상 올라갈때 큰 소음이 나는 것이고 이것은 형상에 관련된 것 이라는 것이 가장 최근의 결론입니다.

이것이 정확한 원인인지는 실제 재설계하여 개조작업을 한 후에 시험항해를 통해 입증되어야할 사안입니다. 여기에 나머지 2 척도 개조를 해서 시험해야합니다. 다른 분들이 언급한 것처럼 214 급은 많은 장점을 가진 잠수함이지만 현재 문제가 되는 부분은 작전수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있는 사안이 분명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문제를 제기하는 것입니다.

6월 13일 촬영된 그리스 해군의 214급 잠수함 일번함 S120 Papanikolis이 독일 HDW 도크에 놓여 있는 모습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또 하나의 문제는 214 의 핵심장비인 연료전지의 불안정성입니다. 수중순항시 속도를 바꿀때 아무런 이유없이 시스템이 다운되어버리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처음엔 전기 콘트롤 파트에서 문제가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했는데 실제 문제는 연료전지 자체에 있다고합니다.

원인을 찾아 확실하게 해결해야할 문제로 보이고 상당한 시간의 시험운항과 수중에서 다양한 기동을 시험해보면서 신뢰성을 확인하기전에는 잠수함의 성능이 문제 없다고 말하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현재는 인수한지 6 개월이 넘어가지만 아직 제대로된 기동시험을 할 수 없는 상황으로서 더우기 개조까지 한 후 시험을 해야해서 전력화 시기는 훨씬 늦어지게될 것입니다.

새로운 무기 시스템을 제작할때 여러가지 문제점이 나타나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이것을 해결하면서 또한 상당한 기술을 축적하게되는 것이므로 이런 문제점 자체를 가지고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 이외에도 크고 작은 문제는 수백가지였지만 다른 함정 건조시에도 문제점은 많았고 대부분 해결되었습니다. ) 그런데 왜 문제를 제기하는가 질문한다면 문제는 이런 문제점을 관리하는 전체 시스템에 문제가 많아 보인다는 것입니다.

6월 13일 촬영된 그리스 해군의 214급 잠수함 일번함 S120 Papanikolis이 독일 HDW 도크에 놓여 있는 모습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제가  이의를 제기하며 가지는 의문은 3 가지입니다.

1. 이렇게 심각한 문제점이 발견되고 아직 해결되지 않은 것이 분명한 상황에서 ( 현재 재설계하는 문제도 확실한 해결책인지는 시험을 통해 입증되어야할 사안이고 아직은 가설입니다. ) 왜 급작스럽게 인수를 강행했는지 ? 그리스는 아직도 인수하지 않고 HDW 사에게 문제해결을 요구하고 있는 중입니다.

2. 그리고 이런 문제점이 확실하게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 추가 6 척 생산협상을 왜 진행하려고 하는지 ?

3. 마지막으로 일부 형상을 개조하여 제작하고 시험하는 비용과 전력화가 늦어지게된 것에 대한 책임은 누가 지게될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214 급은 한국군이 가지는 무기 중 가장 전략적인 성격을 가지는 무기체계입니다. 그렇기에 많은 밀리매니아들과 군의 관심과 기대를 받아왔습니다. 그렇기에 작은 문제점에대해서도 철저한 검증과 신뢰성을 요구하는 것이고 이것은 무리한 요구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핵심 무기체계를 획득하는데 여러가지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관계자들이 왜 이렇게 의혹을 받을만한 행보를 해야하는지 저는 이해할 수없습니다.

아무쪼록 우리해군의 주전력으로 손색이 없는 214급 잠수함이 조속한 시일내에 전력화되기를 바랄 뿐입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Horizon Common New Generation Frigate (CNGF)는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합동으로 건조하여 도입하는 차세대 방공 프리깃함입니다.

영국도 참여하여 다국적함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요구사양의 차이로 영국이 탈퇴하여 Daring급 방공함을 건조하고

프랑스와 이탈리아만 공동건조하여

이탈리아는 Orizzonte급, 프랑스는 Horizon급으로 도입합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사진은 금년 전반기중 취역예정으로 작년 진수후 시험운항을 하고 있는

프랑스해군의 신형 방공구축함 D-620 Forbin호와

이탈리아해군의 1번함 D570 Andrea Doria호 입니다.

프랑스가 건조한 Horizon급 방공프리깃함 1번함 D620 Forbin은

2004년 건조에 착수하여 2005년 3월 진수되었고

현재 2008년 취역을 앞두고 시험항해중입니다.
2번함 D621 Chevalier Paul은 2005년 1월 건조에 착수하여

2006년 7월 진수되었으며 2009년 취역예정으로 현재 내외부 공사중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이탈리아가 건조하는 Horizon급도 2척으로 1번함 D570 Andrea Doria는

2002년 건조를 시작하여 2005년 10월 진수되었으며

2007년 7월 취역할 예정이고 2번함 D571 Caio Duilio는

2003년 9월 건조시작, 2006년 8월 진수,

2009년 1월 이탈리아해군에 취역할 예정입니다.
양국은 Horizon급 방공함의 합동건조에 성공한 후

다시 FREMM급 다목적 프리깃함의 건조에 공동보조를 취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제원
함형: Frigate
기준배수량: 5,600 tons
만재배수량; 6,635 tons
길이: 152.87 m
함폭: 20.3 m
홀수: 5.4 m
추진기관:
2 x 31,280 hp GE/Avio General Electric LM2500 가스터빈
2 x 5,875 hp SEMT Pielstick 12 PA6 STC 디젤
1 bean propulsor
2 x 5-blade propellers

