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9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0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프랑스해군의 Aérospatiale SA 321 Super Frelon 대형헬기


Aérospatiale SA 321 Super Frelon은 다목적 중수송헬기로 프랑스 Sud Aviation와 Sikorsky사가 협력하여 프랑스군 사양으로 개발했으나 채용되지는 않았던 SA 3200 Frelon을 바탕으로 Aérospatiale사가 개발하였습니다.
이 헬기는 중국에서 Z-8이라는 이름으로 면허생산하여 중국육군과 공군에서 다량 사용중입니다. "Frelon"이란 Hornet이라는 의미입니다.

프랑스해군이 도입한 다용도형은 SA 321G라고 하며 대잠초계형으로 침수형 소나, 어뢰, 기타 대잠전 장비를 장착합니다. 또한 해군을 위한 수색구난용의 특수형식도 있습니다.
아르헨티나는 이스라엘로부터 여러대의 SA 321을 인도받았고 시리아, 이라크, 리바이, 남아공등도 인도받았습니다, 이르헨티나군 사양은 이스라엘이 자국 사정에 맞게 개조한 General Electric GE T58 엔진을 장착한 그대로 도입하였고 남아공형은 Super Frelon형이 갖는 완전 수륙양용 능력이 없습니다.

Aerospatiale SA 321G Super Frelon (Super Hornet))
기본 제원
Base Series Designation: Aerospatiale SA 321 Super Frelon (Super Hornet)
Classification Type: Multi-Purpose Utility Helicopter
Contractor: Sud Aviation - France / Sikorsky - USA - View All
Country of Origin: France
Initial Year of Service: 1964
Crew / Passengers: 3
Production Total: 99* - View Totals Page
Crew: 5
Capacity: 27 passengers or 15 stretchers

헬기제원:
Length: 23.03 m (75 ft 6.7 in)
Rotor diameter: 18.90 m (62 ft)
Height: 6.66 m (22 ft 2.1 in)
Disc area: 1,122 m² (12,080 ft²)
Empty weight: 6,863 kg (15,130 lb)
Max takeoff weight: 13,000 kg (28,660 lb)

성능
Engine(s): 3 x Turbomecha Turmo IIIC turboshafts driving a six-blade main rotor and a five-blade tail rotor generating 1,475shp to 1,630shp. - Compare Stats
Max Speed: 154 mph | 248 km/h | 134 kts
Max Range: 634 miles | 1,020 km
Service Ceiling: 10,167 ft | 3,099 m | 1.9 miles
Climb Rate: 1,214 ft/min (370 m/min)

무장:
External Hardpoints: 2
Armament: Mission-specific ordnance can include:
4 x Homing torpedoes
2 x AM 39 Exocet anti-ship missiles

각형식
SA 3200 Frelon : Prototype.
SA 321 : Pre-production aircraft. Four built.
SA 321G : Anti-submarine warfare version for the French Navy.
SA 321Ga : Utility and assault transport helicopter for the French Navy.
SA 321GM : Export version for Libya, fitted with an Omera ORB-32WAS radar.
SA 321H : Export version for Iraq, powered by three Turbomeca Turmo IIIE turboshaft engines, fitted with an Omera ORB-31D search radar, and armed with Exocet anti-ship missiles.
SA 321F : Commercial airline helicopter.
SA 321J : Commercial transport helicopter.
SA 321Ja : Improved version of the SA.321J.
SA 321K : Export version for Israel.
SA 321L : Export version for South Africa.
SA 321M : Search and rescue, utility transport helicopter for Libya.
Changhe Z-8 : Chinese built version.
Changhe Z-8A z: 중국육군 transport
Changhe Z-8F : Chinese built version with Pratt & Whitney Canada PT6B-67A turboshaft engines

도입국가
Military Operators
중국 육군과 공군 Jingdezhen (Z-8) 각형식
프랑스 공군
프링스 해군
이라크
이스라엘공군
리비아
남아공 공군
자이레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La Fayette급 (FL-3000 -"Frégate Légère de 3000 tonnes", "3000-tonnes light frigates"이라고도 함) 프리깃함은

프랑스 해군이 설계하고 프랑스·사우디 아라비아·싱가포르·중화민국 해군이 사용하는 프리깃함이다.
라파예트급 프리깃함은 스텔스에 신경을 쓴 군함으로 알려져 있으며,

모든 통제는 전산·자동화되어있다. 라파예트급 프리깃함은 또한 10톤의 헬리콥터 1대를 적재할 수 있다.
프랑스 해군의 경우, 1990년에 제 1번함의 건조를 시작하여 마지막 제 5번함이 2001년 취역하였다.
라파예트급의 이름은 프랑스의 군인이자 정치가였던 질베르 뒤 모티에 드 라파예트의 이름으로부터 지어졌다

프랑스 해군의 개발 요구

배경
1980년대 후반, 프랑스 해군은 냉전이후의 해군에 대해 검토를 하였다.

