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9월 23일 진수된 후 무장과 각종 장비등의 치장공사를 실시한 미해군 신형 연안전투함 LCS-1 Freedom호가 7월 28일 첫 시험운항을 시작하였습니다.
미해군 태평양함대에 배치하게 될 ‘프리덤’ LCS-1은 배수량 3000톤급으로 미 해군이 보유한 군함 중에서는 비교적 경량이지만 BAE Systems Mk 110 57mm함포와 ‘RIM-116 Rolling Airframe Missiles’ 근접방어용 대공미사일시스템, Honeywell Mk 50 형 어뢰, ASuW 모듈에 탑재된 Non Line of Sight Launch System을 이용한 정밀유도미사일  NETFIRES PAM 를 탑재하며 근접방어용으로 2문의 50-cal 기관총을 탑재합니다. 
MH-60R/S Seahawks 헬기 2대와 MQ-8 Fire Scout 소형무인전투기, 12.2미터길이의 고속정과 11m의 소형함정도 적재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국가의 근해경비를 담당하는 경무장함정에 비하면 상당한 전투력을 갖추고 있는 셈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미 해군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항공모함과 이지스함 등 대형함정들도 근해작전을 수행할 수는 있지만 그들의 막강한 화력을 국지연안전투에 투입하는 것은 비효과적이라는 것이 미해군의 판단으로 LCS-1의 등장은 대다수의 연해 방어 작전을 구사하는 국가들에게 커다란 부담을 주게되며 중국같은 국가는 미해군 항공모함 외에 연안전투함(LCS)에 대한 대응능력도 강화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중국이 이처럼 LCS-1의 출현에 우려를 나타내는 것은 국가이익이 달린 주요 지역이 중국 근해로 타이완해협과 영토분쟁이 끊이지 않는 남사군도는 인접육지에 둘러싸인 지역이며 대중국 수출원유의 80%가 지나다니는 말레이해협도 중국 근해는 아니지만 대륙과 섬에 둘러싸여 있는 환경으로 LCS-1같은 함정의 주무대가 될 수 있음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LCS-1 Freedom 은 강을 거슬러 올라가며 강안의 육지를 공격하는 능력과 특수부대를 침투시키는 능력도 보유해 중국 장강(양쯔강) 유역의 각종 산업도시에 실제적인 위협이 될 수 있는데, 중국측은 LCS가 워터제트 추진을 이용하는 항해능력으로 아무런 장애 없이 큰 강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어 강 연안 광활한 지역의 주요 군사 경제 공업 교통 등 목표를 타격하고 특수부대를 통해 암살 등 고도의 특수작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고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해군력을 증강해 이들 지역에서의 중국의 이익을 지키려 했던 중국해군의 최우선 과제는 항공모함 보유로 미 해군을 견제하고 인도와 일본해군에 맞서려면 항공모함이 필요하고 핵추진잠수함과 대형 수상함정의 증강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은 이제 미해군의 LCS 실전배치에 따른 대응책의 수립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이를 위해 중국은 다양한 장비를 갖춘 경량호위함이 기타 함정을 지휘하는, 네트워크식 전투모델을 갖춘 연안전투함대를 조직할 것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LCS-1 이력

Ordered: May 2004 (NVR states December 15, 2004)
Builder: Marinette Marine, Marinette, Wisconsin
Laid down: 2 June 2005
Launched: 23 September 2006
Commissioned: Scheduled for September 2008 in Milwaukee, Wisconsin[1]
Homeport: Planned San Diego, CA

LCS-1 제원
Displacement: Appx. 3000 tons (full load)
Length: 378.3 ft (115.3 m)
Beam: 57.4 ft (17.5 m)
Draft: 12.1 ft (3.7 m)
Propulsion: 2 Rolls-Royce MT30 36 MW gas turbines, 2 Colt-Pielstick diesel engines, 4 Rolls-Royce waterjets
Speed: 45 knots (sea state 3)
Range: 1,500 nmi (2,800 km) at 50 knots (60 mph/90 km/h), 4,300 nmi (8,000 km) at 20 knots (20 mph/40 km/h)
Endurance: 21 days (336 hours)
Boats and landing
craft carried: 11 m RHIB, 40 ft (12 m) high-speed boats
Complement: 15 to 50 core crew, 75 mission crew (Blue and Gold crews)

Armament:
BAE Systems Mk 110 57 mm gun
RIM-116 Rolling Airframe Missiles
Honeywell Mk 50 Torpedo
NETFIRES PAM missile in the ASuW module
2 .50-cal guns 

Aircraft carried: 2 MH-60R/S Seahawks, MQ-8 Fire Scout 

Notes: Electrical power is provided by 4 Isotta Fraschini V1708 diesel engines with Hitzinger generator units rated at 800 kW each.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리비아해군 2006년 운용중인 함정 내역