최대속도: 29 knots (54 km/h) (디젤추진시 18 knotson)
항속거리: 7000 nm/18 knts, 3,500 nmi (6,480 km) /25 knots (46 km/h)
보트및 상륙인원: 1 EDO, 1 EFRC (20 seats)
Hurricane 733 1척 - 32명 탑승
승조원: 장교 26, 하사관 110명, 수병 38명

센서및 관제 장비:
EMPAR "Phased Array" G band multifunction radar
S1850M early warning long range radar
1 NGDS system (2 decoy launchers, REM, RIR, LAD)
1 radar jammer
1 communication jammer
1 Contralto system (2 acoustic decoy launchers)
1 sonar Thales UMS 4110 CL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무장:
8 × Exocet MM40 혹은 8 × TESEO Mk-2/A (Italian version) 대함미사일 발사기
2 × Otobreda 76 mm Super Rapid guns (3 on Italian ships)
2 × 20 mm modele F2 guns or 2 × KBA Oerlikon 25/80 mm
PAAMS (Principal Anti-Air Missile System): Sylver A50 수직발사기에 32기의 Aster 30와 16기의 Aster 15 missiles
2 × MU90 Impact double torpedo tubes
2 × SCLAR-H chaff, decoy and flares launchers
2 × SLAT anty torpedo system

탑재헬기: 1 (수용가능수량은 2대) NH90 혹은 EH101 헬기 (radar ENR, sonar Flash, LADT 11, Marte missiles or MU90 Impact torpedoes)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칠레해군이 영국으로부터 인수한 CNS Almirante Condell FF06 (과거 HMS Marlborough (F233)호가 6월 6일 시험운항을 위해 영국 Portsmouth 항을 출발한 후 6월 9일 귀항하는 모습입니다.

6월 6일 영국 Portsmouth 항에서 출항준비중인  CNS Almirante Condell FF06 호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영국해군시절 이력
Name: HMS Marlborough (F233) Operator: Royal Navy Ordered: September 1986 Builder: Swan Hunter Laid down: 27 October 1987 Launched: 21 January 1989 Commissioned: 14 June 1991 Decommissioned: 8 July 2005 Motto: S'en Vat'en Guerre"He Goes to War" Fate: Sold to Chile

6월 6일 영국 Portsmouth 항에서 출항준비중인  CNS Almirante Condell FF06 호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칠레해군 인수후 이력
Operator: Chilean Navy
Commissioned: 2008
Renamed: CNS Almirante Condell

6월 6일 영국 Portsmouth 항에서 출항준비중인  CNS Almirante Condell FF06 호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일반제원
Class and type: 'Duke' Class Type 23 frigate
Displacement: 4,900 tonnes
Length: 133 m (463 ft 3 in)
Beam: 16.1 m (52 ft 10 in)
Draught: 7.3 m (23 ft 11 in)
Propulsion: CODLAG (Combined Diesel-eLectric And Gas)
2 × Rolls-Royce Spey boost gas-turbines
4 × Paxman Valenta diesel engines
2 × GEC electric motors
Speed: 28 knots (52 km/h), 15 knots (28 km/h) on diesel-electric
Range: 7,800 nautical miles (14,400 km) at 15 knots (28 km/h)
Complement: 185
Armament:
2 × ASuW Harpoon quad launchers
Vertical launch system Sea Wolf missiles
1 × BAE 4.5 inch (110 mm) Mk 8 gun
2 × Oerlikon 30 mm guns
4 × Sting Ray torpedo tubes
Seagnat and DFL3 decoy launchers Aircraft carried: 1 × Lynx HMA8

시험운항후 6월 9일 Portsmouth 항으로 입항하는 CNS Almirante Condell FF06 호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시험운항후 6월 9일 Portsmouth 항으로 입항하는 CNS Almirante Condell FF06 호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칠레해군 Type 23급 Almirante Cochrane FFH-05 호가

      2007년 11월 9일 모든 시험운항을 마치고 모국인 칠레를 향하여 영국의 Portsmouth항을 출항하고 있습니다. 
     터그보트가 축하의 물세례를 퍼붓고 있는 장면이 인상적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터그보트의 안내로 영국의 Portsmouth항을 출항하는 칠레 Type 23급 Almirante Cochrane FFH-05 프리깃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004년 7월 HMS Norfolk, Marlborough Grafton호가 퇴역한 후

                       2005년 칠레해군에 판매되었으며 2008년 인도된다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2005년 9월 BAE Systems사는 1억3천4백만파운드에 개수공사를 수주하였으며

                      일번함이 2006년 11월 칠레해군에 인도되었으며 함명은 Almirante Cochrane입니다.

제원
Complement: 185; 17 officers, 57 senior ratings, 111 junior ratings
Displacement: 3,500 tonnes standard, 4,900 tonnes full
Length: 133 m (436.2 ft)
Beam: 16.1 m (52.8 ft)
Draught: 5.5 m (18.0 ft)
Propulsion:
CODLAG (Combined Diesel-eLectric And Gas);
2 x Rolls-Royce Spey SM1A gas turbines, 31,100 shp (25 MW)
4 x GEC-Alsthom Paxman Valenta diesels, 8,100 bhp (6.01 MW)
2 x GEC electric motors, 4,000 shp (3 MW)
Speed: 28 knots (52 km/h) maximum
Range: 12,500 km at 15 knots (28 km/h)


다음 사진들은 칠레해군이 영국으로부터 인수한 Almirante Cochrane FFH-05호를 시험운항한 후

                                                     Portsmouth 항에서 정박중인 모습으로 2007년 7월 17일 사진들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7월 17일 Portsmouth 항에 정박중인 칠레해군 Almirante Cochrane FFH-05호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최종 인수전까지 함을 운용해보면서 조작방법을 익히고

