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he Project 775 Ropucha Large Landing Ship (Bol'shoy Desatnyy Korabl' BDK) is a beachable, general-purpose LST-type design with bow and stern ramps for unloading vehicles. A slightly smaller successor to the Alligator class, they were all built in Poland three distinct production runs. The last three units were an improved version with some variations in detail. Many have been retired, and remaining units may be in reserve, given the Russian Navy's decreased emphasis on amphibious operations.

Given the designation Large Landing Ship, the Ropucha class of tank landing ship was produced in Poland for the Soviet Navy. designed for roll-on, roll-off operations, the Ropucha design has both bow and stern doors, and the 630 square metres of vehicle deck stretches the length of the hull. The multi level supersturcture is designed to house two companies of naval infantry for extended periods. This, together with a 450 ton cargo capacity and the ability to carry 24 armoured vehicles, allowed the Soviet navy to employ the vessels on distant ocean operations.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meant that capability was unlikely to be needed by Russia and the Ukraine, which inherited most of the ships of this class.

The class is not particularly well-characterized in the literature, and while all indicated names and numbers have been reported, the association of designations with the construction chronology is entirely conjectural, apart from the three Project 775M units. Although onl   y 22 units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names or hull numbers, the production shipyard is quite specific that a total of 28 were produced.

Builder: Stocznia Polnocna, Gdansk, Poland.
Displacement (tons): 2,200 tons standard
3,200-4,360 tons full load
Speed (kts): 16-18 knots
Dimensions (m): 112.5-113.0 meters long
14.9-15 meters beam
2.9-3.7 meters draft
Speed (kts): 18 knots
Propulsion: 2 dies. turbines; 2 props., 19'200 hp; 6'100 n.m/18 kts
Crew: 98 crew + 225 marines + tracks + tanks
Armament:
Missiles: 4 x 8 Strela (SS-N-3)
Grad missile system

Guns: 2 x 2 AK-726 DP (2 x 76 mm)
2 x 6 AK-630 gattl. AA
(6 x 30 mm; r: 6'000rds/m/mount)
1 AK-176 (76 mm)

Cargo: 482 tons, approx 230 troops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독일해군 K-130급 콜벳 3번함 F262 Erfurt 시험운항중



독일해군이 Gepard급 고속미사일정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중인 K-130급 콜벳중 3번함 F262 Erfurt가
건조사인 Thyssen-Krupp-Marine-Systems의 깃발을 달고 시험운항중인 모습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K130급 콜벳은 이미 성능이 입증된 MEKO A급 프리깃의 설계를 이용하여 Corvettes 개념을 도입 건조한 함정으로 F124급 프리깃 시스템의 신기술 - 승무원을 감소시키는 완전 자동화, 네트웍 기술, S/W에 의해 완전 매뉴얼화된 무장시스템 등-이 접목된 신형 함정입니다.
이들 함정은 독일해군이 총 28척을 운용하고 있는 Type 143 Gepard (10척), Type 148 Tiger (8척), Type 143 Albatros (10척) 등의 고속정을 대체하고 있습니다.