당시 프랑스는 넓은 배타적 경제 수역을 보유하였고, 이 지역에서의 작전이 가능한 군함이 필요했다.

당시 프랑스 해군이 보유하였던 Aviso급 코르벳함으로는 작전이 불가능했다.
전통적인 군함으로는 프랑스 해군의 요구를 충족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들은 경제적인 엔진과 경무장한 군함을 원했다.

당시 이탈리아에서는 카시오페아급 코르벳함과 미네르바급 코르벳함이 있었는데,

민간 사야오가 군사 사양을 잘 조화시켰다. 그 군함은 지중해 일대에서의 작전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프랑스 해군은 방대한 해외 영토와 배타적 경제수역의 방어를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코르벳 수준이 아닌 프리깃함이 필요했다.

프랑스 해군의 플로레알급 프리깃함을 참고로 하는것이었지만,

민수 사양과 제한된 무장, 중형 헬리콥터가 추가되었다.

또한 20노트 이상 순항하는것이 제한되었는데, 이는 낮은 사양의 엔진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또한 빠른 고무 보트가 실려 있는데, 이것은 플로레알급서 해병 중대의 투입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이다.
라파예트급은 인도양이나 지부티에서의 작전을 고려해서 설계되었다.

라파예트급이 실제로 프로젝트의 축소와 개편은 20척이었던 계획이 9척으로 삭감되었고,

C.70 급의 경험이 있었기에 가치가 있었기 때문이기에, 1980년대 DCN사는 스텔스 기능을 추가하는데 성공했다.
하여튼, 1992년 첫 군함이 건조되기 시작되어 2년뒤 최종 설계가 나왔고,

1994년에는 무기 시스템이 최종실험을 마쳤으며,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함체를 연구하기도 하였다.

라파예트급의 제 1번함 라파예트함은 1996년 취역하였다.

건조
상부구조는 가벼운 합금 및 위에 있는 무게를 감소하는 특수 플라스틱을 사용하였다.

이것은 불이 나도 불에 타지 않는다. 생활구역은은 장갑이고, 중요한 체계는많다.

함선에 승조한 승무원은 생물학전, 화학전과 핵전쟁으로부터 보호된다.
라파예트급은 11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공장에서 각각 제작되어 조선소에 2년동안 그것을 조립하여 건조를 완결하였다.
선체에는 상부구조로 바로 통하는 짧은 전면갑판과 함께 선체에 뚜렷한 각이 있다.

측면에는 10도로 기울어져있다. 닻은 총계로 끌어 넣어질 수 있는 있는 선체에 있다.

기동과 계류기구 장비가 설치되는 함교에는 평평한 갑판때문에 레이더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계되었다.
라파예트급은 2개의 마스트가 있다. 주 마스트에는 시라쿠스 위성 체계와 연결되는 장치가 있고,

부 마스티에는 제 2의 주 레이더가 있다.

수출형 도입국가

사우디 아라비아의 Al Riyadh (F3000S Sawari II) 급 다목적 대공프리깃
사우디 아라비아는 알 리야드 급이라는 이름으로 대공 능력이 강화된 라파예트급을 구입하였고, 4700톤이었다.
이 급에서는 아마린스사(DCN과 탈레스사의 합작회사)가

아스터 미사일의 무장은 DCN사가 제작한 슬레이어 발사대를 이용한다.

보유함 : HMS Al Riyadh (812) - 2002년 취역, HMS Makkah (814) - 2004년 취역, HMS Al Damman (816) - 2007년 취역,

싱가포르의 Formidable 급싱가포르 해군은 6척의 포미다블급이라는 이름으로 라파예트급을 구입하였다.

다만, 엑조세 미사일 대신 하푼 대함 미사일이 탑재되었다.
제 1번함 RSS Formidable함은 프랑스 DCN사에서 건조되었지만,

나머지 5척은 싱가포르에서 건조되었다.