                                                     하자부분을 점검하는 기간동안 시험운항과 정박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지난 5월 29일 호주해군 Collins급 잠수함 HMAS Waller호가 Exercise RIMPAC 2008 훈련에 참가하기 Hawaii로 출항하기전 Fleet Base East에서 준비를 위해 Sydney Harbour에 입항하고 있습니다

금년도 Exercise RIMPAC 2008 훈련은 6월 29일부터 7월 31일 사이에 열리는데 1971년 시작된 이래 올해로 21번째를 맞는 다국적 해상 합동 훈련입니다.호주해군의 Collins급 잠수함은 42명이 승선하며 다른 나라와 달리 남녀가 함께 잠수함에 탑승하는 특이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다음은 호주해군이 도입한 Collins급 잠수함에 대하여 http://blog.naver.com/lsj3721 미카엘님 글입니다.

세계최대(잠항시 3350톤, 수상주행시 3050톤)의 디젤-일렉트릭 추진식의 잠수함인 콜린스급 건조사업은

호주해군의 안작급 프리기트함 건조사업과 함께 호주해군의 야심찬 전력강화 사업의 핵심요소입니다.
호주가 기존의 60년대에 획득되어 70년대에 대폭적인 전투기능의 Upgrade를 거치면서

훌륭히 그 역할을 수행해온 오베른급 잠수함을 대체할 새로운 잠수함을 획득하기위한 계획을 수립했을 때,

호주해군은 현존하는 잠수함중 최고의 성능을 가진 3000톤 급의 대형 디젤-일렉트릭 추진식의 잠수함을

호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와 유지-관리상의 이점 등을 고려하여 해외 유수 잠수함업체와의 협력 하에

호주 내에서 건조하기로 결정했다. 호주는 그때까지 잠수함을 건조해본 경험이 전무한 상태였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이 당시 여러 곳의 잠수함 제작업체들이 입찰에 참여하여

스웨덴의 코쿰스사가 잠수함건조를 위한 주계약자로 선정되었다.
호주당국은 호주 내에서의 호주해군용 잠수함의 건조를 위하여 코쿰스사의 모그룹인

셀시우스그룹과 호주(혹은 호주의 외국지사)가 참여한

호주 잠수함 회사(Australian Submarine Corporation - ASC)를 설립하였다.
이런 배경 하에 개발된 호주해군의 Type 471 콜린스급 잠수함 본체에 대한 설계는

당연히 코쿰스사가 주도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전투시스템은 보잉사의 호주지사인 보잉 호주(Boeing Australia)에 의해 진행되었다.
건조는 계획된대로 남호주의 아델라이드에 위치한 호주 잠수함 회사(Australian Submarine Corporation)에서

실시되었으나, 다만 1번함의 함수部와 탈출용 타워부는 스웨덴에서 제작되어 호주로 운반/조립되었다.
콜린스급 잠수함의 시험은 보잉 호주(Boeing Australia)에 의해서 설계되고 설치된

'호주해군 스털링 수중 자기측정/처리 설비

(HMAS Stirling underwater magnetic measurement range and treatment facility)'에서 실시되었다.

콜린스급의 건조는 코쿰스사의 최신형 잠수함인 고틀랜드급 잠수함 건조경험이 바탕이 되어

모듈러식 건조 등의 기술이 그대로 적용되었다.
콜린스급은 향후 30년간 호주해군에서 활동 할 예정으로 연안초계및 대양초계,

장거리 공격 등의 임무를 수행 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기간동안을 잠항상태에서 60일간 보급없이 활동 가능하다. 그러나 스노팅(Snorting)에 의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잠항할 수 있는 기간은 4노트로 주행시 약 87시간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설계
콜린스급 잠수함은 고장력탄소강재로 건조된 단일선체구조

(실제로 내부는 중앙부의 탈출용 용기에 의해 전방가압선체와 후방가압선체 두개로 나누어진다.)로

길이 78m, 직경 8m, 배수량 3050톤급으로 디젤-전기발전식의 추진체계를 가진

잠수함중에서는 최대급의 크기이다.
콜린스급은 6개의 주요부로 구성된다.
콜린스급 선체의 재질은 고장력 탄소강의 일종인 Bissalloy 690이며,

이밖에 핀등에는 화이버강화 플라스틱이 사용되었다.

또한 1번함인 콜린스를 제외하고 모든 콜린스급 잠수함에는 무반향 타일이 붙여졌다.
한편 후방의 방향타부는 ×자형으로 구성되어 높은 기동성을 보장한다고 한다.
콜린스급 잠수함에는 6명의 사관을 포함하는 42명의 승무원이 거주 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주추진체
콜린스급은 Type V18B/14 4행정식의 터보차저 디젤엔진 3기가 있다.

 이 디젤엔진은 각각 1475kW의 출력을 낸다. 발전기는 프랑스 Jeumont Schneider사의 1400kW,

440V급의 발전기 3개가 장착된다.
메인모터는 수랭식으로 5250kW의 출력을 내는 것이 장착된다.

발전기 등 전원계통의 파괴시의 비상시 추진은 MacTaggart Scott의 DM 43006 유압식 모터를 사용한다.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은 한 개의 샤프트를 통해 Skew Back식의 프로펠러를 회전시킨다.
각 엔진은 분리된 배기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배기시스템은 두개의 배기구를 가지고 있으며,

핀 상부에 마치 호이스트실린더처럼 신장/수축되는 기능을 가진 Snort 배기장치

(수중에서 수상으로 뽑아져 배기가스를 뽑아내는 장치)와 외피에 표면 배기장치가 있다.
이 잠수함에 폭 넓게 적용된 통합 함정 관리/모니터링 시스템

(Integrated Ship Control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은 조함과

함내 장비기능-기동, 배수, 출력, 추진-에 대한 모니터링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충분한 용량을 가진 두 세트의 데이터버스에 의해 연결된다.
콜린스급은 10노트의 속도로 수상 주행시 11500마일,

10노트의 속도로 스노팅(Snorting)주행시 9000마일을 주행 할 수 있다.

