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F. 애덤스급 미사일 구축함
항모 기동함대의 대공방어를 책임지는 미 해군 최초의 미사일 구축함
개발의 역사
2차 대전을 거치면서 구축함(DD, Destroyer)은 해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다. 사실 2차 대전 이전까지 해전의 주역은 전함이었고 구축함은 함대의 전방에서 첨병의 역할을 하거나 포격전이 벌어질 때 빠르게 적함에 접근하여 어뢰공격을 가하는 역할을 맡고 있었다. 전함이나 순양함과 달리 방어용 장갑판도 없이 빠르게 기동하는 구축함은 오늘날 고속정과 비슷한 존재였다. 그러나 2차 대전 중에 전함이나 순양함보다 건조비용이 낮은 구축함은 대량으로 건조되어 실전에 투입되었다. 실전을 통해 구축함은 전통적인 대함 어뢰공격보다는 항모호위, 대잠, 함대방공, 기뢰부설, 고속수송 등 다양한 임무를 맡았다.
1944년 10월에 필리핀 상륙에 앞서 벌어진 레이테 해전(Battle of Leyte Gulf)은 태평양 전쟁에서 가장 큰 해전이었다. 레이테 해전의 특징은 전통적인 해전에서 발전하여 항공기와 함정이 결합된 최대의 해전이라는데 있다. 동원 가능한 모든 전력을 투입한 일본 해군과의 해전에서 미 해군은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가미카제 공격이 처음 등장한 레이테 해전에서 미 해군은 공습에 대비하는 방공작전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게 되었다.
2차 대전이 끝나고 제트 엔진이 실용화되었다. 제트 엔진을 탑재한 항공기는 단숨에 최대속도가 2배로 빨라졌다. 가미카제 공격을 경험한 미 해군은 이러한 기술의 발전에 대응하는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였다. 미 해군은 2차 대전 말에 적 항공기를 레이더와 미사일을 사용하여 격추하는 기술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인하여 완성하지 못하고 종전을 맞이하였다. 2차 대전이 끝나고 냉전이 시작되면서 함대공 미사일에 대한 연구는 계속 되었다. 마침내 1950년대 초에 미 해군은 RIM-2 테리어(Terrier) 함대공 미사일의 실용화에 성공하였다. 미국에서 2번째로 개발한 미사일이 함대공 미사일이라는 점만 보아도 미 해군의 노력을 알 수 있다. 탄체가 크고 장비가 무거운 테리어 미사일 체계는 구축함에 탑재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었다. 전통적으로 공중의 위협으로부터 함대를 지키는 임무는 순양함의 몫이었다. 이러한 교리에 따라 미 해군은 기존 순양함을 테리어 미사일을 탑재하는 방공순양함으로 개조하였다.
이러한 방공순양함의 개조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척수를 확보하지 못하여 함대의 대공방어는 충분하지 못한 형편이었다. 더구나 순양함은 개조비용이 많이 들고 승조원도 많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미 해군은 구축함에 함대공 미사일을 탑재하는 방법을 시범적으로 시도하였다. 1954년에 기어링(Gearing)급 구축함인 DD-712 자얏트(Gyatt)함의 미사일 구축함 개조가 결정되었고, 1955년부터 테리어 함대공 미사일을 탑재하는 개조공사가 시작되었다. 주요 개조 내역은 함미의 5인치 함포 철거한 자리에 Mk.8 연장 테리어 발사기와 탄약고(14발)를 설치하였고 Mk.25 사격통제레이더와 유도장치를 탑재하였다.
특징
선체
찰스 F. 애덤스급 미사일 구축함은 앞서 건조가 시작된 포레스트 셔먼급 구축함의 선형을 이어받고 있다. 다만 함대공 미사일 체계를 탑재하면서 장비가 증가하여 배수량이 약 600톤 정도 증가한 점이 다르다. 기본적으로 플레처급부터 이어지는 평갑판 선형을 이어받고 있지만 함교 이후 상부 구조물이 주갑판 보다 한 단계 높게 설치되어 높은 내파성을 가지도록 설계되었다. 항모 기동함대를 직접 호위하는 만큼 거친 바다에서 항해할 수 있도록 함수에 크고 날카로운 불워크(bulwark)를 가지고 있다. 무게를 줄이기 위해 선체와 달리 상부 구조물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건조되었다.
찰스 F. 애덤스급의 가장 큰 특징은 2차 대전 당시에 건조된 구형 구축함과 달리 함내에 냉방장치를 처음으로 적용하였다는 점이다. 냉방장치는 습도가 높고 무더운 바다에서 장기간 작전을 수행하는 승조원의 편의성과 사기를 높이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ㆍㆍㆍㆍㆍ
기관
항해용 주기관은 포레스트 셔먼급과 같은 증기터빈(steam turbine) 방식을 채택하였다. 4기의 보일러에서 생산하는 고압증기를 터빈에 공급하여 추진하는 2축 방식이다. 전후 기관실은 침수에 대비하여 각각 독립되어 있다. 기어링급 대비 배수량이 크게 증가하였지만 고압 증기터빈을 채택하여 30 노트의 속도 성능을 유지하고 있다. 함내 전력은 증기터빈에 연결된 4기의 발전기로 공급한다.