보유함: Formidable (68), Intrepid (69), Steadfast (70), Tenacious (71), Stalwart (72), Supreme (73)

중화민국(타이완)의 Kang Ding 급중화민국(타이완)은 타이완 해협에서 활동하는

중화인민공화국 해군의 잠수함을 견제할 수단으로 라파예트급을 구입하였다.

6척을 구매하였으며, 1980년대 체결한 프랑스와의 협약으로 잠수함 견제와 지상 공격의 목적으로 설계하였다.

엑조세 미사일은 미국제 샤펠 미사일과 자체적으로 제작한 톈첸(天劍) II 미사일로 대체되었다.

몇몇 문제는 중화민국과 프랑스 담당자들이 조율하였다.
또한 중화민국 해군이 이 급을 구입할때 정치적인 부정부패 사건이 있었다.

프랑스의 전 외무장관은 50만 달러의 돈을 톰슨-CSF사(현재의 탈레스)가 줬다고 주장했다.

2007년 1월, 스위스 은행에 3400만 달러의 중화민국측의 비밀 계좌가 있었음이 밝혀졌다

보유함: Kang Ding (康定,FFG-1202), Si Ning (西寧,FFG-1203), Kun Ming (昆明,FFG-1205),Di Hua (迪化,FFG-1206),Wu Chang (武昌,FFG-1207), Chen De (承德,FFG-1208)


일반제원
배수량: 3600 톤(t)(만재)
3200 톤(t)(경하)
적재 용량: 연료 350톤, 등유 80 제곱미터(m³), 식수 60톤
전장: 125 (미터)m
선폭: 15.4m
흘수: 4.1m
추진: SEMT Pielstick 12PA6 V280 STC2 엔진 4기, 21000마력
속력: 최대 25 노트, 순항 15 노트
항속거리: 7000km(15노트), 9000km(12노트)
승조원: 장교 12명
부사관 68명
사병 61명

무장:
구경 100mm 함포 1문
구경 20mm 함포 2문
크로탈 미사일 발사대 1대
아스터 미사일 16개
엑조세 미사일 발사대 8대

탐지 장비:
DRBV 15C 시 타이어 3차원 레이더
DRBN 34 항법레이더
카스토르 2J 사격통제레이더

전자전:
다지 Mk.2 채프플레어 발사기 2기
AN-SLQ 25 닉시 예인 어뢰 기만기 탑재
ARBR 장치 탑재
함재기: 헬리콥터 1대
보트: 보트 2척
기타 정보: 스텔스 성능의 강화를 위해 스텔스 도료를 많이 사용히였음.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9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0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이탈리아 해군의 주세페 가리발디급 경항모 by 어둠의상인

개요
이탈리아 해군에서 헬기 운용을 주임무로 하였던 함정은 안드레아 도리아급 헬기 탑재 순양함이 최초였다.

1964년에 취역한 이 함정은 기준배수량이 5,000톤으로 순양함으로 부르기에는 약간 소형이었지만,

대잠 헬기 3대를 탑재하여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은 그 당시에는 획기적인 것으로 일본 해상자위대의 하루나급 헬기 탑재

구축함을 건조할 때에 상당한 참고가 되었다.

안드레아 도리아급 헬기 탑재 순양함의 뒤를 이어서 건조되었던 것이

바로 헬기 탑재 미사일 순양함인 비토리오 베네토함이다.

이 함정은 이전보다 성능이 현저히 강화되어 대잠 헬기 6대를 탑재할 수 있으며,

기준배수량도 7,500톤으로 대형화되었다. 그러나 두 함정은 전통갑판형의 항모형태의 선체가 아니라

 함교를 포함한 상부구조물이 선체중심에서 양현에 걸쳐있는 일반적인 수상함의 배치를 하고 있으며,

여러대의 헬기가 이착함할 수 있도록 상갑판의 후부가 뒤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기존의 헬기 순양함의 형태를 쉽게 바꾸지 않던 이탈리아 해군은 1985년에 주세페 가리발디함을 취역시켰다.

이 함정은 미 해군에서 “Plat top”으로 부르는 전통 비행갑판을 갖춘 함정으로

1990년대 중반 해리어기가 이탈리아해군에 실전배치될 때까지는 헬기만 탑재하는 대잠헬기항모였다.

현재는 VSTOL기를 운영하는 경항모로 분류된다.

주세페 가리발디함은 현재 이탈리아 해군이 보유한 유일한 항공모함으로 호위함들의 지원없이도

독립적으로 작전할 수 있도록 대함 미사일, 대공미사일, 함포, 소나, 어뢰 등을 갖추고 있다.

