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해병 중헬기 (HMM) 264 Black Knights 비행대 소속 AV-8B Harrier 공격기가 미해군 강습상륙함 USS Iwo Jima (LHD 7) 에 탑재되어 미해군 5, 6함대 관할지역으로 이동중 훈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USS Iwo Jima (LHD 7) 상륙함을 주축으로하는 Iwo Jima Expeditionary Strike Group은 대서양을 항진중으로 지중해부터 페르시아만까지를 작전지역으로 하여 대테러전 지원임무와 해상보안작전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미해군 Expeditionary Strike Group (ESG)은 Expeditionary Strike Force이라고도 하며 미해군이 1990년대부터 도입한 개념으로 Naval Expeditionary Task Force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미해군은 12개 Expeditionary Strike Groups과 12개 Carrier Strike Groups를 편성하고 있습니다.
2003년부터 미해병대와 미해군은 원정타격단 ESG(Expeditionary Strike Group)을 구성하여 고도의 기동성을 보유하며 효과적인 전세계적 임무를 자체적으로 지속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연안지역분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초수평상륙작전을 적용하여 편성된 타격군 조직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현재 미해군의 원정타격군은 다음과 같습니다
Tarawa Expeditionary Strike Group
Nassau Expeditionary Strike Group
Peleliu Expeditionary Strike Group
Wasp Expeditionary Strike Group
Essex Expeditionary Strike Group
Kearsarge Expeditionary Strike Group
Boxer Expeditionary Strike Group
Bataan Expeditionary Strike Group
Bonhomme Richard Expeditionary Strike Group
Iwo Jima Expeditionary Strike Group

다음은 USS Essex (LHD 2) 상륙함의 VMA 513 Nightmares 비행대소속 AV-8B Harrier 공격기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미해병 중헬기 (HMM) 264 Black Knights 비행대 소속 AV-8B Harrier 공격기가 미해군 강습상륙함 USS Iwo Jima (LHD 7) 에 탑재되어 미해군 5, 6함대 관할지역으로 이동중 훈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USS Iwo Jima (LHD 7) 상륙함을 주축으로하는 Iwo Jima Expeditionary Strike Group은 대서양을 항진중으로 지중해부터 페르시아만까지를 작전지역으로 하여 대테러전 지원임무와 해상보안작전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미해군 Expeditionary Strike Group (ESG)은 Expeditionary Strike Force이라고도 하며 미해군이 1990년대부터 도입한 개념으로 Naval Expeditionary Task Force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미해군은 12개 Expeditionary Strike Groups과 12개 Carrier Strike Groups를 편성하고 있습니다.
2003년부터 미해병대와 미해군은 원정타격단 ESG(Expeditionary Strike Group)을 구성하여 고도의 기동성을 보유하며 효과적인 전세계적 임무를 자체적으로 지속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연안지역분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초수평상륙작전을 적용하여 편성된 타격군 조직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현재 미해군의 원정타격군은 다음과 같습니다
Tarawa Expeditionary Strike Group
Nassau Expeditionary Strike Group
Peleliu Expeditionary Strike Group
Wasp Expeditionary Strike Group
Essex Expeditionary Strike Group
Kearsarge Expeditionary Strike Group
Boxer Expeditionary Strike Group
Bataan Expeditionary Strike Group
Bonhomme Richard Expeditionary Strike Group
Iwo Jima Expeditionary Strike Group

다음은 USS Essex (LHD 2) 상륙함의 VMA 513 Nightmares 비행대소속 AV-8B Harrier 공격기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폴란드는 2000년과 2002년 미국으로부터 2척의 Oliver Hazard Perry급 미사일 프리깃을 공여받아 주력함으로 운용중입니다.
일번함인 ORP „Gen. K. Pułaski” FRR 272 호는 2000년 3월에, 2번함 ORP „Gen. T. Kościuszko” FRR 273 호는 2002년 6월 취역하였습니다.


Oliver Hazard Perry급 미사일 프리깃 일반제원
Type: Frigate
Displacement: 4,100 long tons (4,200 t) full load
Length: 408 ft (124 m) waterline,
445 ft (136 m) overall,
453 ft (138 m) for "long-hull" units
Beam: 45 ft (14 m)
Draft: 22 ft (6.7 m)

Propulsion: 2 × General Electric LM2500-30 gas turbines generating 41,000 shp (31 MW) through a single shaft and variable pitch propeller; 2 x Auxiliary Propulsion Units, 350 hp (.25 MW) retractable electric azipods for maneuvering and docking.
Speed: 29+ knots (54+ km/h)
Range: 4,500 nmi (8,300 km) at 20 knots (40 km/h)
Complement: 176