Al Hani Koni Type 1159 급 경프리깃 : 212 Al Hani 1척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ariq-Ibn Ziyad (Nanuchka II) 급 콜벳: 2척
416 Tariq-Ibn Ziyad, Ex-Ain Mara ;
418 Ain Zaara,
Combattante II class missile boats ; 7척 운용중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l Zatum (Osa II) 급 미사일정 : 12척 도입, 6척 운용중
511 Al Zatum
513 Al Zuara
515 Al Ruha
517 Al Baida
519 Al Nabha
521 Al Safra
523 Al Fikah
525 Al Sakar
527 Al Mosha
529 Al Mathur
531 Al Bitar
533 Al Sadad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l I'sar (Ras el Gelais/Natya) Type 266ME급 소해정 : 8척도입, 5척 운용중
111 Al I'sar Ex-Ras el Gelais
113 Al Tayyar Ex-Ras Hadad
115 Ras al Hamman
117 Ras al Falluga
119 Ras al Oula
121 Ras al Dawar
123 Ras Massad
125 Ras al Hani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Ibn Al Hadrami (Polnocny-C) 급 소형상륙함 : 3척 운용중
112 Ibn Al Hadrami
116 Ibn Omayar
118 Ibn El Farat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Ibn Al Idrissi (C107) 급 다목적 상륙정 :  4척도입 3척 운용중
130 Ibn Al Idrissi Ex-C130
131 Ibn Marwhan Ex-C131
132 Ras El Hillel Ex-C132
133 El Kobayat Ex-C133

Sichang ('Ibn Ouf' (Type PS-700)급 전차상륙함 : 1척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Zeltin patrol craft tender : 711 Zeltin 1척

1985년 보유했던 함정들
Vosper Mk.7 frigate (영국건조, 1x114 mm Mk 8 gun, 2x40 mm/70 AA guns, 2-35mm/90 Oerlikon, 2 Seacat SAM, 1 Limbo Mk 10 ASW mortar - Upgraded in the 80s with Aspide SAM, OTOMAT SSMs, new search radar and other equipment) : 1척, 퇴역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ssad corvettes (이탈리아건조, 1x76 and 2x35 mm guns, 6 tls, 4 OTOMAT) 4척도입.퇴역

Nanuchka class 콜벳 4척

Osa 와 Jaguar 급 미사일정 (16 SS-12 missiles and 2x40 mm)

Polnocny LST 3척

LSD ship 1척 

Some minor vessels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Zeeleeuw S 803 호, 1989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일반제원
형식: 공격잠수함
수상배수량: 2,350 t,
수중배수량; 2,650 t,
기준배수량: 1,900 t
길이: 67.73 m
함폭: 8.4 m
홀수: 6.6 m
엔진: 디젤 3기 디젤-전기추진식
출력; 5,430 shp (4 MW), 1 shaft, 5 blades
속도: 수상 - 13 knots (24 km/h) , 수중 - 20 knots (37 km/h)
잠항심도: >300 m
승조원: 50 to 55
센서및 관제장비:
? Surface Search Radar: Signaal/Racal ZW 07
? Sonar Systems: Thomson Sintra TSM 2272 Eledone Octopus, GEC Avionics Type 2026 towed array, Thomson Sintra DUUX 5 passive ranging and intercept
사격통제시스템: HSA SEWACO VIII action data automation, GTHW integrated Harpoon and torpedo FCS
무장: 4 × 21 inch (533 mm) 어뢰발사관 (어뢰 Honeywell Mk 48 혹은 Honeywell NT 37 어뢰 20기와 기뢰, SubHarpoon SSM등)

Zeeleeuw S 803 호, 1992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개 관
네덜란드 해군은 냉전시절 나토에서 중요 해상전력을 보유한 국가였다. 대서양과 접해있는 네덜란드의 특성상 수상함이나 잠수함 등은 대양작전에 적합하도록 건조되었으며, 발루스급 역시 다른 나라의 디젤잠수함에 비해 그 배수량이 이례적으로 큰 이유도 대양작전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였다.

네덜란드 해군은 70년대에 건조한 Zwaardvis급 2척 건조이후 차기 잠수함 건조 사업으로 원자력 잠수함의 도입을 검토했지만 예산상의 이유와 의회의 승인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도입을 포기하였다. 그러나 대양에서의 작전능력을 요구하는 나토와 네덜란드 해군의 요구는 강력히 주장되었고, 또한 돌핀급을 교체할 목적으로 기존의 Zwaardvis급 잠수함을 기초로 개량형의 신형함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이 잠수함이 바로 Walrus급 잠수함이며, 모두 4척이 취역하였다.

Zeeleeuw S 803, 2004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주요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체는 Zwaardvis급과 거의 비슷하며, 주로 수중에서의 기동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우선 누적형의 선체설계를 사용하였다. 종횡타는 +형보다는 통제는 어렵지만 기동성을 향상시켜주는 X형을 채택하였다. 이외에도 잠항심도를 증가시켜 정찰과 매복임무를 위해 내압선체에 HY100고장력강을 적용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 디젤잠수함 중에서 매우 깊은 심도에서 작전이 가능토록 되었다.

둘째, 전투시스템 분야로서, 이 시스템은 자국 시그널사가 개발한 SEWACO(Sensor, Weapon and Command)로서 2개의 워크스테이션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처리장치와 7개의 다목적 콘솔로 이루어져 있으며, 승무원의 작업효율과 피로도를 고려한 인간공학적 설계를 대폭적으로 적용한 장비이다.