주세페 가리발디함은 이탈리아 함대의 기함으로 제노바의 Fincantieri 조선소에서 건조되었으며,

항공작전 능력뿐만 아니라, 대함/대공/대잠 작전 능력을 보유한 다목적 경항모로

평시에는 해양감시 및 재난구조 임무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사실 전시에 이러한 STOVL기를 운영하는 경항모로 어떤 것을 할 수 있는지 회의적인 시선이 많지만,

이탈리아와 스페인이 운영중인 경항모는 건조당시의 냉전시대에는 대잠헬기항모로 운영하여

 나토의 구성원으로 각자 맡은 해역에서 대잠전을 수행하는 것이 주임무였다.

게다가 주세페 가리발디함은 2001년 11월에 아프가니스탄에서 벌어진 대테러작전에 참가하기 위하여

아라비아해로 파견되어 4달간 작전을 수행하기도 했다. 비록 대테러작전을 수행하는데는

미국과 영국의 지원을 받아야 했기 때문에 독자적인 세력으로 참가한 것은 아니지만,

이탈리아가 대테러작전에서 일부 기여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탈리아의 두번째 항공모함인 콘티 데 카보우르함이 2008년에 취역하게되면,

주세페 가리발디함은 수명중 현대화 개량(Mid Life Upgrade)을 실시할 예정이다.

구조
주세페 가리발디함의 만재 배수량은 13,850톤으로 같은 경항모인 영국의 인빈서블급이 20,600톤이고,

스페인의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함이 17,188톤인 것에 비해서도 소형이지만, 함수의 완만한 6.5도 스키점프대에 의해 VSTOL기의 운용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해리어기 16기 또는 SH-3D 시킹 헬기 18대를 운용한다.

스키점프대의 각도는 주세페 가리발디함이 6.5도인 것을 제외하면 현재 대부분의 경항모는 12도 정도이다.

영국 인빈서블함도 처음에는 스키점프대의 각도가 7도였으나 개장시 12도로 변경되었다.

110m×15m×6m 크기의 항공기 격납고에는 SH-3D 시킹 헬기 12대 또는 해리어기 10대를 격납할 수 있다.

또한 주세페 가리발디함은 13개의 수밀 격벽을 보유한 6개의 갑판과, 2대의 항공기용 엘레베이터,

상륙작전 또는 재해구호를 위해 250명을 수송할 수 있는 MEN급 주정 2척을 탑재할 수 있고, 함대 기함설비 및

수용능력을 갖추고 있다. 전장 180.2m, 전폭 33.4m, 흘수 6.7m의 컴팩트한 디자인은 필수적인 지휘 및 통제 능력과

항공기 운영 능력, 그리고 대함/대공 미사일 무장 체계를 운영하기 위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최적화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 함정에 탑승하는 승조원은 550명이고, 추가적으로 230명의 항공 승무원이 탑승하게 된다.

항공기 운용 능력
주세페 가리발디함은 174m×30.5m의 비행갑판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 전부의 15m는 6.5도 스키점프대로 이루어져 있다.

이탈리아 해군은 현재 항모 주세페 가리발디함에 SH-3D 시킹 헬기와 AB212 헬기 18기나 또는 AV-8B Plus 

해리어 Ⅱ Plus 16기를 탑재할 수 있으며 헬기와 해리어기를 혼성 편성하여 탑재할 수도 있다.

이탈리아 해군이 보유중인 Agusta/Sikorsky사의 SH-3D 시킹 헬기는 AgustaWestland사의 EH-101 멀린으로의 대체가

결정되어있고 Agusta/Bell사의 AB212 헬기는 NH-90 헬기로 대체가 결정되어 있다.

주세페 가리발디함에는 일반적으로 9대 정도의 해리어기를 탑재하고 있지만,

이탈리아가 보유중인 해리어기는 단좌형 AV-8B Plus가 15대, 복좌형 TAV-8B가 2대로 모두 17대가 남아 있으며,

이중 6~8대를 여유분으로 콘테 디 카보우르함에 사용할 예정이다.

이탈리아 해군은 AV-8B 해리어 II Plus의 대체로 F-35B JSF(Joint Strike Fighter) STOVL기를 도입할 예정이다.

 F-35B JSF 는 2015년에서 2018년 사이에 모두 20기~26기를 도입할 예정이며

그때까지는 주세페 가리발디함과 콘테 디 카보우르 AV-8B 해리어 II Plus를 운영하게 된다.

