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02월 타겟용으로 생을 마감한 Arthur W. Radford함입니다
1971/01/15 명명식을 가졌으며 Ingalls Shipbuilding에서

1974/01/31에 건조에 들어가

1975/03/21 진수식을 가지게 되며

1977/04/16취역

1997/05 Advanced Enclosed Mast/Sensor System을 장착

2003/04/18 퇴역 합니다

1번사진: VLS 탑재전

2번사진: VLS 탑재형

3번사진: AEMSS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항모, 상륙강습함, 순양함이 전단으로!!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 처음 입항하는 니미츠

Nimitz급은 30여년동안 건조가 이루어졌고 미 해군에서 가장 핵심적인 함정인 까닭에 지속적인 개량이 이루어져 왔고, 이에 따라 각 함정마다 약간씩의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 초기형, 중기형, 후기형으로 나뉘어질 수 있습니다.

초기형 : 1번함부터 4번함까지
USS Nimitz (CVN 68)
USS Dwight D. Eisenhower (CVN 69)
USS Carl Vinson (CVN 70)
USS Theodore Roosevelt (CVN 71)

중기형 : 5번함부터 8번함까지
USS Abraham Lincoln (CVN 72)
USS George Washington (CVN 73)
USS John C. Stennis (CVN 74)
USS Harry S. Truman (CVN 75)

후기형 : 9번함부터 10번함까지
USS Ronald Reagan (CVN 76)
USS George H.W. Bush (CVN 77)

중기형의 경우 아일랜드에 추가적인 신형 전자장비의 장착에 따라 아일랜드 상부의 마스트가 약간 전방으로 이동 배치되고 함의 측면에 대한 경사설계가 이루어졌으며, 이외에도 함의 피격시를 대비한 발전된 데미지 컨트롤 시스탬과 방호력이 강화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전 세계 최초로 취역당시부터 만재배수량 10만톤을 돌파하는 함정(102,000t)으로 기록됩니다.

후기형에 와서는 아일랜드와 후방 레이더 마스트가 통합되어 전체적으로 대형화된 신형 아일랜드가 장착되었으며, 어레스팅 와이어의 갯수가 5개에서 4개로 줄어들었다는 점입니다. 이외에도 원자로의 연료수명주기가 초기형의 13년에서 26년으로 2배 증가하였습니다. 아울러 만재배수량 또한 104,000t으로 증가합니다.

자위용 무장 부문의 경우 중기형(및 현대화개량이후의 초기형 일부)들이 Mk.29 Sea Sparrow/ESSM 발사기 2기, RIM-116 RAM 발사기 2기, Mk.15 Phalanx CIWS 2기 내지 3기씩을 모두 장착, 초기형들에 비해 더 많은 자체 방어무장을 장착하는데 비해 후기형에 와서는 초기형 2척(개장이후)이 그러하듯 Mk.29 Sea Sparrow/ESSM 발사기 2기와 RIM-116 RAM 발사기 2기만 장착, 다시 원래대로 회귀하게 됩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첫번쨰 사진은 맨 앞에 일본의 무라사메급(유다찌)과 그 뒤로 싱가롤의 포미다블급, 인도의 라줍트급 구축함, 미국의 알레이벅급이 차례로 폼을 잡으며 항진하는 모습입니다.
저 맨 앞에 우리 KDX-2가 있었더라면 정말 멋있었을텐데... 아쉽습니다.
우리도 이제 좋은 배들이 있어 저런데 끼어도 기 안죽는데... 안끼는건지...끼지 못하는건지...

그다음은 호주의 올리버하자드페리급 프리깃과 인도 미국의 군함들..

마지막은 인도의 라줍트급 구축함 독사진. 이런걸 가지고도 이런 훈련에 끼는데 우리는?
***라줍트급 구축함****
Standard - 3950
Full - 4950 - 4974  
Length 146.5 m  
Beam 15.8  
Draft 4.8  
Speed 35 kts  
Armament 4 x SSN-N 2D Styx SSM
2 x SA-N-1 Goa SAM twin launchers
2 x 76 mm twin forward
8 x 30 mm (4 twin) AA
5 x 533 mm torpedoe tubes (quin)

Aircraft 1 x Ka-25 or Ka-28  
Crew 35 Officers
285 Enlisted  

우리 KDX-2보다는 약간 작은 군함이군요. 인도는 현재 이 클래스의 구축함이 5척 있습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키티호크를 호위하고 있는 LA급 원잠  Chicago (SSN 721)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노르웨이 이지스 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worldnavy.info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이 '21세기형 핵잠수함'으로 불리는 최신예 Virginia 급 공격용 핵잠수함 세 척을 2009년까지 태평양 지역에 집중 배치한다고 AP 통신이 최근 보도했다. 배치가 결정된 함정들은 USS Hawaii (SSN-776)함, USS Texas (SSN-775)함, USS North Carolina (SSN-777) 함들로 태평양 사령부 산하 진주만 기지에 추가 배치됩니다.