K130 은 두가지 혁신적인 기술을 가시고 있는데 하나는 해상용 헬기대산 수평선너머 수색과 정찰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무인기를 운용하는 점과 연안 작전에 맞도록 레이더와 적외선 형상을 감소시키는 스텔스형상과 RBS15 대함미사일을 운용하는 것입니다.
원형에는 Polyphem-S 광섬유 유도식 미사일을 계획하였으나 취소후 RBS15 를 대신 장착하였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독일해군은 첫번째 주문으로 5척을 발주하여 2007년부터 취역을 시작하여 2008년까지 완료될 예정이며 향후 총 12척에서 16척까지 보유할 예정입니다.
ARGE K 130 컨소시움은 이들 콜벳의 건조를 수행할 예정으로 함부르크에 있는 Blohm + Voss가 주도하며 Emden의 Nordseewerke 조선소, Bremen의 Friedrich Lurssen Werft 조선소등이 담당하고 있습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4월 14일 버지나아주 Thimble Shoal Channel를 지나고 있는 USS George Washington (CVN 73) 항모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지난 4월 7일 모항이던 미국 버지니아주 Norfolk항을 마지막으로 출항하여 일본 Yokosuka를 향해 출발한 미해군 니미츠급 항공모함 USS George Washington (CVN 73)호가 4월 20일 탑재된 Carrier Air Wing (CVW) 17 비행단 소속 함재기들이 항모 상공에서 기동훈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F/A-18F Super Hornet 전투기가 기동비행훈련중 수증기 응축현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irborne Early Warning Squadron (VAW) 124 소속 E-2C Hawkeye 조기경보기가 항모 갑판위를 fly-by maneuver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F/A-18 Hornet 전투기가 항모 비행갑판 상공에서 airspeed maneuver하는 모습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함재기 점검훈련을 마치고 4월 21일 브라질 Rio de Janeiro항을 잠시 방문하기 위해 입항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USS George Washington (CV 73) 항모는 USS Kitty Hawk (CV 63)를 대신하여 일본에 배치되는 항모입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러시아가 1978년부터 1983년 사이에 Project 206MR 계획에 따라 건조한 세미 hydrfoil 초계정으로 1996년 소비에트연방 분리시 5척이 우크라이나해군에 이관되었으며 이중 함명 U-150 "Konotop"호(구소비에트 연방 R-15)를 1999년 그루지아에 이관하여 Tbilisi (თბილისი)호가 됩니다.
러시아해군에서 항공모함에 붙였던 이름을 그루지아에서는 1/100의 배수량을 가진 초계정이름으로 사용한 것도 특이합니다.

제원
만재배수량: 257 tons full load
선체치수: 38.6 x 7.6 x 2.1 meters
포일 전개시 선체치수: 38.6 x 12.5 x 3.26 meters
추진기관: M-520 디젤 3기, 3 축추진
출력: 14,400 bhp,
속도: 42 knots
승조원: 25-28
Fire Control: Harpun/Plank Shave SSM control,
EW: PK-16 decoy 2기
무장:
SS-N-2C/P-15M Termit SSM 발사기 2기
76.2mm/59 cal DP 함포 1문,
30 mm AA 대공기관포 1문,
SA-14/SA-16 SAM 발사대 1
건조조선소: Sudostroitel'noye Odyedineniye Almaz, Kolpino.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9월 10일부터 16일까지 실시된 Litoral 07 훈련중 어뢰를 발사하는 루마니아해군 콜벳
Admiral Petre Bărbuneanu급 초계용 경프리깃 (corvette) Vice-Admiral Eugen Roşca (Tetal-I) (F-263) 호와 Rear-Admiral Eustaţiu Sebastian급 대잠용 경프리깃 Rear-Admiral Eustaţiu Sebastian (Tetal-II) (F-264) 호가 참가하였습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9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0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007년 12월 현재 한창 건조중인 스페인 해군의 차세대 다목적 LHD형 상륙함 Buque de Proyección Estratégica 1번함 Juan Carlos I함 입니다.
스페인의 현재 국왕인 Juan Carlos I의 이름으로 명명된 이 함정은 과거 미국이 건조를 검토하였던 strategic projection vessel (Buque de Proyección Estratégica)의 발전형으로 미해군의 LHD와 유사한데 2003년 개념이 승인된 후 Navantia (과거 Izar 조선소, Ferrol에 위치) 조선소에서 2005년부터 건조를 시작하여 2008년 진수를 예정하였는데, 현재 건조상태로 보아서는 일정지연이 불가피할 것같습니다.

LHD형 상륙함이면서도 경항공모함으로 운용이 가능하여 스페인해군의 원양작전을 지원할 수 있고 유사시 재난피해 구호활동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차세대 함정답게 함대의 기함역활을 수행할 수 있는 설비도 장착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동함정은 호주해군이 2척을 발주한 Canberra급 대형상륙함정의 원형이기도 합니다. 항공지원, 강습상륙, 수송및 중앙지휘역활을 수행하게될 이 함정들은 2006년 HMAS Canberra 호와 HMAS Adelaide호로 명명되었습니다.