Bruinvis S 810, 2003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셋째, 소나장비는 대부분 톰슨 신트라사제를 사용하며, 다른 센서로는 TV 및 레이저 거리측정기가 장착된 콜로코겐사의 잠망경을 사용하고 있다. 특이한 점은 디젤잠수함으로 당시에는 이례적인 TASS를 장착하여 후방 감시능력 및 장거리 감시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TASS 시스템은 발루스급이 대형함이 아닌 관계로 함내 탑재가 불가능하며, 잠항시에는 케이블을 이용, 소나의 거리를 조정하고, 입출항시 수상함의 보조를 받아 착탈식으로 운용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작전임무에 따라 TASS 시스템의 장착여부를 조정하는 것으로 현재 알려지고 있다.

넷째, 무장 분야로서, 4문의 533mm 어뢰발사관을 가지고 있으며, Mk48 Mod4 중어뢰와 서브 하푼 대함미사일 등을 조합하여 20발을 탑재할 수 있다.

Walrus급은 디젤잠수함중에서 대형으로 구소련 해군의 활동영역인 북해에서의 장거리 작전을 고려한 것이며, 네덜란드가 자국의 방위산업체의 활성화와 수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 함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잠수함은 디젤잠수함으로서는 대형이고, 가격이 고가이므로 네덜란드 이외에는 운용하는 국가가 없다는 점이 단점이다.

Bruinvis S 810, 2003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보유함
S802 Walrus
S803 Zeeleeuw
S808 Dolfijn
S810 Walrus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월 16일 네덜란드를 방문한 일본해상자위대 순양함대 함정들이 북해의 IJmuiden항 North Sea Canal을 항해하는 모습입니다. 이 운하는 암스테르담의 IJ Bay와 북해를 연결합니다.

JMSDF Umigiri 158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DD "Asagiri" Class 153 "Yugiri"
Length : 137m
Width : 14.6m
Draught : 4.5m
Refarence Displacement : 3,500t
Main Engine : Gas Turbin X 4, Double Shaft (54,000PS)
Max Speed : 30kt
Armament :
76mm/62 Rapid Fire Gun X 1
Harpoon SSM X 6
Sea Sparo Short Rnge SAM X 8
ASROC Luncher X 1
Triple-Torpedo tube X 2
20mm CIWS (Close in Weapon System) X 2
Equipment : Anti-Submarine Helicopter SH-60J X 1
Crew : 220

JMSDF DD-152/TV-3515 Asagiri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아사기리급 호위함은 1980년대 중후반에 제작된 일본 해상자위대 함정이다. 비록 일본 해상자위대에서는 구축함으로 불리나, 크기로 보면 프리깃함에 가깝다. 하추유키급 구축함을 대체하였다. 하추유키급과 같이, ASW와 ASUW 임무를 수행하는 범용 구축함이다.
Yamagiri 와 Asagiri는 연습함으로 바뀌었다

JMSDF Kashima 3508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V "Kashima"Class 3508 "Kashima"

Length : 143m
Width : 18.0m
Draught : 4.6m
Refarence Displacement : 4,050t
Main Engine : Gas Turbin X 2, Diesel X 2, Double Shaft (27,000PS)
Max Speed : 25kt
Armament :
76mm/62 Rapid Fire Gun X 1
Triple-Torpedo tube X 2
Crew : 360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해전에 있어서 항공기는 보조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지만 해전에 있어서 항공기를 사용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엄청난 차이가 있었다. 그 만큼 항공기는 해상작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었다. 이러한 사상을 더욱 발전시켜 항공모함을 해전에 본격적인 타격전력으로 활용하려는 생각을 한 국가가 미국과 일본이었다.

일본은 1932년 상해사변, 그리고 1937년 중일전쟁시 제공권을 획득하여 적의 항공기지를 공격하고, 상륙작전을 지원하며, 대지공격작전이나 전략시설에 대한 공격작전 등 현대의 항공전의 원형이 될 만한 각종 항공전술을 개발했다.
하지만 작은 섬나라인 일본에서 발진하는 항공기가 중국까지 진출하여 본격적인 항공작전을 벌일 수는 없는 일이었고 따라서 일본은 항공기들을 해상항공병력으로서 편성하여 육상에 투입하는 전술을 연마하였다.

Aircraft carrier Kaga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이리하여 1937년 항모 "류우조", "호오쇼"를 중심으로한 제1항공전대와 항모 "가가"를 중심으로 한 제2항공전대를 상해만에 전개시켜 본격적인 항공작전을 개시했다.
이처럼 일본해군은 중일전쟁을 통해 장차 태평양 전쟁에서 벌일 모든 형태의 해상항공전력의 활용을 체험했으며 이러한 실전경험으로부터 항공기의 운용법, 전술, 장비, 지원능력 등이 급속히 향상되었다.