잠항시 최고속도는 20노트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무기
콜린스급 잠수함은 영국의 오베른급 잠수함과 같은 종류의 미사일과 어뢰를 적재하고 다닌다.

이것은 기존에 호주가 보유중인 영국의 오베른급 대잠잠수함과의 무기체계 호환성을 위한 선택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무장의 수량은 훨씬 더 증대되어 콜린스급은 22발의 대함미사일과 어뢰를 적재할 수 있으며,

최대 44발까지의 기뢰를 어뢰적재대에 수납할 수 있다.

어뢰
콜린스급 잠수함은 533mm(21인치) 어뢰발사관을 6개 가지고 있다.

이것은 콜린스급 잠수함의 설계사인 코쿰스가 그들의 최신형 잠수함인 고틀랜드급의 어뢰발사관을

어뢰 자체 프로펠러 추진식으로 개발한것과 달리 압축공기에 의한 발사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다.
콜린스급은 Gould Mark 48 Mod 4 유선유도식의 어뢰를 적재한다.
이 어뢰는 액티브/패시브식의 호밍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267kg의 탄두를 가지고 있다.

최대사정거리는 시속 55노트로 주행시 38km, 40노트로 주행시 50km이다.

미사일
대함미사일은 보잉사의 하푼 잠대함 미사일로 이 미사일은 액티브 레이더 추적식이며,

마하 0.9의 속도로 30km범위내의 수상표적을 227kg의 탄두로 파괴할 수 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전투시스템
적 잠수함이나 수상전투함을 탐지/추적/판별을 종합적으로 수행하기위해 장비된 전투시스템은

함정의 두뇌에 해당하는 것으로 특히 전자병장의 역할이 증대된

오늘날에는 병기의 핵심적 성능 그 자체라고 해도 무리는 아니다.

전통적으로 잠수함의 전투시스템은 기능상이나 운용상의 요구보다는 하

드웨어적 구성요소 - 즉 소나등의 센서류와 ESM과 같은 각종 전자병장 - 에 따라 맞추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비해 콜린스급 잠수함의 전투시스템은 애초부터 운용요구사항에 맞추어 전투시스템을 갖추고 거기에 따라

각종 하드웨어적 요소를 배치하는 개념을 도입했다.

즉 호주해군의 콜린스급 운용 요구상황에 따라 개발된 전투시스템의 필요상황에 따라

소나의 종류와 배열을 결정하는 식의 설계 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콜린스급 전투시스템의 주요 하드웨어적 요소로는

소나 어레이, 레이더, 전투관리시스템, 지령 Plot, 전술 소프트웨어, 무기관제/발사 등을 들 수 있다.
콜린스급 잠수함의 전투관리 시스템의 주개발자는 보잉사의 호주지사인 보잉 오스트레일리아이다.

콜린스급의 전투시스템에 대해서 미해군은 낮은 평가를 내린바 있다.

Next Generation Combat System으로의 Upgrade가 진행 중이라고 한다.

대응수단
콜린스급 잠수함은 Strachan&Henshaw사의

수중 시그날/디코이 사출기(submerged signal and decoy ejectors, SSDE)를 두개 장착하고 있으며,

아르고사의 AR-740 ESM(electronic support measures) 유닛을 갖추고 있다.
SSDE는 음향발신식 디코이를 발사하여 수중 음파 탐신에 의해

잠수함을 추적하는 적어뢰를 헷갈리게 하는 장치이다.

콜린스급의 ESM 안테나는 잠망경위와 ESM 마스트위에 장착된다.

센서류
I 밴드에서 운용하는 항법레이더는 켈빈 휴즈(Kelvin Hughes)사제의

Type 1007로 안테나 유니트, 송/수신기, 디스플레이로 구성된다.
이 레이더의 안테나는 잠수함의 마스트에 장착되어 완전 가압 테스트를 받았다.

송/수신장비는 25kW의 출력을 가지며 9410기가헤르츠에서 작동된다.
콜린스급 잠수함은 Pilkington Optronics사의 CK043 수색 잠망경과 CK 093 공격 잠망경을 가지고 있다.

이 잠망경들은 열영상장비, 영상증폭기, 저광량 텔레비전 센서등과 통합되어 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소나
콜린스급은 Thomson Sintra사의 Scylla 액티브/패시브식 함수부 장착 Array 소나를 가지고 있으며,

패시브식의 측면 Array, 인터셉트 Array, 거리 Arrey를 가지고 있다.

톰슨 신트라의 평면형 소나 어레이는 piezo-electric polyvinyl difluoride 재질로 된 평평한 판넬로 만들어 진다.
Polyvinyl difluoride 어레이는 10kHz까지의 저주파수를 사용하여

삼각측정법에 의해 거리를 분석하기 위한 충분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한다.
콜린스급 잠수함은 신장/수축식의 패시브형 towed array 소나를 가지게 될 것이다.

이것은 톰슨 마르코니 소나(Thomson Marconi Sonar)사에 의해서 공급되는

Kariwara형이 장착될 것으로 보인다.
Kariwara형은 릴(reel)형으로 어레이 라인을 감거나 풀어서 사용하는 것으로

호주 국방연구센터에서 개발되었으며, 호주해군이 보유한 세척의 오베른급 잠수함에서 테스트 되어 왔다.