BPE Juan Carlos I 제원
일반특성
배수량: 27,079 tonnes
길이: 230.8 m
함폭: 32.0 m
홀수: 7.18 m
추진기관: Gas turbines Electrical (pods)
속도: 21 knots
항속거리: 4,900 nm at 15 knots (28 km/h)
상륙용주정: LCM 4척
승조원: 243 명
항공요원: 172 명
강습상륙병력: 902 명
항공기: 최대 30대 적재 가능한데 NH90을 주력으로 10대의 Boeing CH-47 Chinook 헬기와 19대의 AV-8 Harrier II를 적재할 수 있으며 향후 NH-90과 F-35B가 주력기가 될 예정

참고로 스페인해군이 준비중인 차기 함정들을 포함한 미래의 해군함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척 STOVL CV [R-11 Príncipe de Asturias] - 2015년경 신형 CV 로 대체예정으로 아직 함종은 미결정상태로 STOVL/CTOL/CATOBAR/STOBAR등 다양한 형태 검토중임. 미래의 F-35B에 따라 결정가능성.
· 5-6 척의 AEGIS Frigates [F-100 급] - 4 척은 건조완료 (F-101-F104), 1 척 건조중 (F-105) 그리고 추가로 1척을 건조 예정이나 예산문제로 보류중
· 6 척 Missile Frigates [F-80 급] - 현재 Mid Life Upgrade 작업 진행중.
· 1 척 Missile Frigate [F-72 Asturias] - F-105 Roger de Lauria로 대체 예정.
· 14 척 Maritime Action Ships [BAM 급 - Buque de Acción Marítima ] - 4 척 건조 진행중이며 추가로 10척 건조 계회하고 있으나 예산문제로 보류중.
· 1 척 LHD/BPE [L-61 Juan Carlos I] - Navantia사가 건조중으로 2008년말 취역 예정, 추가 2~3척 계획중
· 2 척 LPDs [Galicia 급] - L-51 Galicia & L-52 Castilla 운용중.
· 2 척 LSTs [Newport 급] - L-61 Juan Carlos I로 대체될 예정.
· 2 척 AORs [A-14 Patiño & A-15 Cantabria] - Patiño는 취역중이며 더 대형인 Cantabria (BAC Program Class)는 현재 Navantia에서 건조중.
· 1 척 Fleet Oiler [A-11 Marqués de la Ensenada] - A-15 Cantabria로 대체 예정.
· 4 척 SS Agosta [S-70 급] - S-80 급으로 대체 예정.
· 4 척 SSK S-80 [S-80 급] - 건조중으로 2012-2014년사이 완료 예정.
· 1 척 MCM Command Vessel [M-41 Diana] - 전투함 F-32 Diana (Descubierta 급)을 개조
· 6 척 MCM Vessels [Segura 급]
· 5 척 OPV Descubierta [P-75 급] - 전투함 F-31 및 F-33 부터 F-36 (Descubierta 급) 개수하여 운용.
· 4 척 OPV Serviola [P-71 급]
· 4 척 OPV Chilreu [P-61 급]
· 13 척의 OPV [Anaga & Barcelo 급] - 총 16척이 도입되었으며 현재 운용중인 함정으로 점차 더 개량된 능력을 가진 BAMs으로 2008년부터 교체 예정.
· 2 척 Intelligence Ships [A-111 Alerta & a new Int. Ship] - Alerta호는 취역중이고 신형함정이 BAM 형으로 건조중 (BAM Program예 계확되어 있슴)
· 1 척 Light Transport [A-01 Contramaestre Casado]
· 스페인육군의 해양 훈련용으로 2척의 RO-RO 함 (A-05 El Camino Español, A-04 Martín Posadillo) 이 해군에 의해 운용되고 있슴.