하지만 일본 연합함대내에서 아직 함대 결전의 주역은 전함의 주포라는 사상을 가진 사람들이 많았고 전함 없이 항공모함만을 운용하는데 대해 불안감을 가진 지휘관들도 많이 있었기 때문에 아직 항공모함이 연합함대 타격력의 주역으로 인정되지는 못했고 1935년 경에는 전함을 중심으로 한 제1함대에 제1항공전대가, 순양함을 주역으로 하는 전위부대인 제2함대에 제2항공전대가 배속되었다

Aircraft carrier Ryujo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차대전 개전 당시 미국과 일본만이 본격적인 해상항공전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피할 수 없는 대결은 1941년말의 일본군의 진주만 기습으로 시작되었다. 일본 연합함대의 야마모토 사령장관의 강력한 희망으로 일본 연합함대는 6척의 항모를 동원하여 하와이의 진주만을 기습공격, 항모기동부대로서의 개념을 해전사상 최초로 과시하는 결과가 되었다.
일본 연합함대가 항모기동부대에 전함을 추가하여 현대적인 기동부대로 편성한 것은 1944년 3월이 되어서였다. 하지만 이들은 항모기동부대의 후방 100마일 정도에 위치하여 항모기동부대가 일격을 가한 뒤에 전함부대가 돌입한다는 거함거포주의의 환상을 떨쳐버리지 못한 것이었다. 반면 미 해군은 전함이나 순양함을 항모기동부대와 동반시켜 항공모함을 직접 호위하는 형식을 도입하였다.
(글출처  :  합동참모본부)

Aircraft carrier Unryu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차대전 발발전까지 만들진 진주만 기습당시 일본보유 항모.

1. 호쇼 : IJN 최초의 항모. 주로 연습용으로 쓰였씀.
2. 아카기 : 순양전함을 3단 비행갑판의 항모로 개장. 후에 단일 비행갑판으로 재 개장됨. 미드웨이에서 침몰
3. 아마기 : 헐까지 공사가 진행중 관동 대지진으로 피해를 입고 스크랩 됨
4. 카가 : 전함을 역시 3단 비행갑판의 항모로 개장, 후에 단일 비행갑판으로 재 개장됨. 미드웨이에서 침몰
5.류조 : 워싱톤 군축협상을 피해가기 위해 1만톤 이하의 배수량을 최대로 이용하기 위한 항모로 설계되었으나 후에 많은 문제로 인해 많은 개장을 거침. 과달카날 전투에서 침몰
5. 소류 : 원래부터 항모로 설계된 최초의 정규항모.  미드웨이에서 침몰
6. 히류 : 소류급의 두번째 항모로 아머와 AA 강화. 아일랜드가 소류와 반대로 포트사이드에 위치. 미드웨이에서 침몰
7. 쇼카쿠 : 소류급 항모를 확대 개장한 미국 에쎅스급에 필적할만한 항모. 산호해전에서 피해를 입고 미드웨이 해전에 참가 못함. 후에 필리핀해 해전에서 침몰
8. 즈이카쿠 :쇼카쿠급 2번함. 후에 레이테만 해전에서 침몰.

Aircraft carrier Soryu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대전 발발후 건조된 정규 항모

9. 타이호 : 일본 최초의 장갑 비행갑판을 설치한 항모. 첫출전에서 쇼카쿠와 같이 필리핀 해전에서 침몰
10 시나노 : 야마토급 3번함을 중간에 항모로 개장. 2차대전까지 전세계에 통틀어서 최대의 항모였으나 미완성된 피해복구 시스템과 미숙련 선원들로 말미암아 미군의 공습을 피해 옮기던중 어뢰 단 한발에 침몰.
11. 운류 : 급속 항모제작 계획에 따라 설계된 진보된 소류급 첫번째 함. 상하이 앞바다에서 어뢰에 침몰
12. 아마기 : 운류급 2번째함. 쿠레항에서 미군의 공습으로 전복됨.
13. 카쑤라기 : 운류급 3번째함. 쿠레항에서 피해를 입고 종전후 수송선으로 이용됨.
14. 카사기 : 운류급 4번째함. 85% 완성후 종전.
15. 아소 : 운류급 5번째함. 60% 완성후 종전.
16. 이코마 : 운류급 6번째함. 60% 완성후 종전.

Aircraft carrier Akagi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경항모

17. 즈이호 : 잠수모함을 항모로 개장. 레이테만 해전에서 침몰
18. 쇼호 : 잠수모함을 항모로 개장. 산호해 해전에서 침몰. 일본 최초로 침몰된 항모.
19. 치토세 : 수상비행기 항모로 제작되었으나 후에 경항모로 개장. 레이테만에서 침몰
20. 치요다 : 수상비행기 항모로 제작되었으나 후에 경항모로 개장. 레이테만에서 침몰
21. 히요 : 상선을 개장한 항모이나 거의 정규 항모에 맞먹는 비행기 탑재. 단 느린 속력으로 인해 정규항모급으로 취급되지 못함. 필리핀해전에서 침몰
22. 준요 : 히요와 거의 동형함. 종전까지 살아남아 스크랩 됨.
23. 류호 : 잠수모함을 경항모로 개장. 쿠레항에서 공습으로 대파
24. 이부키 : 순양함 헐을 항모로 변경 공사중 종전을 맞이함.
25. 이세 : 항공 전함(?) 전함 이세의 후부 포탑을 들어내고 비행갑판 설치. 개인적으론 가장 이해가 안되는 개장. 전함도 아니고 그렇다고 경항모만도 못한 어정쩡한 모습으로 바뀜.
26. 휴가 : 이세급 2번 전함. 이세와 마찬가지의 개장을 거침.
(이상글출처 : http://bbs.defence.co.kr 김신님)

Aircraft carrier Chitose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I. 호쇼
진수 : 1922년
기준배수량 : 7470t
전장 : 168.25m / 최대폭 : 17.98m / 홀수 : 6.17m
출력 : 3만 마력 / 속도 : 25노트 / 항속거리 : 14kt로 1만리(4000km)
승원 : 550명 / 탑재기 : 15기(완편시 6기 추가)
무장 : 140mm 단장포 X 4, 76mm 고각포 X 2