카리와라 어레이의 길이는 450m이상이며, 50m길이까지 늘어뜨려진 상태로 잠수함에 견인될 수 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콜린스급의 제원>
일반제원
승무원 : 42명(6명의 사관+32명의 승조원이외에 6명의 훈련병 탑승 가능)
배수량 : 3050톤(수상), 3350톤(잠수)
길이 : 78m
함폭 : 8m
흘수선 : 7m
최고속도 10노트(수상주행,스노팅주행) , 20노트(잠항)
항속거리
11500마일(18507km)-10노트로 수상주행시
9000마일(14484km)-10노트로 스노팅주행시
400마일(643.72km)-4노트로 잠항시
잠항심도 : 180m이상

무장
대함미사일 : Sub Harpoon
어뢰 : 6×533 mm 어뢰발사관(하품미사일및 Gould Mk 48 유선유도식 어뢰발사용), 총 22발 적재
기뢰 : 44발
 
전자병장및 센서류 ESM : Argo AR-740
디코이 : Strachan and Henshaw SSDE
레이더 : Kelvin Hughes I-밴드 항법레이더
잠망경 : Pilkington Optronics CK043 수색, CK093 공격

소나
Thomson Sintra Scylla 선체장착 소나
Thomson-Marconi Kariwara 혹은 Namara 견인형 소나

추진
3×Hedemora/Garden Island Type V18B/14 디젤엔진, 각 1475 kW출력
3×Jeumont Schneider 440 V 발전기, 각 1400 kW출력
1×메인모터, 5250 kW출력
1×MacTaggart Scott DM 43006 유압모터(비상기동용)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Project 1164 Atlant로 건조를 시작한 러시아해군의 Slava 급 순양함은 강력함 대공, 대함능력을 가진 함정입니다. 사진은 지난 6월 1일 Sebastopol항에 정박중인 모습을 촬영한 것입니다.
다음글은 어둠의상인님의 Project 1164 모스크바급 순양함에 대한 글입니다.
(원문 출처
http://icc.skku.ac.kr/~yeoupx/Project1164.htm)

개요

Project 1164 미사일 순양함은 뛰어난 대함 능력과 대공 능력, 제한적인 대잠 능력을 갖춘 타격함으로 설계되었다. 기본적으로는 당시 취역하고 있던 키예프급 항공 순양함을 호위하기 위한 함으로서 카라급 구축함과 공동으로 작전하는 구역 방공함 겸 대함 공격함인 셈이다. 이 함정의 목적은 같은 시기의 Project 1144 원자력 추진 미사일 순양함과 비슷하나, Project 1144 순양함이 값이 비싸고 지나치게 대형이기 때문에 보다 현실적인 함정으로 계획된 것이 특징이다.
Project 1164 순양함은 1970년대 초에 처음 계획이 시작되어, 1976년에 첫번째 함정이 건조에 들어갔다. 원래 서방 정보 기관에서는 Project 1164 순양함을 BLACKCOM-1(Black Sea Combatant #1)으로 분류하였으며, 그후 나토 코드 명으로 크라시나급이라고 불리다가 첫번째 함정의 이름이 슬라바함으로 밝혀지자 슬라바급으로 바뀌었다. 나중에 슬라바함이 오버홀을 위해 모스크바를 방문했을 때, 모스크바시에서 오버홀 비용을 지불하고 함정의 이름을 모스크바함으로 개명하는 바람에 모스크바급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여기서는 현재 명칭을 기본으로 Project 1164 모스크바급 순양함으로 통일하기로 하겠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Project 1164 순양함은 모두 우크라이나에 위치한 Nikolayev North 조선소에서 건조되었으며, 1번함인 슬라바함은 1983년에 취역하였다. 2번함인 로보프함은 1978년에 건조에 착수하여 1986년에 취역하였고, 3번함인 체르노바 우크라이나함은 1979년에 건조에 착수하여 1989년 취역하였다. 마지막 4번함인 빌나 우크라이나함은 약간 간격을 두고 1984년에 건조에 착수했는데 원래 1996년에는 취역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소련 붕괴 후 러시아 해군에 넘어간 후 완성되지 못하고 방치되다가, 현재는 다시 우크라이나로 돌아와 건조중이다. 이 함은 우크라이나 해군의 기함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소련 붕괴 후 러시아로 넘어가면서 함명이 모두 개명되어 1번함은 모스크바함으로, 2번함은 마샬 우스티노프함으로, 3번함은 바랴그함으로, 4번함은 어드미럴 플로타 로보프함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이중 4번함은 다시 우크라이나로 넘어가면서 우크라이나함으로 재명명되었다. 한때는 소련에서 1990년대에 퇴역하게 되는 킨다급과 크레스타급을 모두 모스크바급으로 대체하여 21척까지 건조하는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고 모스크바급은 위에 언급한 4척이 전부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구조