사진은 2007년 11월 23일부터 12월 24일 사이에 촬영된 사진들입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사진상으로 판독해볼 때 길이 27 m 정도에 폭은 13.5 m 에서 16 m , 높이는 3.5 m 로

미해군 LCAC과 유사하므로 배수량과 적재량도 유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중국이 새로 개발한 ZTZ-99 과 ZTZ-96 전차를 수송할수 있으며

중국해군의 신형 상륙함 Type 071 LPD에서 운용할 것으로 추측합니다.

또한 중국은 6~8 척의 Zubr급 (Project 1232.2) 공기부양정을

러시아 Saint Petersburg에 있는 Almaz Shipbuilding JSC로부터 도입하기로 하였다고 합니다.

Zubr급은 1986년부터 배치되기 시작하여 러시아해군이 3척을 우크라이나가 2척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리스가 4척을 도입한 바 있습니다.

마지막 사진이 Zubr급 입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9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0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ype 333 Kulmbach급은 독일해군이 5척을 보유한 소해정으로

기뢰탐재를 위한 Seefuchs 연장형 무인장비를 운용하는 Type 343 Hameln급

minesweepers의 성능 개량형입니다.

제원
길이: 54.40 m
함폭: 9.20 m
홀수: 2.8 4m
배수량: 645 t
추진기관:
2 MTU 16V 538 TB91 디젤엔진 각 2240kW
2 Renk PLS 25 기어박스
2 가변피치프로펠러 2축추진
속도: 18 kts
무장:
2 Bofors 40mm/L70 dual-purpose gun (currently upgrading to MLG 27 remote-controlled autocannons)
2 Fliegerfaust 2 surface-to-air missile (MANPADS) stands
Mine-laying capabilities
센서류:
Navigation radar
Hull-mounted DSQS-11 mine-detection sonar
보유장비:
Seefuchs mine hunting drones
GPS-Navstar navigation system
PALIS
digital data links
M 20/2 fire-control system
Equipment for 4 mine divers
Complement: 43

함번 함명 건조시기 모항
M1091 Kulmbach 1990 Olpenitz
M1095 Uberherrn 1989 Olpenitz
M1096 Passau 1990 Olpenitz
M1097 Laboe 1989 Olpenitz
M1099 Hertne 1991 Olpenitz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9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ype 42급 구축함은 Type 23급이 건조되기 전의 영국 주력전투함으로서 포클랜드 해전에서 아르헨티나의 엑조세 미사일에 피격당하여 격침당한 쉐필드가 속한 급의 함정으로 버밍햄 또한 이에 해당된다. 이 Type 42급이 1968년 처음으로 주문되었을 때 주임무는 함대의 대공방어였으나 이후, 함대의 방어가 아닌 감축된 영 해군의 주요한 작전지역 대공방어로 그 임무가 바뀌었다. Type 42급은 전반적인 설계뿐만 아니라 건조상의 특성 등 여러 부분에서 많은 수정을 거쳤으며, Type 82급으로부터 파생된 Bristol의 축소형이라고 볼 수 있다.

주요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체분야로써 재질은 7.6-10.2미리미터로 용접된 연강판이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Overhaul시 엔진을 쉽게 취외할 수 있고, Gas Turbine에 공기흡입을 가능케 하는 넓은 공지가 갑판상에 있으므로 평갑판을 가진 선체구조에서는 알미늄 합금보다 더 나은 재질이라 할 수 있다. 모든 갑판은 평평하며, 미리 조립된 부품이 사용된다. 그 중 밑바닥은 Disco로 알려진 영 해군의 표준화된 디젤유의 연료 창고로 사용되며, 기타 탱크는 연료를 다 소비했을 때 해수로 채워 배의 안정도를 유지하기 위한 보충용이다. 또한 불필요한 돌출부는 없으며 캐비넷, 옷장, 소형탄약 저장함 등 모든 것은 상부구조물 안에 있다. 마스트를 금속판으로 둘러싸기 때문에 배의 외형은 깨끗해 보이고, 안테나, 케이블, 디젤 배기관 등은 잘 보호되어 있다.