Sensors and processing systems:
Radar: AN/SPS-49, AN/SPS-55, Mk 92 fire control system
Sonar: SQS-56, SQR-19 Towed Array

Electronic warfare and decoys:
SLQ-32(V)2, Flight III with sidekick,
Mark 36 SRBOC
AN/SLQ-25 Nixie

Armament:
1 × single-arm Mk 13 Missile Launcher with a 40-round magazine that can handle SM-1MR anti-air/ship missiles and Harpoon anti-ship missiles. Removed from U.S. ships starting in 2003, due to retirement of the SM-1 missile
2 × triple Mark 32 ASW torpedo tubes with Mark 46 or Mark 50 anti-submarine torpedoes
1 × OTO Melara 76 mm/62 caliber naval gun
1 × 20 mm Phalanx CIWS
8 × Hsiung Feng II SSM (Taiwanese units onl y)
Aircraft carried: 1 or 2 × anti-ship and -sub helicopters (the SH-2 Seasprite on short-hulls, the SH-60 Seahawk LAMPS III on long-hulls)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Type 702 Berlin급으로 미해군의 AOE함과 유사한 임무를 수행하는 이 지원함은 독일해군이 2척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일번함은 A1411 Berlin호입니다.
Type 702 Berlin급은 재보급/전략군 지원/전투지원 함정으로 연료, 식량등 필수품, 탄약, 기타 각종 물자와 의료지원을 할 수 있습니다. 연료적재량 9600 cubic meter, 식수 550 cubic meters, 탄약은 160톤, 음식물 280톤, 건조저장품 100톤과 컨테이너 32개를 적재합니다.
독일해군은 추가로 2척을 더 보유할 예정입니다.

이력및 제원
건조: Builder: Flensburger Schiffbau-Gesellschaft + Krögerwerft, Schacht-Audorf
취역: May 27, 2002
모항: Kiel항
길이: 173.70m
함폭: 24m
홀수: 7,4m
배수량: 18.637to~ 20,400 tons
승조원: 함요원 60 + 의료요원 50 + 헬기지원 30명 + 기타 94명 승선가능
추진기관: 디젤 엔진 2기 전기 추진식 2축 추진
출력: 5340 kW each
속도: 20.0kn
무장: MLG 27 mm 신형 기관포 4문, Stinger MANPADS 대공미사일 발사기
격납고: Sea King 혹은 MH90 헬기 2대
의료용 침상 45개 구비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독일해군 Type 702 Berlin급 다목적 보급/전투지원함 Frankfurt am Main A-1412호가 9월 14일 Kiel-Holtenau 인근 운하를 통해 해군항으로 입항하는 중입니다 마지막 사진은 2005년 6월 Clyde강을 항해중인 모습입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5월 25일 독일해군 Kiel항을 방문한

                                     노르웨이 KNM Roald Amundsen (F311)호가 5월 26일 출항하는 모습들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Fridtjof Nansen class of frigates, for the Royal Norwegian Navy, are a derivative of the Spanish Alvaro de Bazan class of Aegis combat system-equipped air defense frigates. Navantia, Lockheed Martin and the U.S. Navy are conducting final systems integration. A total of five will enter service between 2006 and 2010. Total project cost is $3 billion. Both the class of ship as well as the lead ship are named after Fridtjof Nansen, the Norwegian scientist, explorer and humanitarian.
Although unofficial, Fridtjof Nansen is considered the flag ship of the Royal Norwegian Navy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he new frigates will prove a great improvement over their predecessors, the Oslo class frigates, not onl  y in size, but also in personnel, capabilities and equipment. Compared to the old Oslo class vessels, the new ships will be 35 meters longer, nine meters taller and two meters deeper below water. They will also be five meters broader and have three times the water displacement of the old ships. This will go a great way to solving one   of the problems with the Oslo class: lack of space and much discomfort for the crew. The frigates will also operate six new NFH NH90 helicopters, with the role as an extended "arm" of the frigates' ASW and ASuW capabilities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he Fridtjof Nansen class will be doing extensive service with NATO's permanent Atlantic forces as of 2008, and one   of the frigates will be permanently sailing as part of the command as of that year. Until then, Norway will, as in the past, continue to contribute to this force, but is unable to retain a permanent presence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he ships are named after Fridtjof Nansen, Roald Amundsen, Otto Sverdrup, Helge Ingstad and Thor Heyerdahl.