Project 1164 모스크바급 순양함은 만재배수량이 Project 1144 우샤코프급 순양함의 절반에 불과한 가스터빈 추진 함이지만 성능면에선 크게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강력한 능력을 자랑한다. 모스크바급은 카라급 구축함과 같은 조선소에서 건조되었으며 선체는 카라급 구축함의 선체 설계를 이용한 확장형이다. 원래 카라급과 모스크바급은 동일한 선체 설계에 기초한 구축함과 미사일 순양함으로 기획되었으며, 처음에는 분류도 각각 Project 1134B, Project 1134C였다. 원래 계획에서는 카라급과 같은 4K65(SA-N-3 Goblet) 대공 미사일 장비함이었지만, 1974년에 취역한 카라급의 개조형에서 실험된 3M41(SA-N-6 Grumble) 대공 미사일이 좋은 결과를 얻었기 때문에, 함대의 구역 방어 능력 향상을 위해 모스크바급에 3M41(SA-N-6 Grumble)을 탑재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이 때문에 1974년에서 1977년 사이에 설계가 변경되었는데, 이때 상당한 설계 변경이 이루어져 현재로선 카라급의 확대 개량형이라는 것이 무색할 지경이며, 모스크바급의 분류도 Project 1134C에서 Project 1164로 변경되었다. 이 함정은 엄청난 양의 가연성 물질로 설계된 구조물과 빈약한 데미지 컨트롤 능력으로 인해 피격이나 화재에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것은 러시아 함정들에서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며, 가연성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선체와 구시대의 화재 예방 시설 등으로 벌써 여러 척의 러시아 함정이 화재로 소실되었다. 이것은 모스크바급도 예외가 아니며 특히 함 중앙에 설치된 3M41(SA-N-6 Grumble) 대공 미사일과 함교 좌우에 설치된 Bazalt(SS-N-12 Sandbox) 대함 미사일은 과연 데미지 컨트롤을 고려한 것인가 의심스러울 정도로 무장이 밀집되어 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장비

레이더
모스크바급은 4척 모두 MR-800 Voshkod(Top Pair) 레이더를 장착하고 있다. 이 레이더는 3차원 Top Sail과 2차원 Big Net을 반대로 붙인 장거리 대공 수색 레이더이다. 또한 모스크바급은 이 레이더 외에도 별도의 대공 레이더를 장착하고 있다. 처음 두척인 모스크바함과 마샬 우스티노프함에 MR-700 Fregat(Top Steer) 레이더가 장착되었고, 나머지 두척인 바랴그함과 우크라이나함에는 MR-710 Fregat-MA(Top Plate) 레이더를 탑재하고 있다. 항법 레이더로는 3기의 Palm Frond가 장착된다.

사격 통제 레이더는 3M41(SA-N-6 Grumble) 대공 미사일 통제용으로 3R41 Volna(Top Dome)가 사용되었다. 이 레이더는 위상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여 모두 12발의 3M41(SA-N-6 Grumble) 미사일을 통제할 수 있다. 그외에 9M33(SA-N-4 Gecko) 통제용으로는 2기의 MPZ-301 Baza(Pop Group)이 사용되었고, 대함 미사일 통제용으로 Argument(Front Door-C) 레이더가 장비되었다. 그리고 AK-130 함포 통제용으로는 MR-184(Kite Screech)가 사용되며, AK-630 근접 방어 무기 체계용으로는 3기의 MR-123(Bass Tilt)가 사용된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소나
MG-332 Tigan-2T(Bull Horn) 함수 소나와 Platina(Mare Tail) 가변 심도 소나가 장착된다. MG-332 Tigan-2T(Bull Horn) 함수 소나는 능동 탐색과 공격을 맡으며, 저주파와 중주파에서 작동한다. Platina(Mare Tail) 가변 심도 소나는 함미의 커다란 도어에 배치한다. 이 소나는 능동 탐색을 맡으며 중주파에서 작동한다.

추진기관
추진방식은 COGOG 방식으로 4기의 M8KF 주 가스터빈 엔진과 2기의 M70 가스터빈 엔진으로 구성되며 4축으로 추진된다. 주 엔진의 출력은 모두 108,800마력이며 순항 엔진의 출력은 13,600마력이다. 최대 속력은 32노트이며, 15노트로 운항시 6.000nm의 항속거리를 갖는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무장


AK-130 함포
모스크바급은 AK-130 함포를 함수에 1문 장착하고 있다. AK-130 함포는 130mm 70 구경장 2연장 함포로 9.1m짜리 수냉식의 포신을 2개 가지고 있다. 최대 발사 속도는 포신당 35발이다. 이 함포는 MR-184(Kite Screech)에 의해 사격 통제된다. 이 함포는 전자/TV 조준이 가능한 컴퓨터 통제 체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레이더 통제 체계로부터 완전히 자동화된 모드로 운영이 가능하며, 포탑에 부착된 Kondensor 광학 조준기로 자율적인 통제 아래서 운영할 수도 있다. 물론 수동으로도 운영이 가능하다.