둘째, 기관분야로써 Type 42급의 기관은 처음 Steam Turbine을 설치하려고 하였으나 Gas Turbine으로 변경이 되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력 약 25% 감소, 작전시 신뢰성, 정비의 용이, 함 효율 증가 등 많은 효과를 가져왔다. Type 42급은 62,000마력의 Gas Turbine을 가지며, Bristol의 COSAG (Combined Steam and Gas)체계로부터 COGOG(Combined Gas or Gas)체계로 바뀌었다. 이 체계는 Full Power시 54,400마력의 출력으로 30노트의 속도를 내며, 순항시에는 8,200마력의 추진력으로 18노트의 속력을 내고 있다. 그러나 이 체계는 연료가 많이 든다는 것이 흠이다. 엔진시동은 함교, MCR(Main Control Room) 또는 기관실에서 직접 할 수 있다. 함교에서 동력은 각 샤프트에 하나씩 두 개의 지렛대로 통제된다. 각 지렛대는 프로펠라 피치와 샤프트에 전달된 동력을 통합 통제한다. MCR에 있는 지렛대는 함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함교와의 연결이 손상되었을 때는 직접 동력체와 스크류를 통제하는데 언제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 시스템은 한 동력체에서 다른 동력체로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다.

셋째, 무장분야로써 유도탄의 탑재량은 40기이며, 이것들은 발사대에 자동으로 적재되어 수직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 발사기는 Bristol에 설치된 것보다는 가벼운 형이며, 표적추적은 Marconi Type 911레이다에 의해 실시된다. 유도탄 발사기인 시다트 1기, 4.5인치 함포 1문, 20미리미터 CIWS기관포 2문, 스팅레이 대잠어뢰 발사기, 20미리미터 오리콘 기관포 2문, 링스 대잠헬기 1대 등을 탑재하여 대잠전과 대공전투임무를 담당한다. 4.5인치 함포인 Mk 8은 구형의 Mk 6 2연장 함포를 대신해서 등장한 것으로 현재 영국해군의 수상전투함의 주력함포로 사용되고 있으나 미국의 신형 함포가 등장하면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

넷째, 전자장비분야로써 가장 중요한 전자장비는 Wide-Band Search Radar(Type 965)이며, 그 특이한 모습은 COSSOR MK10 IFF가 얹혀진 이중 안테나이다. Type 965는 Meter Mark 주위에 장파 주파수로 작동하고 출력은 1메가와트의 범위이며 각 안테나는 8개의 Dipole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Signal Source는 금속격자 모양이다. ECM은 주 마스트에 있는 작은 안테나 군에 있으며, 방해와 기만용으로 쓰인다. 그리고 대잠탐색을 위해 4개의 소나가 설치되었으며, 소나를 통해 수집된 위협정보는 ADAWS(Action Data Automation Warfare System) 8 시스템을 통해 분석되어 공격명령이 내려진다. 공격은 링스헬기가 담당한다.

42급 구축함은 2014년까지 운영할 계획인데 2007년 현재 Batch 1형은 전부 퇴역하였고 8척의 Type 45 구축함으로 대체할 예정이다. 처음 6척의 Type 45; HMS Daring, Dauntless, Defender, Dragon, Duncan, Diamond가 발주되었고 2척은 다음세기에 주문할 예정이다.
Type 42 급은 좁은 거주공간으로 인해 승조원들이 힘들었했는데 업그레이드를 위한 공가확보에 따라 승무원의 안전과 거주성에 더욱 문제가 많았다, 그런 이유로 Type 45는 42급의 5000톤급 전후와 비교하여 7400톤급 배수량을 가진 대형함정으로 설계되었다