Fridtjof Nansen class ? significant dates
# Name Ordered Laid down Launched Commissioned
F310 Fridtjof Nansen June 23, 2000 April 9, 2003 June 3, 2004 April 5, 2006
F311 Roald Amundsen June 23, 2000 June 3, 2004 May 25, 2005 May 21, 2007[1]
F312 Otto Sverdrup June 23, 2000 May 25, 2005 April 28, 2006 April 30, 2008[2]
F313 Helge Ingstad June 23, 2000 April 28, 2006 November 23, 2007 Expected in autumn 2009
F314 Thor Heyerdahl June 23, 2000 November 23, 2007 Expected in autumn 2010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ype: Multirole Frigate (Guided Missile and ASW)
Displacement: 5,290 tons full load
Length: 137.25m
Beam: 16.8m
Draft: 4.9m
Propulsion: Combined diesel and gas (CODAG)
Two BAZAN BRAVO 12V 4.5 MW diesel engines for cruising
One GE LM2500 21.5 MW gas turbine for high speed running
MAAG gearboxes
two shafts driving controllable pitch propellers
Bow Thruster Retractable (Electric)1 MW Brunvoll
Diesel Generators 4 × MTU 396 Serie 12V 1250 KVA
Speed: 27 knots
Range: 4,500nm at 16 knots
Complement: 120, accommodations for 146
Sensors and
processing systems:
Lockheed Martin AN/SPY-1F 3-D multifunction radar
Reutech RSR 210N air/sea surveillance radar
Sagem Vigy 20 Electro Optical Director
MRS 2000 hull mounted sonar
Captas MK II V1 active/passive towed sonar
2 × Mark 82 fire-control radar
Electronic warfare
and decoys:
Terma DL-12T decoy launcher, Loki torpedo countermeasure
Armament: 1 × 8-cell Mk41 VLS w/ 32 × ESSM
8 × Naval Strike Missile SSMs
4 × torpedo tubes for Sting Ray torpedoes
Depth charges
1 × 76 mm OTO Melara Super Rapid gun
4 × 12,7 mm Browning M2HB HMG
Prepared for, but not equipped with:
1 × Otobreda 127 mm/54 gun to replace the 76 mm
1 × spare 76mm OTO Melara Super Rapid gun
1 × spare CIWS gun w/ calibre 40 mm or less
3 × spare 8- cell Mk41 VLS launchers
Low cost ASW
ECM: Active Off-board Decoy
Aircraft carried: 1 × NH90 helicopter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5월 25일 독일해군 Kiel항을 방문한

                                     노르웨이 KNM Roald Amundsen (F311)호가 5월 26일 출항하는 모습들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Fridtjof Nansen class of frigates, for the Royal Norwegian Navy, are a derivative of the Spanish Alvaro de Bazan class of Aegis combat system-equipped air defense frigates. Navantia, Lockheed Martin and the U.S. Navy are conducting final systems integration. A total of five will enter service between 2006 and 2010. Total project cost is $3 billion. Both the class of ship as well as the lead ship are named after Fridtjof Nansen, the Norwegian scientist, explorer and humanitarian.
Although unofficial, Fridtjof Nansen is considered the flag ship of the Royal Norwegian Navy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he new frigates will prove a great improvement over their predecessors, the Oslo class frigates, not onl  y in size, but also in personnel, capabilities and equipment. Compared to the old Oslo class vessels, the new ships will be 35 meters longer, nine meters taller and two meters deeper below water. They will also be five meters broader and have three times the water displacement of the old ships. This will go a great way to solving one   of the problems with the Oslo class: lack of space and much discomfort for the crew. The frigates will also operate six new NFH NH90 helicopters, with the role as an extended "arm" of the frigates' ASW and ASuW capabilities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he Fridtjof Nansen class will be doing extensive service with NATO's permanent Atlantic forces as of 2008, and one   of the frigates will be permanently sailing as part of the command as of that year. Until then, Norway will, as in the past, continue to contribute to this force, but is unable to retain a permanent presence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he ships are named after Fridtjof Nansen, Roald Amundsen, Otto Sverdrup, Helge Ingstad and Thor Heyerdahl.