AK-630 근접 방어 무기 체계
모스크바급의 근접 방어 무기 체계는 Talamashzavod사의 AK-630 근접 방어 무기 체계 6문이며 여기에 사용된 30mm AO-18 포는 5km 범위에서 접근하는 미사일을 격추할 수 있도록 포구 초속 900m/초에서 분당 5,000발을 발사할 수 있다. 포는 고폭 파편형 소이탄 또는 파편형 예광탄을 발사할 수 있으며, 레이더 통제 체계와 표적 추적 장치에서 원격으로 탄약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자동 공급 장치에 의해서 운용되는 이 시스템은 1명의 사수로 충분하며, 포의 유효 사거리는 해면을 스치듯 비행하는 대함 미사일인 경우에는 4km, 소형 수상 표적인 경우에는 5km이다. 사격 통제는 MR-123 Turel(Bass Tilt) 레이더가 담당한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S-300F Rif 대공 방어 체계
S-300F Rif 대공 방어 체계는 적대적인 전장 상황에서 적의 수상함과 잠수함에서 발사되는 대함 미사일과 항공기에 의한 다양한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3M41(SA-N-6 Grumble) 대공 미사일을 사용하여 함대 방공 같은 구역 방어를 담당한다. 모스크바급에는 특이하게 함 중앙에 B-303A 수직 발사 체계를 장착하고 있다. B-303A 수직 발사 체계는 회전식 발사기로 한 모듈에 8셀을 가지고 있으며, 셀마다 각각 장전/발사 해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미사일 8기를 한꺼번에 발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탄창이 돌아가듯 한기씩만 발사할 수 있다. 이런 구조 때문에 수직 발사 체계의 발사 속도는 미국의 수직 발사 체계 보다 다소 떨어지는 편이며, 3초마다 1기의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고 한다. 모스크바급에는 8셀짜리 모듈이 8기 장착되므로 모두 64기의 3M41(SA-N-6 Grumble) 대공 미사일을 탑재한다. 이 대공 미사일은 고체 추진체를 사용하는 부스터로 추진되며 130kg의 고폭탄두나 핵탄두를 사용할 수 있다. 사거리는 2000m이상의 고고도에서 90km이며 25m이하의 저고도에서는 25km, 최소 사거리는 7km이다. 사격 통제는 Volna(Top Dome)가 맡는데 이 레이더는 동시에 12기의 미사일을 유도할 수 있다. 이것은 보통 1기의 위협 표적마다 2기의 미사일을 배분하므로 모두 6개의 표적과 동시에 교전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Osa-MA 대공 방어 체계
Osa-MA 대공 방어 체계는 단거리 개함 방어 체계로 두기의 Zif-122 발사기가 함미쪽 헬기 격납고 위에 장착되어 있다. 이 발사기에는 4개의 회전식 원통이 있는데 여기에 각각 미사일 5기가 적재되며, 모두 40기의 9M33(SA-N-4 Gecko) 미사일을 탑재한다. 재장전시에는 원통에 적재된 미사일이 올라와서 발사되는데, 발사하기전 미사일이 적재된 원통의 해치를 닫아야하기 때문에 발사속도는 느린 편이다. 이 미사일은 최대 속도는 마하 2.5에 달하며 사정거리는 1.5km에서 15km이다. 사격 통제는 2기의 MPZ-301 Baza(Pop Group)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사격 통제 레이더는 1기당 1개의 표적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이 대공 방어 체계는 모두 2개의 표적과 동시에 교전할 수 있다.

Bazalt 대함 미사일 체계
4K80 Bazalt(SS-N-12 Sandbox) 대함 미사일 체계는 함교 좌우현에 2연장 발사대 8기가 계단식으로 배치되어있다. 발사대는 전방을 향하고 있으며 약 15도 정도 기울어져 있고 해상에서 재장전은 불가능하다. 4K80 Bazalt(SS-N-12 Sandbox) 대함 미사일은 4K44 Progress(SS-N-3 Shaddock)의 후계형인 대형 순항 미사일로 이전보다 더 빠르고 저공 비행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발사기에서는 고체 추진 부스터를 이용해 순항속도까지 가속되며, 그 이후에는 램제트 방식의 액체 연료 로켓을 사용해 속도를 유지한다. 이 미사일은 먼저 대략적인 방향으로 발사된 후 Argument(Front Door-C) 사격 통제 레이더에 의해 정보가 업데이트 된다. 이 대함 미사일은 1000kg 고폭탄두나 350kt급의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으며, 속도는 마하 1.7에 달한다. 사거리가 무려 550km에 달하지만 수평선 너머의 표적을 처리하려면 Tu-95RT나 Ka-25RT, Ka-27RT 같은 표적 지정 능력을 갖춘 항공기가 필요하다.

RBU-6000 대잠 로켓 발사기
RBU-6000은 SMERCH-2 대잠 체계에 사용되는 대잠 로켓 발사기로 Yekaterinburg에 위치한 State Unitary Enterprise에서 공급된다. 이 발사기는 SMERCH로 알려진 RBU-1000과 비슷하지만 6연장이 아닌 12연장의 튜브를 가지고 있다. 물론 장전은 RBU-1000과 마찬가지로 내부의 로켓 적재실로부터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탑재되는 RGB-60 수중 폭발 로켓은 6km의 사거리를 가지며 최대 500m 깊이의 잠수함을 공격할 수 있다. 이 발사기는 모두 96기의 로켓을 탑재하고 있다. 발사는 보통 12발의 로켓을 일체 발사하지만, 1기나 4기 또는 8기의 로켓을 일체 발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533mm 5연장 어뢰 튜브
모스크바급은 대공/대함용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전체적인 대잠 능력은 떨어진다. 그러나 러시아 함정의 기본적인 대잠 무장은 충실히 갖추고 있다. 모스크바급은 위에서 설명한 RBU-6000 대잠 로켓 발사기 외에도 533mm 5연장 어뢰 튜브를 2기를 장비하고 있다. 이 어뢰 튜브에서는 모두 10기의 중어뢰를 발사할 수 있다. 그러나 러시아 함정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형태의 대잠 미사일, 즉 533mm 어뢰 튜브에서 발사되는 대잠 미사일은 모스크바급에 장착되지 않는다.

헬기 운영 능력
모스크바급은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헬기 착함대를 가지고 있으며, 헬기는 격납고에 1대가 탑재 가능하다. 모스크바급에는 Ka-25 헬기나 Ka-27 헬기가 탑재된다. 이 헬기는 대잠 작전용이 탑재될 수도 있지만, 모스크바급에서는 모함에서 발사하는 대함 미사일을 수평선 너머의 표적에 맞추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하는 정찰용이 주로 탑재된다.