한편 2003년 3월에는 스페인 남쪽의 Cadiz만에서 미국의 이라크전에 대비하는 Gruflex 훈련이 실시되었다.

이 훈련에서는 특이하게도 이탈리아의 AV-8B 해리어 II Plus기가 스페인의 경항모인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함에서

훈련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이탈리아 항공기가 스페인 항공모함을 이용해 훈련하는 것은 처음 있는 일로서,

이것은 이탈리아 경항모인 주세페 가리발디함이 정비 중이어서 이라크전에 대비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제원
건조 Fincantieri 조선소
만재배수량 : 13,850톤
크기 180.2m x 33.4m x 6.7m(길이/폭/흘수선)
승조원 780명
추진 COGAG 방식 LM2500 가스 터빈 4기
2축 추진
속도 최대 30노트, 순항 20노트
항속거리 7,000nm(순항시)

무장
오토멜리라 40mm 70구경장 2연장 함포 3문
아스피드 대공 미사일(알바트로스 8연장 발사기 2기)
오토매트 대함 미사일(2연장 발사기 2기)
MK 46/A290 경어뢰(324mm 3연장 어뢰튜브 2문)

대응장비
SLQ-732 ECM 전자전 체계
SLQ-25 닉시/SLAT 대어뢰 체계
SCLAR 채프/플레어 발사기

지휘 무장 통제 IPN 20(SADOC 3)

레이더
대공 탐색 : SPS-768(RAN 3L) 레이더 - D 밴드, SPS-52C 레이더 – E밴드
대수상 : SPS-774 레이더 - E/F 밴드
표적 지정 : SPS-702 레이더 - I 밴드
항법 : SPN-749 레이더 - I 밴드
항공기 통제 : SPN-728 - I 밴드

소나 DE 1160 함수소나

항공기
AV-8B 해리어 9대(차후 JSF 운영 가능)
SH-3D 시킹, AB212 대잠 헬기(차후 EH-101 멀린, NH-90 헬기)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9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0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러시아해군의 Project 1155 Fregat (Frigate bird)급은 미국의 스푸루언스급 구축함처럼 대잠임무 전용함으로 개발되어 함수부분에 바우소나, 함미에 가변심도 소나를 장비하고 있고 KA-25 또는 KA-27, KA-32 등의 대잠헬기를 운용합니다
대잠능력에 주력해 대공능력이나 대함능력은 제한적인 수준이었지만 개량형 Udaloy2 급에서는 대함공격력을 강화하기 위해 소브레멘니급이 사용하는 것과 같은 SS-N-22 함대함미사일을 탑재합니다.
SA-N-9 Gauntlet 함대공미사일을 64셀의 수직발사기에 장비하지만 동시 대응능력은 2개의 목표로 제한되는 방공능력을 보유하므로 대잠임무는 우달로이급 구축함이, 대함 대공은 Sovremennyy급이 맡는 식으로 분담하며 러시아함대를 방어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1980년 11월 북해함대에 배치된 1번함 우달로이호를 시작으로 1999년까지 배치가 진행되었는데 칼리닌그라드의 얀타르조선소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세베르나야 베르피 등에서 건조되었습니다.
Sovremennyy급 구축함과 함께 러시아 해군의 주력 전투함으로 활동하고 있는데 만재배수량 8,900t의 대형 함정으로 기존 러시아 함정과 다른 새로운 디자인이 특징입니다.
함교가 커지고 함교 아래 양 옆에 SS-N-14 사이렉스 대잠미사일 발사관이 설치되었습니다.

같은 출력의 가스터빈 엔진 4개를 장착해 순항할 때는 2개를 사용하고, 고속항해를 할 때는 4개를 모두 사용하는 COGAG(Combination Gas and Gas) 방식의 추진기관을 이용 프로펠러 2개로 추진력을 얻으며 신형함의 경우 최대속도 34노트를 자랑합니다.

SS-N-14 대잠미사일 4연장발사관 2문과 VDS(Variable Depth Sonar:가변심도음파탐지기), RBU-6000 대잠로켓 12연장발사기, 533㎜ 어뢰 4연장발사관 2문, KA-25 또는 KA-32 대잠헬리콥터 2대 등 대잠무기를 장비하였다.
또 SS-N-22 선번(Sunburn) 초음속 함대함미사일 4연장발사기 2기, 8셀의 SA-N-9 건틀릿 단거리 대공미사일 수직발사기(64발 탑재), 100㎜ 또는 130㎜ 함포 2문, 6총신 30㎜ CIWS(근접방어무기체계) 4문 등의 무기를 장착하였습니다.