Fridtjof Nansen class ? significant dates
# Name Ordered Laid down Launched Commissioned
F310 Fridtjof Nansen June 23, 2000 April 9, 2003 June 3, 2004 April 5, 2006
F311 Roald Amundsen June 23, 2000 June 3, 2004 May 25, 2005 May 21, 2007[1]
F312 Otto Sverdrup June 23, 2000 May 25, 2005 April 28, 2006 April 30, 2008[2]
F313 Helge Ingstad June 23, 2000 April 28, 2006 November 23, 2007 Expected in autumn 2009
F314 Thor Heyerdahl June 23, 2000 November 23, 2007 Expected in autumn 2010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ype: Multirole Frigate (Guided Missile and ASW)
Displacement: 5,290 tons full load
Length: 137.25m
Beam: 16.8m
Draft: 4.9m
Propulsion: Combined diesel and gas (CODAG)
Two BAZAN BRAVO 12V 4.5 MW diesel engines for cruising
One GE LM2500 21.5 MW gas turbine for high speed running
MAAG gearboxes
two shafts driving controllable pitch propellers
Bow Thruster Retractable (Electric)1 MW Brunvoll
Diesel Generators 4 × MTU 396 Serie 12V 1250 KVA
Speed: 27 knots
Range: 4,500nm at 16 knots
Complement: 120, accommodations for 146
Sensors and
processing systems:
Lockheed Martin AN/SPY-1F 3-D multifunction radar
Reutech RSR 210N air/sea surveillance radar
Sagem Vigy 20 Electro Optical Director
MRS 2000 hull mounted sonar
Captas MK II V1 active/passive towed sonar
2 × Mark 82 fire-control radar
Electronic warfare
and decoys:
Terma DL-12T decoy launcher, Loki torpedo countermeasure
Armament: 1 × 8-cell Mk41 VLS w/ 32 × ESSM
8 × Naval Strike Missile SSMs
4 × torpedo tubes for Sting Ray torpedoes
Depth charges
1 × 76 mm OTO Melara Super Rapid gun
4 × 12,7 mm Browning M2HB HMG
Prepared for, but not equipped with:
1 × Otobreda 127 mm/54 gun to replace the 76 mm
1 × spare 76mm OTO Melara Super Rapid gun
1 × spare CIWS gun w/ calibre 40 mm or less
3 × spare 8- cell Mk41 VLS launchers
Low cost ASW
ECM: Active Off-board Decoy
Aircraft carried: 1 × NH90 helicopter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프랑스의 뭉개져가는 자존심을 대변하는 전투기 Rafale이 미해군과 Joint Task Force Exercise "Operation Brimstone" 에 참가하여 대서양에서 미해군 항공모함 Theodore Roosevelt (CVN 71)에 이착함 훈련중인 장면입니다.

Rafale의 개발 목적은 멀티롤 전투기인데, 멀티롤 임무 근처도 아직 못가고 있으며 개량작업도 원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5~60년대 유아독존적 방식을 벗어나지 못한 무기체계 개발방식을 현재에도 적용한 프랑스의 실수를 볼 수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개  요 

1979년 말부터 프랑스 공군은 Mirage-2000 및 Jaguar의 대체기로서 차세대용 전투기 개발 착수,  Dassault사는 1983년 첨단기술의 다목적 전투기인 Rafale A 시제기 개발을 발표하였고, 1984년 6월 조립에 착수함. 1986턴 7월 첫 비행 실시하여  2000년 이후 프랑스 공군의 주 전력으로 운용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주요제원 및 성능      

구  분

내  용

구  분

내  용

항공기 크기(FT)

17.5×50.1×35.4

기  총

30mm×125발

중  량

최대이륙

54,000 lbs

최대속도

M 1.8

최대무장

20,944 lbs

최대 G

9G

엔  진

모 델

SNECMA M88-2E4

최대 항속거리

950 nm

추력(MIL)

2×10,950 lbs

이착륙거리

1,315/1,480 ft

추력(MAX)

2×16,400 lbs

무장장착대

14 POINT

레이더 TYPE

RBE 2(탈레스)

최대 상승고도

60,000 ft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주요 특성


   기 능

     - Rafale은 기본형태는 앞전후퇴각 45도이 델타익과 소형 카나드를 조합한 클로즈드 커플트 델타 형식으로 공기흡입구는 고정식

     - Rafale은 고속성능보다 천음속 영역에서 기동성과 가속성 중시

     - Rafale은 공대공 요격 공대지 공격 및 대공화기 제압 등의 임무에 적합한 다목적 전투기임.

     - 주익 배치는 미라지 2000식의 저익에서 중익으로 바꾸었으며, 동체의 단면적을 줄이고, 기체 아랫면을 많은 무장탑재가 가능토록 활용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기 술

     - 기체는 스텔스성을 가미하기 위해 최대한 소형 경량화 하도록 신소재를 많이 사용

     - 조종시스템은 디지털식 3중 FLY-BY-WIRE 시스템 구비

     - 고속, 고출력의 최신 컴퓨터에 의하여 비행제어와 엔진제어를 통합, 단순화시킴과 동시에 무장  시스템까지도 연계시켜 자동조종이 가능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장착능력

