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방역 태만으로 중대사건"…군 서열 1위 리병철 해임된 듯 [MBN 종합뉴스]

[중앙일보] 입력 2021.07.14 05:00

정용수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달 29일 정치국 확대회의(8기 2차)에서 “간부들의 직무태만”을 질책했다. 북한 매체들이 김 위원장의 이같은 '분노'를 그대로 공개했다. 직후 이병철 당 정치국 상임위원이 해임됐다.

간부 질책후 이병철 상임위원 해임
"비행장 찾았다가 시설 미흡 확인"
중국 지원 대비해 각종 설비 건설
방역 시설 늦어져 시간 걸릴 듯

정부 당국자는 13일 김 위원장의 질책과 이에 따른 이병철 해임의 배경은 의주 비행장(군공항)에 있는 방역 설비 미흡이라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김 위원장이 (정치국 확대회의가 열리기 전인) 지난달 하순 (평북) 의주 비행장을 방문했다”며 “북한이 중국과 교역 및 지원 물자의 야적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의주 비행장에 각종 시설을 건설중인데, 방역시설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크게 질책한 것으로 안다”고 귀띔했다.

북중 국경 군사공항인 의주비행장. 지난 3월 촬영한 사진으로 활주로 양옆이 공사장으로 변해 있다. 기존에 격납고로 사용하던 곳엔 철로가 들어섰다. [구글어스 캡처]

 

2019년 12월 촬영 구글어스가 촬영한 북중 국경 군사공항인 의주비행장. 활주로 양 옆의 공간이 비어있다. [구글어스 캡처]


북한은 코로나19가 시작된 지난해 1월 국경을 봉쇄했고, 이로 인해 식량과 물자 부족을 겪고 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3월 김 위원장에 친서를 보내 “두 나라 인민들에게 보다 훌륭한 생활을 마련해줄 용의가 있다”며 대북 지원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북한이 제한적인 국경 개방을 통해 중국 등에서 지원받은 물품을 의주 공군 기지에 모아 놓고 ‘확실한’ 방역을 한 뒤 반출하려던 계획을 세운 것으로 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의주 비행장은 북ㆍ중 국경에서 직선거리 2.5㎞, 국경 역인 신의주역에서 8㎞가량 떨어진 국경공항이다.


구글 인공위성 사진(지난 3월 17일 촬영)을 통해 확인한 결과 북한은 의주 비행장의 활주로 양 옆에 다양한 크기의 간이 건물을 지었다. 또 기존 공군기의 격납고로 사용하던 시설을 허물고 철로를 연결했다. 지난해 5월 촬영한 사진엔 없었던 건물이 활주로 옆 공터에 들어서거나 기초공사가 진행 중이고, 공군기 2~3대씩 서 있던 격납고엔 철길도 생겼다.

북중 국경 군사공항인 의주비행장. 지난 3월 촬영한 사진으로 활주로 양옆이 공사장으로 변해 있다. 기존에 격납고로 사용하던 곳엔 철로가 들어섰다. [구글어스 캡처]

 

 

2019년 12월 촬영 구글어스가 촬영한 북중 국경 공군기지인 의주비행장. 격납고엔 철로가 아니라 비행기 모습이 보인다. . [구글어스 캡처]

하지만 김 위원장이 공사현장을 직접 찾아 확인한 결과 건물을 지었지만 방역 설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것을 확인했고, 이에 따라 외부 ‘수혈’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자 책임자인 이병철(중앙군사위 부위원장)과 박정천 총참모장에게 책임을 물은 것으로 당국은 보고 있다. 북한이 이병철을 해임하면서 "나라의 경제사업과 인민생활 안정에 엄중한 저해를 줬다"고 지적한 것도 이런 분석을 뒷받침한다.


이병철 등이 설비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데는 국제 사회의 대북제재 등으로 인해 해외 장비 수입이 여의치 않았기 때문이라는 첩보가 있다고 한다. 북한이 11일과 12일 연일 각종 매체를 통해 미국의 ‘인도주의’를 비판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정치국 확대회의 직후 “(책임간부들이) 보신주의와 소극성에 사로잡혀 당의 전략적 구상실현을 저애했다”거나 “중대사건 발생”이라고 했을 뿐 이들의 해임 이유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이때문에 북한 지역에 코로나 19가 발생했다거나 김 위원장이 식량난 해소 차원에서 주민들에게 제공하려던 군량미 부족 등 다양한 관측이 나왔다. 이번 '의주 비행장 공사'는 북한이 중국으로부터의 지원을 받기 위해 내부 준비에 들어갔음을 보여준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아스트라' 안 받는 북한, "미, 인도적 지원 정치 이용 말라"

[중앙일보] 입력 2021.07.12 11:33

정용수 기자

 

북한 외무성이 미국을 겨냥해 인도적 지원을 정치적으로 이용하지 말라고 비판했다.

외무성 직원 개인 논평
식량ㆍ백신 지원 때
조건 달지 말라 취지

외무성은 11일 자로 홈페이지에 강현철 국제경제ㆍ기술교류촉진협회 상급연구사 명의의 글을 싣고 “많은 나라는 미국의 ‘원조’와 ‘인도주의 지원’에 많은 기대를 걸다가 쓰디쓴 맛을 봤다”며 “인도주의 지원은 그 어떤 경우에도 불순한 정치적 목적에 악용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북한 외무성이 11일 상급연구사 강현철을 내세워 미국이 인도적 지원을 정치적 목적에 활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외무성 홈페이지 캡처]


강 연구사는 코로나19 팬데믹과 이로 인한 전 세계적인 경제난을 언급하면서도 미국의 인도적 지원을 “인류의 이러한 불행과 고통을 불순한 정치적 목적을 실현하려는데 악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인도주의 지원이란 다른 나라들을 정치ㆍ경제적으로 예속하기 위한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며 미국 대외원조법과 상호안전보장법 조항을 나열하고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팔레스타인, 캄보디아 등 미국이 경제적 지원을 중단ㆍ취소했던 전례를 들었다.

북한의 이런 주장은 지난달 15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식량 부족 고백, 국제사회의 대북 코로나19 백신 타진 등이 진행되는 가운데 나왔다. 북한이 개인 명의의 논평 형식으로 입장을 알리긴 했지만, 식량이나 코로나19 백신 지원은 조건을 달지 말라는 의사를 우회 주장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북한은 전문가들의 견해라며 “국제사회는 미국이 ‘인도주의 지원’을 거론하기에 앞서 악성 전염병에 대한 부실한 대응으로 수십만 명의 사망자를 초래한 인도주의적 참사의 후과를 가시고, 총기범죄ㆍ인종차별 등 온갖 사회악을 쓸어버리기 위한 국제적인 지원부터 받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하면서 조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북한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의 부작용을 우려해 코백스(COVAX)에 다른 종류의 백신 지원 가능성을 타진했으며, 중국산 백신에 대해선 신뢰성 문제로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백신 공동 구매ㆍ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는 지난 3월 북한에 백신 199만 2000회분을 배정하고 이 가운데 백신 170만 4000회분을 지난 5월까지 전달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지금까지 공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아스트라' 안 받는 북한, "미, 인도적 지원 정치 이용 말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