프로젝트 1155A에 의해 우달로이 I형이 12척, 프로젝트 1155.1의 Ⅱ형 1척 등 1980년부터 1999년까지 모두 13척이 건조되었다고 대부분 러시아 해군에 배치·운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화재를 겪은 뒤 1992년 3월 해체된 4번함 자하로프 제독호를 비롯해 1990년대 2~3척이 해체되었으며 두척은 예비용으로 보관되어 현재 운용중인 함정은 9척이라고 합니다.

-제원-
Udaloy I / Udaloy II
길이 : 163m 163~164m
만재 배수량 : 8,200~8,404톤 8,200~8,900톤
속도 : 29노트 30~34노트
승무원 : 220~249명 296명
무장 : SS-N-14 대함 미사일 8기 SS-N-22 대함 미사일 8기
SA-N-9 대공 미사일 64기 SA-N-9 대공 미사일 64기
100mm 단장포 2문 130mm 2연장포 1문
AK-630 CIWS 4문 CADS-N-1 CIWS 2문

건조함 내역
Udaloy I 급
Udaloy (1980) - Removed from service, scrapped at Murmansk in 2002
Vice-Admiral Kulakov (1980) - In overhaul since 1990 and did not return to service
Marshal Vasil'yevsky (BPK 499) (1982)
Admiral Zakharov (1982) - Caught fire in 1992 and scrapped
Admiral Spiridonov (1983) - Removed from service
Admiral Tributs (1983)- Russian Pacific Fleet, caught fire in 1991, but returned to service
Marshal Shaposhnikov (BPK 543) (1985) - Russian Pacific Fleet
Severomorsk (1985) - Northern Fleet
Admiral Levchenko (BPK 605) (1987) - Northern Fleet
Admiral Vinogradov (BPK 405) (1987) - Russian Pacific Fleet
Admiral Kharlamov (1988) - Northern Fleet, in reserve, 2006 (see above)
Admiral Panteleyev (BPK 548) (1990) - Russian Pacific Fleet

Udaloy II급
Admiral Chabanenko (BPK 437) (1995) - Northern Fleet
Admiral Basisty (scrapped during construction)
Admiral Kucherov (never laid down)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4월 3일 Northumbrian Quay, North Shields인근에 도착한

HMS Northumberland(F238)호와 Devonport 항에 도착한 HMS Kent (F78)호와

Plymouth Sound 인근을 항해하는 HMS Iron Duke (F234)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50톤급에 수직발사 SAM을 장비한 핀란드 Hamina급 고속미사일정


Hamina급 미사일정 (핀란드어로 Hamina-luokan ohjusvene) 는 Rauma 급에 이어 배치된 신형 고속미사일정으로 Rauma 2000 이라고도 불립니다. 일반적인 "fast attack craft"이지만 시대적 환경에 맞춰 핀란드해군은 "fast patrol craft" 혹은 "fast surface combatant"으로 부릅니다..

Hamina 급은 aluminium/composite 구조로 제한적인 Stealth기능을 가져 기뢰에 대한 방어력과 레이더탐지 가능성이 감소된 설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기적으로 통ㅅ합된 전투관리시스템과 전자전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개량된 신형 MTO-85M 대함미사일과 Umkhonto 함대공미사일을 장착하여 다양한 전투능력을 보유합니다.
4척이 완료되었으며 Squadron 2000 (핀란드어 Laivue 2000)로 편성되어 있는데 핀란드해군은 많은 함정을 건조하려고 했지만 핀란드해군의 임무 변경으로 4척만으로 종료되며 마지막 함정이 2006년 여름에 인도됩니다. 한편 Tuuli 급 ACV도 4척으로 종료됩니다.
이들 함단은 2008년부터 본격적인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며 수상과 대공초계임무와 대공방어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제원
형식 : Fast Attack Craft - Missile
배수량 : 250 tons
길이 : 51 m
함폭 : 8.5 m
홀수 : 1.7 m
추진기관 : 2 * MTU 16V 538 TB93 diesels; 6600 kW
추진방법 : 2 * Kamewa 90SII waterjets
속도 : 30+ knots
항속거리 : 500 miles
무장:
초기형은 Bofors 40 mm/70 Sea Trinity 함을 장착하였으나 Bofors 57 mm/70 SAK Mk3 함포가 Hanko 와 Tornio에 장착되며 Hamina도 환장예정
NSV 12,7 mm MGs 기관총 2문
Denel Umkhonto-IR VLS SAM 8연장 발사기
Saab RBS-15 Mk3 SSM 발사기 4기
(Sako 2연장 23 mm/87 (ZU-23-2 개량형) 대공포 미사일 대신 장착 가능)
Saab Elma LLS-920 9-tube ASW 박격포 4기
Depth charges 혹은 기뢰투하용 레일 1기 (Sea Mine 2000)
대응장비 :
Decoys: Philax chaff and IR flares
Smoke system: Lacroix ATOS
EMS: Thales Matilda radar warning system
전자장비:
Rheinmetall MASS (Multi Ammunition Soft-kill System)
Saab Ceros-200 FCS
EADS TRS-3D/16-ES multimode acquisition 3D radar
EADS ANCS 2000 Combat Management System
EADS MSSR 2000 I IFF
SAGEM EOMS
Simrad Subsea Toadfish sonar
Finnyards Sonac/PTA towed array sonar
승조원 : 26
건조사 : Aker Finnyards Rauma, Finland