II. 아카기
진수 : 1927년
기준배수량 : 36500t(개장후)
전장 : 260.67m / 최대폭 : 31.32m / 홀수 : 8.71m
출력 : 13만 2천마력 / 속도 : 31.2노트 / 항속거리 : 16kt로 8200리(3280km)
승원 : 2000명 / 탑재기 : 상용 66기(완편시 25기 추가)
무장 : 200mm 단장포 X 6, 127mm 연장고각포 X 6, 25mm 연장기관포 X 14

III. 가가
진수 : 1928년
기준배수량 : 38200t(개장후)
전장 : 248.6m / 최대폭 : 32.5m / 홀수 : 9.48m
출력 : 12만 5천마력 / 속도 : 28.3노트 / 항속거리 : 16kt로 1만리(4000km)
승원 : 2000명 / 탑재기 : 72기(완편시 18기 추가)
무장 : 200mm 단장포 X 10, 127mm 연장고각포 X 6, 25mm 연장기관포 X 11

IV. 류조
진수 : 1933년
기준배수량 : 10600t
전장 : 180m / 최대폭 : 22m / 홀수 : 7.08m
출력 : 12만 5천마력 / 속도 : 28노트 / 항속거리 : 16kt로 1만리(4000km)
승원 : 924명 / 탑재기 : 36기(완편시 12기 추가)
무장 : 127mm 연장고각포 X 10, 25mm 연장기관포 X 12, 14mm 4연장기관총 X 6

Aircraft carrier Shinyo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V. 소류
진수 : 1937년
기준배수량 : 15900t
전장 : 227.6m / 최대폭 : 21.3m / 홀수 : 7.62m
출력 : 15만 2천마력 / 속도 : 34.5노트 / 항속거리 : 18kt로 7680리(3072km)
승원 : 1100명 / 탑재기 : 57기(완편시 16기 추가)
무장 : 127mm 연장고각포 X 6, 25mm 연장기관포 X 14

VI. 히류
진수 : 1939년
기준배수량 : 17300t
전장 : 227.35m / 최대폭 : 22.32m / 홀수 : 7.74m
출력 : 15만 3천마력 / 속도 : 34.59노트 / 항속거리 : 18kt로 7670리(3068km)
승원 : 1101명 / 탑재기 : 57기(완편시 16기 추가)
무장 : 127mm 연장고각포 X 6, 25mm 3연장기관포 X 7, 25mm 단장기관포 X 5

Aircraft carrier Hiryu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VII. 쇼가쿠 형(동형함 쇼가쿠,즈이가쿠)
진수 : 1941년
기준배수량 : 25675t
전장 : 257.5m / 최대폭 : 26m / 홀수 : 8.7m
출력 : 16만 마력 / 속도 : 34.2노트 / 항속거리 : 18kt로 9700리(3880km)
승원 : 1660명 / 탑재기 : 72기(완편시 12기 추가)
무장 : 127mm 연장고각포 X 8, 25mm 3연장기관포 X 12

VIII. 다이호
진수 : 1944년
기준배수량 : 29300t
전장 : 260.6m / 최대폭 : 27.7m / 홀수 : 9.67m
출력 : 16만 마력 / 속도 : 33.3노트 / 항속거리 : 18kt로 1만리(4000km)
승원 : 1649명 / 탑재기 : 52기(완편시 1기 추가)
무장 : 100mm 연장고각포 X 6, 25mm 3연장기관포 X 22

IX. 시나노(야마토 급에서 개조된 항모, 10일간의 삶을 산 가장 짧은 항모 등등...)
진수 : 1944년
기준배수량 : 62000t
전장 : 266.6m / 최대폭 : 38m / 홀수 : 10.31m
출력 : 15만 마력 / 속도 : 27노트 / 항속거리 : 18kt로 1만리(4000km)
승원 : 2400명 / 탑재기 : 42기(완편시 5기 추가)
무장 : 127mm 연장고각포 X 8, 25mm 3연장기관포 X 35, 25mm 단장기관포 X 40

X. 운류 형(동형함 운류, 아마기 외 미완성함 3척)
진수 : 1944년
기준배수량 : 17150t
전장 : 227.35m / 최대폭 : 22m / 홀수 : 7.76m
출력 : 15만 2천마력 / 속도 : 34노트 / 항속거리 : 18kt로 8000리(3200km)
승원 : 1100명 / 탑재기 : 57기(완편시 8기 추가)
무장 : 127mm 연장고각포 X 6, 25mm 3연장기관포 X 21, 25mm 단장기관포 X 30

Aircraft carrier Katsuragi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XI. 쇼호 형(동형함 쇼호, 즈이호 외 미완성함 1척)
진수 : 1941년
기준배수량 : 11200t
전장 : 205.5m / 최대폭 : 18m / 홀수 : 6.64m
출력 : 5만 2천마력 / 속도 : 28노트 / 항속거리 : 18kt로 7800리(3120km)
승원 : 785명 / 탑재기 : 27기(완편시 3기 추가)
무장 : 127mm 연장고각포 X 4, 25mm 3연장기관포 X 4