    - 무장은 최신형 DEFA 554 30mm 기총 1문이 탑재되며, 발사대가 12개소 마련되어 Matra사의 미카(mica)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및 Matra R550 매직(magic)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이 장착

    - 대지공격용으로는 엑조세 대함미사일, ASMP 핵미사일 탑재 가능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운용 현황 

프랑스 공군에 대한 라팔 C형의 인도는 2005년 6월부터 시작, 초도작전능력은 2007년 획득함. 라팔 해군형은 2002년 샤를르 드골 항모와 함께 아프칸에 파병되었으나, 아직 공대지 능력 미구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제원-


건조:  China State Shipbuilding Corporation(?)
크기:  -190m/22.6m/9m(Yuan Wang 1,2)
         -180m/22.2m/8m(Yuan Wang 3)
         -156.2m/20.6m/7.75m(Yuan Wang 4)
배수량:  -21,000톤(Yuan Wang 1,2)
            -16,792톤(Yuan Wang 3)
            -13,000톤(Yuan Wang 4)
            -25,000톤(Yuan Wang 5~6)
추진:  -Steam turbine,16,000hp(Yuan Wang 1,2)
         -Diesel(Yuan Wang 3)
         -Diesel, 18,000hp(Yuan Wang 4)
속도:  -18노트(Yuan Wang 1,2)
         -18~20노트(Yuan Wang 3)
         -20노트(Yuan Wang 4)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2004년 10월 7일 호주해군 HMAS Warramunga (FF-152) 호가

Parkes Wharf에서 HMAS Stirling (Fleet Base West)의 도움을 받아

Harpoon 대함미사일 발사기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Warramunga (FF-152) 호는 Anzac급 프리깃중 최초로 하푼을 장착하는 함정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zac급 제원
배수량: 3,300 tons (3,600 fl)
함치수: 117.50 (109.50 pp) × 14.80 (13.80 wl) × 5.99 (4.37 hull)
속도: 27+ kts (디젤만 사용시 20)
무장:
Harpoon 발사기 4연장 2기(8 RGM-84C Harpoon missiles)
8연장 Mk 41 Mod. 5 VLS (8 RIM-7P Sea Sparrow SAM) 1기
127-mm 54-cal. United Defense Mk 45 Mod. 2 DP 함포 1문
20-mm Mk 15 Phalanx CIWS 1기
12.7-mm 기관총 4문
3연장 324-mm Mk 32 ASW TT (Mk 46 Mod. 5 torpedoes) 발사기 2기
SH-60 헬기 1대
행동거리 900/27; 6,000/18 (1 diesel); 7,000+/
연료탑재량: 423 tons
승조원: 22 officers, 41 petty officers, 100 other enlisted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005년 4월 21일 Fremantle Harbour에 도착한 HMAS Stuart (FFH-153) 호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HMAS Toowoomba (FFH-156)호가

2005년 11월 12일 Diamatina Wharf에 HMAS Stirling (Fleet Base West)호와 정박중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일본 해상자위대 하야부사(Hayabusa)급 - HAYABUSA Class Fast Attack Craft Missile
2차 대전 당시의 일본해군함정의 이름이자 육군 항공대의 대표 전투기인 하야부사(송골매로 번역되는 peregrine falcon)의 이름과 같은 이 함정은 우리나라의 참수리와 같은 새종류이름을 붙였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제원
배수량: 200t
길이: 50.1m
폭: 8.4m
흘수: 1.7m
추진: 가스터빈 3기·3축 추진(워터 젯트)
출력: 16,200마력
속력: 44노트
승무원: 21명
무장: OTO멜라라(니혼 제강)62구경76mm 단장속사포 1문
90식 함대함 유도탄(SSM-1B)연장발사기 2기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미사일정 1호급 PG-01 은 속도면에서는 충분했지만 ,파도 중에 운용하는거라던지, 임무의 다양성에 한계가 있었다.
Hayabusa급은 선체를 대형화하고 가스터빈 3기를 탑재하여 속력은 44노트를 자랑하며, 탑재 장비는 「90식 함대함 유도탄」(SSM-1B) 과 「OTO멜라라」 76mm 단장포, 함교양옆에 12.7mm 기총용의 총좌를 설치해두고 있다.
또한 선체는 스텔스성을 고려한 디자인으로 되어 있고, 76mm 단장포는 해상자위대 함정으로서는 처음으로 스텔스 타입의 실드를 채용하고 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동급함 LIST
1 Hayabusa PG-824 2002.3~
2 Wakataka PG-825 2002.3~
3 Ootaka PG-826 2003.3~
4 Kumataka PG-827 2003.3~
5 Umitaka PG-828 2004
6 Shirataka PG-829 2004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