보유함 내역과 건조조선소및 취역시기
Hamina 80 (ex-74) Aker Finnyards August 24, 1998
Tornio 81 Aker Finnyards May 12, 2003
Hanko 82 Aker Finnyards June 22, 2005
Pori 83 Aker Finnyards June 19, 2006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벨기에 해군의 F931 Louise-Marie호는 네덜란드로부터 인수한 Karel Doorman급 프리깃 2번함으로

취역식을 위해 4월 4일 Antwerp항을 방문하였다가 출항하고 있습니다.
이 함은 2005년 12월 22일 1번함인 F930 Leopold I함과 함께 네덜란드로부터 구입한

프리깃함으로 네덜란드해군에서 HNLMS Willem van der Zaan (F829)함이였습니다.
사진을 보면 아직 벨기에 해군에게 인도전이라 네덜란드 국기를 게양하고 시험항해중입니다.

Karel Doorman급 다목적 프리깃함은 "M-fregat" 급이라고도 알려진 함으로

 2005년 7월 네덜란드해군이 퇴역시키기로 결정한 6척의 M급 프리깃중에서 2척을 도입하여

Wielingen급 (Wielingen와 Westdiep) 함을 대체하기로 결정합니다.
네덜란드는 2005년 12월 Karel Doorman과 Willem van der Zaan함을 매각키로 결정하였고

벨기에해군은 각각 Leopold I (F930) 와 Louise-Marie (F931)로 명명합니다.
2006년 네덜란드해군은 운영을 중지함과 동시에 수리를 시작하였으며 2007년 3월 Zeebrugge Naval Base기지에서

벨기에 Queen Fabiola에 의해 F930 Leopold I호에 대한 세례식을 거행하였습니다.
함명은 벨기에 첫 왕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으며

Willem van der Zaan는 벨기에 해군에서 Louise-Marie라는 이름으로 오는 3월에 취역식을 거행합니다.

네덜란드 해군에서 HNLMS Willem van der Zaan (F829) 이력
함명기원: Schout-bij-nacht Willem van der Zaan
건조: KMS, Flushing (Netherlands)
건조시작: 6 November 1985
진수: 21 January 1989
네덜란드해군 취역: 28 November 1991
네덜란드해군 퇴역: 25 August 2006

벨기에 해군에서 F931 Louise-Marie 이력
함명기원: Queen Louise-Marie of Belgium
취득: 2005년 12월 22일 구입
상태: 2008년 4월 벨기에해군 Component 에서 취역식 예정

일반제원
함형식: Karel Doorman class frigate
배수량: 2,800 tonnes
길이: 122.325 m
함폭: 14.37 m
홀수: 6.2 m
속도: 30 knots
승조원: 15 officers, 70 NCO's, 60 sailors

(4월 13일과 14일 사진 추가, Antwerp항에 정박중인 F931 Louise Marie)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작전배치를 위해 항해중인 Abraham Lincoln (CVN 72) 항모