XII. 히요 형(동형함 준요, 히요)
진수 : 1942년
기준배수량 : 24140t
전장 : 219.32m / 최대폭 : 26.7m / 홀수 : 8.15m
출력 : 5만 6250마력 / 속도 : 25.5노트 / 항속거리 : 18kt로 12251리(약 4900km)
승원 : 1187명 / 탑재기 : 48기(완편시 5기 추가)

무장 : 127mm 연장고각포 X 6, 25mm 3연장기관포 X 8

XIII. 지토세 형(동형함 지토세, 지요다)
진수 : 1943년
기준배수량 : 11190t
전장 : 185.93m / 최대폭 : 20.8m / 홀수 : 7.51m
출력 : 1만 6800마력 / 속도 : 29노트 / 항속거리 : 18kt로 11810리(4724km)
승원 : 785명 / 탑재기 : 21기(완편시 9기 추가)
무장 : 127mm 연장고각포 X 4, 25mm 3연장기관포 X 10

XIV. 이부키 형(80공정서 미완)
기준배수량 : 12500t
전장 : 205m / 최대폭 : 21m / 홀수 : 6.31m
출력 : 7만 2천마력 / 속도 : 29노트 / 항속거리 : 18kt로 7500리(3000km)

승원 : 1015명 / 탑재기 : 상용27기
무장 : 76mm 연장고각포 X 2, 25mm 3연장기관포 X 17

Aircraft Carrier Ibuki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이상 글 출처는 http://blog.naver.com/hihehihe 수레박희님)

잠수함형 항모 I-400 급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이탈리아해군의 신형 항공모함 Cavour는 2004년 7월 Sestri Levante에 있는 Riva Trigoso 조선소에서 진수되었습니다
이후 치장공사를 실시하고 2006년 12월부터 시험운항을 하고 있으며

2008년 3월 말 공식적으로 이탈리아해군에 취역하였습니다.
완전작전능력 Full Operational Capability (FOC)은 2009년초로 예상하고 있으며

2008년 여름부터 Lerici에 있는 Muggiano 에서 마지막 마무리 공사를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Taranto의 Mar Grande에 있는 해군기지에 배치될 예정입니다.

Cavour는 이탈리아해군의 기함이 될 예정으로 사진은 지난 6월 20일 촬영된 것들입니다.

고정익 V/STOL기와 헬기를 운용할 수 있으며 지휘 통제작전과 병력과 민간인 및 중장비를 수송할 수도 있습니다.

길이 134 metre, 2,500 m² 규모의 격납고는 24대의 전차나 더 많은 수의 경장갑차량 (50대의 Dardo IFV, 100대이상릐 Iveco LMV)을 탑재할 수 있고 함미에는 70톤급의 엑서스램프, 용량 30톤급 엘리베이터 2개가 있습니다.
Cavour는 또한 Landing Platform Helicopter (LPH)를 운용하며 중수송헬기(EH 101 ASH)등을 이용하여

해병대 325명이상을 상륙시킬 수 있습니다

일반제원
배수량: 27,500tons(30,000 tons final service)
길이: 244 m
함폭: 39 m
홀수: 8,7 m
추진기관:
4 × General Electric/Avio LM2500+ 가스터빈 출력 88.000 hp
6 × Diesel 발전기(13.200 KW)
속도: 28+ knots
항속거리: 7,000 nautical miles (13,000 km) at 16 knots (30 km/h)

승조원
451 Crew
203 Fleet Air Arm
140 C4 staff
325 Marines (standard)

무장
4 × A43 SYLVER VLS for 32 Aster-15 SAM
2 × Oto Melara 76/62 mm Super Rapido gun
3 × Oerlikon Contraves 25/80 mm AA gun

항공기 F-35 24대 혹은 AV-8B급 30대
Boeing AV-8B Harrier II Plus 혹은 Lockheed Martin F-35B
범용헬기들
EH101 AEW/HEW 공중수색헬기

함번: Pennant 550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9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0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과거 Regia Marina로 불리다가 1946년 이탈리아공화국으로 재결정되면서 Marina Militare (이탈리아해군)라고 합니다. 반도국가인 이탈리아는 해군력 증강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어 소형이긴 하지만 항공모함 2척을 운용하고 있으며 각종 최신 프리깃함을 증강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해군의 헬기상륙함과 항공모함등 다양한 함정들이 위용을 과시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현재 운용중인 함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항공모함
Giuseppe Garibaldi (551)
Cavour (550)

2. 구축함
Orizzonte급 방공함
Andrea Doria (D 553)
Caio Duilio (D 554)
Durand de la Penne급 구축함
Luigi Durand de la Penne (D 560) (formerly Animoso)
Francesco Mimbelli (D 561) (formerly Ardimentoso)

3. 상륙용수송함
San Giorgio class
San Giorgio (L 9892)
San Marco (L 9893)
San Giusto class
San Giusto (L 9894)

4. 프리깃
Maestrale class
Maestrale (F 570)
Grecale (F 571)
Libeccio (F 572)
Scirocco (F 573)
Aliseo (F 574)
Euro (F 575)
Espero (F 576)
Zeffiro (F 577)
Soldati class
Artigliere (F 582)
Aviere (F 583)
Bersagliere (F 584)
Granatiere (F 585)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5. 콜벳
Minerva class
Minerva (F 551)
Danaide (F 553)
Urania (F 552)
Sfinge (F 554)
Driade (F 555)
Chimera (F 556)
Fenice (F 557)
Sibilla (F 558)