□ 주요 탑재장비
추진기관 : COGOG체계, 2개의 Rolls Royce OLYMPUS
미사일 : 2연장 Vickers Mk 30 Mod 2 1기, Seadart Launcher(함대공, 함대함) 미사일 40기
함포 : 114 / 55mm Mk8 1문, Oerlikon 20mm 기관총 2문
대잠어뢰발사관 : Mk 49 어뢰 발사관
어뢰대응장비 : Type 182 Towed Torpedo Decoy (active, passive T/D decoy)
ESM/ECM : Racal Outfit UAA-2 / Type 670
전투체계 : ADAWS 7 (action data automation warfare system)
사격통제체계 : GWS.30 Mod 2
헬기 : Lynx 1대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러시아산 장거리 해상 초계기 TU-142 Bear-F는 1955년 등장한 전략폭격기 Tu-95 Bear의 해양초계기형입니다, 인도가 러시아외에서는 처음으로 6대를 도입하여 기체번호 IN-311부터 IN-318까지 부여하여 운용중입니다.
2004년 항전장비의 개량을 통해 150km까지 수색탐지가 가능하며 기뢰탐지, 장거리 수색임무를 수행합니다. 또한 인도의 위성항법시스템과 링크할 수 있고 주야간 임무수행용 관측장비를 장착할 예정입니다.

Tu-142 Bear-D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u-142 제원
승무원 : 9
길이 : 49.5 m
높이 : 12.12 m
날개 폭 : 51.1 m
프로펠러직경 : 5.6 m
날개 넓이 : 289,9 평방미터
기체중량 : 91,800 kg
최대(적재)중량 : 185,000 kg
최대 연료적재량 : 87,000 kg
순항고도 : 13,700 m
이륙속도 : 300 km/h
착륙속도 : 270 km/h
해수면고도 기준 최대속력 : 마하 0.5
순항고도 기준 최대속력 : 마하 0.83 (925 km/h)
G limit : 2.5
최대익면하중 kg/m^2 : 638.2
최대출력하중 kg/kW: 4,19
최대상승속도, m/s: 10
내부적재연료 최대항속거리 : 12,550 km
무장 : GSh-23 기관포 2문, 기내에 15000 kg 무기적재 가능한 공간

Tu-142 Bear-F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엔진: 4기의 KKBM Kuznetsov NK-12MV 터보프롭엔진,
프로펠러 ; 8엽 반전식 reversible-pitch Type AV-60N 프로펠러
엔진 출력 : 각 14,795 shp
-최근 인도해군의 기체들은 러시아 Samara의 Motorostroitel 항공사에서 개조하여 Tu-142M 사양이 되었으며 15기의 인도해군 NK-12MV 엔진을 오버홀하였습니다. 기수의 공중급유장비가 장착되고 급유봉 좌우에는 점등식 등이 설치되어 야간공중급유 작업시 도움을 주도록 하였습니다.

Tu-142 Bear-F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승무원: Tu-142M은 4명의 항공기 조작인원 - Pilot/Commander, Co-Pilot, Flight Engineer and Flight Signaller- 기미의 총탑조작수 Flight Gunner등 5명의 인원이 navigators/observer로 탑승하며 무장시스템과 센서조작및 대잠전 임무를 수행합니다.

Tu-142 Bear-F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센서류:
Korshun-K 자동 수색및 관측장비,
MMS-106 Ladoga 저소음과 핵추진잠수함 탐지용 magnetometer.
NPK-142M 성능향상형 항법, 자동조종 장비,
Strela-142M 기내의 통신시스템,
Nerchinsk 수압식 방어장비,
Sayany 기내방어시스템,
자동해독 무선통신시스템
수색 공격용 레이더 (NATO: Wet Eye),
다양한 능동, 수동식 소노부이 - RGB-15, RGB-25, RGB-55A and RGB-75 buoys.

Tu-142 Bear-F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무장 :
어뢰 12기, FAB 250 자유낙하 폭탄, 폭뢰, DK-12 후부기총장비 - 23mm AM-23 2연장 기관포 및 1990년 Sea Eagle AShM 시스템장치가 통합됨. 최대 20,000 kg을 외부에 장착 가능
추후 Klub와 Brahmos 초음속 대함미사일을 운용할 수 있도록 개조될 예정입니다.

임무: INS Rajali (East)와 INS Hansa (West)기지에서 정기적으로 Bengal만과 Arabian해에서 장거리 정찰임무와 대잠전을 수행합니다.

Tu-142 Bear-F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