Nimitz급 5번함인 미해군 항공모함 USS Abraham Lincoln (CVN 72)호가 서태평양을 항진중입니다.
Lincoln 항모와 탑재된 Carrier Air Wing (CAW-2) 및 Carrier Strike Group (CSG) 9는 7개월간 5함대의 작전지역에 배치되어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CVW-2 비행대 내역
Strike Fighter Squadron 2
Strike Fighter Squadron 34
Strike Fighter Squadron 137
Strike Fighter Squadron 151
Carrier Airborne Early Warning Squadron 116
Electronic Attack Squadron 131
Fleet Logistics Support Squadron 30 Det. 2
Helicopter Anti-submarine Squadron 2
Helicopter Anti-submarine (Light) Squadron 47

USS Abraham Lincoln (CVN 72)호 이력
Ordered: 27 December 1982
Laid down: 3 November 1984
Launched: 13 February 1988
Commissioned: 11 November 1989
Status: Active in service as of 2008
Homeport: NS Everett, Washington

(4월 15일 사진 추가)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008년 3월 30일 에스토니아를 방문하여 Tallinn항에 정박중인 모습
스페인의 제3번 이지스함 Blas De Lezo F-103함은 2005년 9월 30일 미국 근해에서 CSSQT라 불리우는

전투능력테스트를 훌륭하게 수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Blas De Lezo F-103함은 SM-2 대공 미사일 5기를 발사해 모두 목표물을 명중시킴으써

다시 한 번 이지스(Aegis) 전투체계의 우수성을 입증했다고 합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터키헤군 보유 209급 잠수함
4척 Gur 급 Type 209T2/1400 잠수함 : TCG GUR - 2003년, TCG CANAKKALE - 2003년,
TCG BURAKRE?S - 2006년,  TCG 1. Inonu - 2007년
4척 Preveze 급 Type 209T1/1400 잠수함 : TCG PREVEZE - 1989년,  TCG SAKARYA - 1995년,
TCG 18 MART- 1998년, TCG ANAFARTALAR - 1999년
6척 Atılay 급 Type 209/1200 잠수함 : TCG ATILAY - 1976년, TCG SALDIRAY - 1977년,
TCG BATIRAY - 1978년,  TCG YILDIRAY - 1981년, TCG DO?ANAY -1985년,
TCG DOLUNAY - 1989년
6척 AIP Air-independent propulsionType214 잠수함 (2006년 12월 22일 6척 발주)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터키해군은  Atılay급 Type 209/1200 잠수함을 확대 개량한 TCG PREVEZE호의 건조에 착수한 것은 1989년 9월로 1994년 7월말 취역합니다. 이어 같은 날 두번째 잠수함 TCG SAKARYA도 건조에 착수하야 1995년 12월 취역하였습니다.
 
1993년 450백만 마르크 예산으로 3번째 동급 잠수함을 도입하기로 계약합니다. 1994년 7월말부터 시작된 이 잠수함 건조 계획은 1994년 시작되었는데 사진의 TCG 18 MART호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터키해군은 1915년 3월 18일 Dardanelles 해역에서 강력한 동맹군을 방어하였는데 이를 기념하기 위해 3번함에 "3월 18일"호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이 함정은 1997년 진수되고 1998년 7월 말 취역하였습니다.
마지막 4번함은 TCG ANAFARTALAR 호는 1995년 건조에 착수하여 1998년 진수되고 1999년 취역하였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Preveze급 Type 209T1/1400 잠수함 제원
건조국가: Turkey.
건조사: Golcuk, Kocaeli, Turkey.
진수: 28 July 1994.
배수량 ( tons ): 수상 1.454, 수중 1.586.
선체치수 ( metres ): 62 x 6,2 x 5,5
추진기관: diesel-electric: 4 x MTU 12V 396 SB83 디젤엔진 출력 3.800 hp), 4 alternators, 1 x Siemens 전기모터 출력 4.000 hp.
속도 ( knots ): 수상 15 /슈노클 이용 수중; 21,5
항속거리 ( miles ): 수상 8.200 /8 knots, 잠수시 400/ 4 knots.
승조원: 30명.
무장
미사일: McDonnell Douglas Sub Harpoon.
어뢰: 8 x 533mm 어뢰발사관을 이용 GEC/Marconi Tigerfish Mk 24 Mod 2 어뢰 혹은 STN Atlas DM2A4 어뢰 장착발사, 미사일과 어뢰 총 14기 탑재.
Radar: Surface: ?, I band.
Sonar: Atlas Elektronik CSU83. TAS-3 towed array
Countermeasures: ESM: Racal Porpoise ( radar warning ).
Callsign: TBCZ ( )
최대잠항심도: 280m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