6. OPV & Patrol boats
Cassiopea class
Cassiopea (P 401)
Libra (P 402)
Spica (P 403)
Vega (P 404)
Esploratore class
Esploratore (P 405)
Sentinella (P 406)
Vedetta (P 407)
Staffetta (P 408)
Cassiopea 2 class
Sirio (P 409)
Orione (P 410)
Comandanti class
Comandante Cigala Fulgosi (P 490)
Comandante Borsini (P 491)
Comandante Bettica (P 492)
Comandante Foscari (P 493)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7. 기뢰제거 소해정 - Mine Counter-Measure Vessels
Lerici class - 1st series
Lerici (M 5550)
Sapri (M 5551)
Milazzo (M 5552)
Vieste (M 5553)
Lerici class - 2nd series
Gaeta (M 5554)
Termoli (M 5555)
Alghero (M 5556)
Numana (M 5557)
Crotone (M 5558)
Viareggio (M 5559)
Chioggia (M 5560)
Rimini (M 5561)
Ponza class
Ponza (A 5364)
Levanzo (A 5366)
Tavolata (A 5367)
Palmaria (A 5368)
Procida (A 5383)

8. 잠수함
Todaro class
C.te Salvatore Todaro (S 526)
Scire (S 527)
Sauro IV class
Primo Longobardo (S 524)
Gianfranco Gazzana Priaroggia (S 525)
Sauro III class
Salvatore Pelosi (S 522)
Patricio (Pato) Prini (S 523)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9. 보급함
Squadron Replenishment Ships
Etna (A 5326)
Stromboli (A 5327)
Vesuvio (A 5329)
Gasoline Tankers
Panarea (A 5370)
Linosa (A 5371)
Favignana (A 5372)
Salina (A 5373)
Water Transports
Ticino (A 5376)
Tirso (A 5377)
Vehicle Transport Ships
Gorgona (A 5347)
Tremiti (A 5348)
Caprera (A 5349)
Pantelleria (A 5351)
Lipari (A 5352)
Capri (A 5353)
Weapons Test Ships
Carabiniere (F 581) (ex Frigate)
Raffaele Rossetti (A 5315)
Vincenzo Martellotta (A 5320)

10. 기타함정
Anteo (A 5309): Submarine Rescue and Salvage Ship
Elettra (A 5340): Electronic Warfare Ship

11. 훈련함
Palinuro (A 5311)
Amerigo Vespucci (A 5312)
Stella Polare (A 5313)
Corsaro II (A 5316)

function chg_div(id, cnt) { for(var i = 1; i <= cnt; i++) { var div_id = id + i; var obj = document.getElementById(div_id); if(obj.style.display != "none") { obj.style.display = "none"; var show_num = (i == cnt) ? 1 : i + 1; div_id = id + show_num; var show_obj = document.getElementById(div_id); show_obj.style.display = ""; return true; } } }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Typhoon급 잠수함은 핵추진 탄도미사일 잠수함으로 1980년대에 배치된 러시아해군 잠수함입니다.
최대 배수량 26,000 ton의 Typhoon은 전세계에서 가장 큰 잠수함으로

NATO보고에 따르면 1974년 Leonid Brezhnev 가 신형 탄도미사일 잠수함을 발표하면서

"typhoon" (тайфун) 이라고 명명하였다고 합니다. 러시아 개발명은 Type 941 Akula라고 부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러시아 소련 잠수함은 아주 튼튼하고 특히 Typhoon급 전략핵잠수함은

북극의 얼음 15~20m 가량을 깨고 부상핵미사일 발사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1981년 당시 소련은 Typhoon 잠수함의 광고 필름을 제작합니다.
그 필름에서 처음으로 공개된 Typhoon급과 Oscar급에는

내부에 작은 수영장시설과 휴개실,헬스장사우나실을 갖추고 있는 거대한 잠수함이였습니다.

마음만 먹으면 미국을 초토화 시킬정도로 엄청난 양의 핵탄두 미사일을 장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전세계를 불안에 떨게하였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당시 CIA에서는 Typhoon의 출항소식과 함께 미 해군에게 TK-208을 추적해달라고 요청하여 

미해군 LA급 5번함인 SSN-692 Omaha호가 북극해 근처에서 Typhoon을 찾아내고 약 3일동안 추적하게 됩니다.
Omaha가 27노트로 순항중이던 Typhoon을 놓친것은 10월 1일로 서서히 감속하기 시작하더니

순식간에 소나시스템의 모니터에서 사라져 버렸고 그 소식이 미국 국방성에 전달되자 미국은 발칵뒤집히게 됩니다. 그날 이후 북극해에서 러시아와 미국의 끝없는 추격전이 시작됩니다.
북극해에는 그당시 건조됬었던 LA급 10대가 모두 모이게 되고

러시아도 Typhoon의 안전을위해 Alpha급 한척을 호위함으로 동행하면서

그때부터 타이푼은 항상 알파급이 호위하게 되었고. 나토코드명이 정해진것 역시 그때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함이력
함명: Akula ( Акула ) (NATO 암호명 : Typhoon )
건조사: Rubin Design Bureau
전기함: Delta 급 잠수함
후속함: Borei 급 잠수함
취역: 1981 년 12월 12일
완성척수: 7 척
운영척수: 1 척
Laid up: 2 척