2005년 10월 처음 실전 배치된 이 핵추진 잠수함은 미 공군의 F-22 랩터 전투기에 비견될 정도의 최신예 무기체계다. 최장 3개월간 수중 작전을 벌일 수 있는 Virginia 급 핵추진 잠수함은 어뢰로 적 함선을 공격하는 것은 물론, 적 해안에 은밀히 접근해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로 지상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다. 네이비실을 비롯한 적의 배후를 타격할 특공부대와 무인잠수정을 수송할 수 있어 특수전과 대테러전에도 동원할 수 있다. 가격이 23억 달러(약 2조1000억원)에 이른다.

미 해군은Virginia 급외에도 대서양에 배치 중인 핵잠수함 4척을 2010년까지 태평양함대 산하 진주만 기지로 재배치할 방침이다. 그럴 경우 태평양함대는 미 해군 핵잠수함 전력의 60%인 18척을 거느리게 된다. 현재 태평양과 대서양의 핵잠수함 전력 비율은 50 대 50이다. 미 해군이 전통적인 텃밭인 대서양보다 한반도와 중국.대만이 속한 태평양 지역을 더욱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략 기조를 바꾼 것이다.

AP 통신에 따르면 최신예 Virginia 급 핵잠수함의 태평양 추가 배치는 군사강국으로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한반도와 대만 등의 분쟁 가능성에 대비해 태평양 지역에 더 많은 군함과 전투기를 배치하려는 미군의 정책과 맞물린 것이기도 하다.
실제로 중국은 Virginia 급과 맞먹는 배수량 8000t짜리 진(晋)급 핵잠수함 5척을 운용할 계획이며, 이미 한 척은 실전 배치를 준비 중이다. 이 잠수함은 사거리 8000㎞의 핵탄도미사일 쥐랑(巨浪) 2호를 최대 16기까지 탑재할 수 있다.
하와이 출신인 대니얼 이노우에(민주) 상원의원은 "미 해군이 태평양 지역의 전략적 가치를 고려해 최근 배치한 Hawaii (SSN-776)함에 이어 Texas (SSN-775)함, North Carolina (SSN-777) 함을 태평양 사령부 산하 진주만 기지에 추가 배치키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미 해군은 현재 USS Virginia (SSN-774)함을 비롯한 세 척의 동급 핵잠수함을 실전 배치 중이며, 4번 함인 USS North Carolina (SSN-777) 함은 내년 봄 취역할 예정이다. 세 척의 태평양 배치가 이뤄지면 대서양에는 당분간 USS Virginia (SSN-774)함 1척만 남는다. 또 Virginia급 핵잠수함 5대를 추가 주문해 2013년까지 추가 배치할 계획이다.

◆Virginia급=미국 해군이 2005년 10월 처음 실전 배치한 최신예 Virginia함과 동급의 공격용 핵잠수함을 가리킨다. 핵미사일 공격용인 Seawol급.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보다 폭넓은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순항 미사일 발사가 주 임무다.

Virginia급 함내역
Virginia (SSN-774), 취역운영중
Texas (SSN-775), 취역운영중
Hawaii (SSN-776), 취역운영중
North Carolina (SSN-777), 2007년 인도 예정으로 첫번째 Block 혹은 "Flight"급 최종함.
New Hampshire (SSN-778) 2008년 인도예정
New Mexico (SSN-779) 2011년 인도예정
SSN-780 2005년 주문, 2011년 인도예상
SSN-781 2006년 주문, 2013년 인도예상
SSN-782 2006년 주문, 2013년 인도예상
SSN-783 2008년 주문 예정, 두번째 Block 혹은 "Flight"급 마지막함.
SSN-784 부터 SSN-791 함은 세번쩨 Block 혹은 "Flight" 로 2009년부터 건조 예상

함제원
건조사: GD Electric Boat and Northrop Grumman Newport News
길이: 377 ft (114.91 m)
함폭: 34 ft (10.36 m)
배수량: 7,800 tons
적재량: 40 weapons, special operations forces, unmanned undersea vehicles, Advanced SEAL Delivery System (ASDS)
추진기관: S9G reactor
최대잠항심도: greater than 800 ft (255 m)
최대속도: 25+ knots
건조비용: 약 US$1.65 billion (FY95 달러기준, 30척을 매년 2척씩 건조할 경우)
실제건조비용: 2005년 기준으로 약 $2.3 billion
승조원 : 부사관과 수병120명과 장교 14명
무장 : UGM-109 Tactical Tomahawk, VLS tubes, Mark 48 torpedoes (ADCAP), four torpedo tubes, 개량형 이동식 기뢰 운용가능

사진은 Virginia급 일번함 USS Virginia (SSN-774) 호가 2003년 건조과정부터 2003년 세례식, 2004년에 실시된 Alpha, Bravo 시험운항 중인 모습및 2004년 10월 취역식, 그리고 2007년 미해군에서 운용중인 모습까지입니다,




출처: 보배드림.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페르시아만에 배치된 항모 USS Enterprise (CVN 65)와 강습상륙항모 USS Kearsarge (LHD 3) USS Bonhomme Richard (LHD 6)로 이루어진 함대의 위용입니다.

마지막 사진은 지난 8월 중순 페르시아만으로 항진하는 항공모함 USS Enterprise (CVN 65) 모습입니다.




출처: 보배드림
* 김훈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7-12-23 00:09)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