제원
Class overview
Builders: 61 Kommunara
Operators: Soviet Navy
Russian Navy
Preceded by: Kara class
Building: 1
Completed: 4
Cancelled: 2
Active: 3
General characteristics
Displacement: 11,490 tons
Length: 186.4 m
Beam: 20.8 m
Draught: 8.4 m
Speed: 32 knots
Range: 7,500 miles
Complement: 476-529 (84 Off, 75 WO, 370 Enl)[1]
Armament: 16 P-500 Bazalt (SS-N-12 Sandbox) anti-ship missiles
64 S-300PMU Favorit (SA-N-6 Grumble) long-range surface-to-air missiles
40 OSA-M (SA-N-4 Gecko) SR SAM
1 twin AK-130 130mm/L70 dual purpose guns
6 AK-630 close-in weapons systems
2 RBU-6000 anti-submarine mortars
10 (2 quin) 533mm torpedo tubes
Armor: Splinter plating
Aircraft carried: 1 Kamov Ka-25 or Kamov Ka-27 Helicopter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명칭 새명칭 취역 배치 현황
Slava ("Glory") Moskva Москва ("Moscow") Laid down 1976, launched 1979, completed 1982, renamed in 1995. Based in the Black Sea Fleet. Had been refitting from 1990 to 2002.
Admiral Lobov Marshal Ustinov Маршал Устинов Laid down 1978, launched in 1982, completed in 1986. In service with the Russian Navy, Northern Fleet
Chervona Ukrayina, ("Red Ukraine") Varyag Варяг ("Varangian") laid down 1979, launched 1983, completed 1989. In service with the Russian Pacific Fleet. Listed as under reduced manning since 2002. Operating with a caretaker crew at reduced readiness since arrival with Russian Pacific Fleet in 1990. Re-entered service in the Pacific Fleet in early 2008 after an overhaul.
Komsomolets, then Admiral Flota Lobov Ukrayina ("Ukraine") laid down 1984, launched 1990, slowly being completed for the Ukrainian Navy. Estimated 96% complete and requiring $30 million to complete in January 30, 2007. Under construction Current status uncertain, but public data suggests the ship has reverted to Russian control and has re-assumed the name Admiral Lobov. Construction of the ship has resumed by both Ukraine and Russia recently, for sale to a potential buyer, most likely China or India.
Admiral Gorshkov was cancelled at the end of the Cold War.
Oktyabr'skaya Ryevolyutsiya ("October Revolution") was cancelled at the end of the Cold War.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미해군 Los Angeles급 공격잠수함 USS Norfolk (SSN 714)호가 그리스 Crete섬의 Suda항을 정기 방문한 후 임무스행을 위해 바다로 향하는 모습입니다.
Norfolk호는 미해군 중앙사령부 관할 수역에서 독자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배치되어 있는 잠수함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LA급 원자력 추진 공격잠수함은 대잠수함전, 정보수집, 무력과시, 특수부대 수송, 기습작전, 순항미사일에 의한 지상공격, 기뢰부설, 수색과 구조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미해군 잠수함으로 무려 62척이나 건조되었습니다.
LA급 혹은 688급으로 설계되어 1976년 1번함인 Los Angeles호가 취역한 이후 앞서 건조된 17척은 벌써 퇴역할 정도로 오랜 기간동안 건조되어 미해군에 배치되었습니다.종전의 Sturgeon급이나 Thresher/Permit class급 잠수함 등에 비하여 월등하게 빠르고, 소음이 작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후속함인Seawolf 급이나 Virginia급이 등장하기 이전까지 가장 최신의 잠수함으로 당분간은 미해군 공격잠수함의 주력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냉전시대 미국 항공모함에 대하여 공격하는 구소련 잠수함과 수상 기동함대의 주력함정들을 공격하여 격침시키는 대잠수함전 및 대수상함전 수행을 주임무로 하는 공격용 잠수함으로 개발된 LA급 잠수함은 냉전이 종료된 후 현재에 이르러서는 대테러전과 해상안보 유지 작전에 중점 투입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승무원은 장교 14명과 수병 140명 등 총 154명이다. 함 내에는 이들에게 90일 이상 식사를 제공할 수 있는 식량을 보관하여 작전을 수행하며 바닷물을 담수로 바꾸어 주는 2개의 담수화 플랜트가 있어, 마실 물 등의 생활용수와 원자로의 가동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동력원인 원자로는 1회의 핵연료 충진으로 30년 동안 계속 사용할 수 있으며,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는 보조 전원공급 장치로 일반 발전기도 1대 장비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일반제원
기준배수량 : 5,751 tons
만재배수량 : 6,126 tons full,
적재중량(데드웨이트) 375 tons
길이: 110.3 m (361 ft 11 in)
함폭: 10 m (32 ft 10 in)
홀수: 9.7 m (31 ft 10 in)
승조원: 장교 12, 수병 98
추진기관: GE PWR S6G 핵반응로 1기. 증기터빈 2기
출력 : 35,000 hp (26 MW), 보조모터 1기 325 hp (242 kW), 1 축추진
수상속도: 20 knots
수중속도: 20+ knots - 최대수중 속도는 33+ knots이라고 알려짐
항속거리: 연료봉교체까지 30년간 무한
작전기간: 90 일- 승조원 음식과 식수등 교체
무장:
4×21 in (533 mm) 보우장착 어뢰발사돤 ,
Mk48 ADCAP 재장전 어뢰 10발
Tomahawk 지상공격용 block 3 SLCM 순항미사일
Harpoon 잠대함미사일
Mk67 이동식 기뢰 혹은 Mk60 captor 기뢰등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언제 들어도 좋은 경음악 



01. 석양 
02. 진주조개 잡이 
03. 역마차 
04. 나자리노 
05. 석양의 건맨
06. 여름 협주곡 
07. 해변의 길손 
08. 엘콘도 파사 
09. 눈이 내리네 
10. 밤하늘의 부루스

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