일반제원
형식: 탄도미사일
배수량: 수상 - 23,200-24,500 tonnes, 수중 - 33,800-48,000 tonnes
길이: 175 metres
함폭: 23 metres
홀수: 12 metres
추진기관:
2×OK-650 pressurized-water nuclear reactors →90 megawatt each
2×VV-type steam turbines →37 megawatt each
2 축 7 엽 shrouded screws
속도: 수상 - 12 knots, 수중 - 27 knots
시험잠수심도: 400 metres
승조원: 163
무장:
1×9K38 Igla SAM
4×650 mm 어뢰발사관을 통해 →RPK-7 Vodopad AShMs, →Type 65K 어뢰
2×533 mm 어뢰발사관 →RPK-2 Viyuga 순항미사일, →Type 53 어뢰
D-19 발사기 →20×RSM-52 SLBMs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건조함 내역

함번 건조착수 진수 취역 현황
TK-208 March 3, 1977 September 23, 1980 December 12, 1981 Bulava 미사일 시험용으로 운용중
TK-202 October 1, 1980 April 26, 1982 December 28, 1983 1995년 퇴역하여 2003-2005 스크랩처리
TK-12 April 27, 1982 December 17, 1983 December 27, 1984 1996년 퇴역하여 2006년 스크랩처리 대기중 
TK-13 January 5, 1984 February 21, 1985 December 29, 1985 1997년 퇴역, 2006년 스크랩처리 대기중 
TK-17 February 24, 1985 August 1986 November 6, 1987 예비역으로 보관중, 현대화 예정 
TK-20 January 6, 1987 June 1988 September 1989 예비역으로 보관중, 현대화 예정
TK-210 건조취소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러시아부여 함명과 함번
TK-208 :
Dmitri Donskoi.
TK-12 :
Simbirsk in 2001.
TK-17 :
Arkhangelsk on November 18, 2002.
TK-20 :
Severstal
TK-208 :
Dmitri Donskoi.
TK-12 :
Simbirsk in 2001.
TK-17 :
Arkhangelsk on November 18, 2002.
TK-20 :
Severstal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프랑스해군의 미사일 추적함 Monge함은

 만재배수량 21,040톤급의 대형함정으로 함의 치수는 225.6 x 24.84 x 7.66 m입니다.
이함의 임무는 미사일의 비행고도, 궤도등이 정상인지 추적 관측하는 것입니다.
추진기관은 2기의 디젤엔진으로 9,000 bhp의 출력을 내며 1축 추진식으로

최대속도는 15.8 knots입니다. 104명의 함 승무원과 184명의 미사일 추적임무요원이 탑승하며

후미에는 2대의 헬기를 격납할 수 있는 Hangar가 있습니다.
무장은 2문의 20 mm 대공용 기관포를 탑승하며

1992년 취역하였고 함번은 A601이며 모항은 프랑스의 Brest항입니다.

사진은 5월 28일 모항인 Brest항을 출항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독일 Kiel운하를 항해하는 핀란드해군 Pohjanmaa 급 기뢰부설및 훈련함이 지난 6월 3일 독일 Kiel운하 동쪽 지역을 항해하고 있습니다.
Pohjanmaa급 기뢰부설함 (핀란드어 Pohjanmaa-luokan miinalaiva)은 핀란드해군이 운용하는 기뢰부설용 함정으로 현재 핀란드해군의 기함입니다.

극지방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ICE-1A 급 쇄빙선처럼 북극의 얼음을 깨며 항해할 수 있어 일년내내 운용이 가능합니다.기뢰부설함이라고 하지만 실제는 지휘함으로 사용하며 해군사관학교 교육생들의 훈련함으로 매년 해외순방도 실시합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1979년 취역한 Pohjanmaa급 minelayer/training함은

원양 기뢰부설 작전능력이 있으며 일시적으로

기뢰적재텍크에 70여명의 병력을 수용하여 훈련함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제원
만재배수량: 1,450 tons
길이: 78.6 m
함폭: 11.2 m
홀수: 3.3 m
추진기관: 2 × Wärtsilä Vasa 16V22 diesel; 4,280 kW (~5,800 hp) with propellers
속도: 18 - 19 knots
항속거리: 3,500 nm (6,500 km)
승조원: 70 명 (훈련함 120 명)

센서류:
Signaal DA05 radar
Philips 9LV 220 FCS
Simrad hull-mounted sonar

전자전장비및 기만장비:
Decoy: Philax chaff and IR flairs
ESM: Argo Systems radar warning system

무장:
1 × Bofors 57 mm/70 Mk1
1 × Bofors 40 mm/70
2 × Sako twin-barrel 23 mm/87 (modified ZU-23-2)
2 × NSV 12.7 mm machine guns
2 × rails for depth charges
4 × rails for 150 mines (Sea Mine 2000)
항공기적재수: Helicopter landing pad

보유함: FNS Pohjanmaa (01)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독일 Kiel운하를 항해하는 핀란드해군 Pohjanmaa 급 기뢰부설및 훈련함

                             지난 6월 3일 독일 Kiel운하 동쪽 지역을 항해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