ㆍㆍㆍㆍㆍ
전투체계
주 임무인 함대방공을 위해 타타 체계를 탑재하는 찰스 F. 애덤스급은 대공 탐색용으로 미 해군 최초로 AN/SPS-39 3차원 레이더를 채택한 점이 특징이다. 종전에는 2차원 탐색 레이더로 목표물의 방위와 거리를 산출한 다음 별도의 레이더를 사용하여 고도를 측정하였다. 이처럼 2종류의 레이더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때문에 미사일 발사에 필요한 목표물의 정보를 산출하는데 시간이 많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3차원 레이더는 3가지 정보를 한 번에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교전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초기형에 탑재된 AN/SPS-39 3차원 레이더는 미국 휴즈(Hughes)사에서 개발하였으며, 나중에 AN/SPS-52 평면배열(planar array) 3차원 레이더로 개량되었다. 3차원 레이더를 보완하는 장거리 대공 탐색 레이더는 전기형(DDG-2~DDG-14)은 AN/SPS-37, 후기형(DDG-15~DDG-24)은 AN/SPS-40 기종을 탑재한다.
1950년대 말부터 미 해군은 함대에 소속된 전투함에 전투정보를 전달하고 처리하는 해군전술정보체계(NTDS, Naval Tactical Data System)를 실용화하였다. 다만 찰스 F. 애덤스급 구축함은 제한된 선체에 함대공 미사일을 비롯한 많은 무장과 장비를 탑재하였기 때문에 여유 공간이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NTDS를 간략화한 NCDS(Naval Combat Direction Systems)를 탑재한다.
ㆍㆍㆍㆍㆍ
미사일
ㆍㆍㆍㆍㆍ
함포
ㆍㆍㆍㆍㆍ
대잠무장
찰스 F. 애덤스급은 함대방공을 책임지는 미사일 구축함이지만 대잠전 능력도 보유하고 있다. 함수에는 저주파 고출력 AN/SQS-23 소나(sonar)가 탑재되어 있다. 초기형(DDG-2~DDG-19)은 함저에 소나 돔(sonar dome)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후기형(DDG-20~DDG-24)부터는 함수로 소나 돔(bow dome)이 이동하였다.
ㆍㆍㆍㆍㆍ
대잠헬기
대잠 구축함이 아닌 찰스 F. 애덤스급은 본래의 임무인 함대방공에 충실하게 개발되어 헬기를 탑재하지 않으며, 헬기 격납고도 없다.
동급함
미 해군 찰스 F. 애덤스급 23척
함번 | 함명 | 착공 | 진수 | 취역 | 퇴역 | 건조 | 비고 |
DDG-2 | 찰스 F. 애덤스 (Charles F. Adams) | 1958.6.16 | 1959.9.8 | 1960.9.10 | 1990.8.1 | Bath Iron Works | 보관 |
DDG-3 | 존 킹 (John King) | 1958.8.25 | 1960.1.30 | 1961.2.4 | 1990.3.30 | Bath Iron Works | 해체 |
DDG-4 | 로렌스 (Lawrence) | 1958.10.27 | 1960.2.27 | 1962.1.6 | 1990.3.30 | New York Shipbuilding | 해체 |
DDG-5 | 클로드 V. 리켓츠 (Claude V. Ricketts) | 1959.5.18 | 1960.6.4 | 1962.5.5 | 1989.10.31 | New York Shipbuilding | 해체 |
DDG-6 | 바니 (Barney) | 1959.8.10 | 1960.12.10 | 1962.8.11 | 1990.12.17 | New York Shipbuilding | 해체 |
DDG-7 | 헨리 B. 윌슨 (Henry B. Wilson) | 1958.2.28 | 1959.4.22 | 1960.12.17 | 1989.10.2 | Defoe Shipbuilding | 표적함 |
DDG-8 | 린드 맥코믹 (Lynde McCormick) | 1958.4.4 | 1959.7.28 | 1961.6.3 | 1991.10.1 | Defoe Shipbuilding | 표적함 |
DDG-9 | 타워즈 (Towers) | 1958.4.1 | 1959.4.23 | 1961.6.6 | 1990.10.1 | Todd Pacific Shipyards | 표적함 |
DDG-10 | 샘슨 (Sampson) | 1959.3.2 | 1960.5.21 | 1961.6.24 | 1991.6.24 | Bath Iron Works | 해체 |
DDG-11 | 셀러wm (Sellers) | 1959.8.3 | 1960.9.9 | 1961.10.28 | 1989.10.31 | Bath Iron Works | 해체 |
DDG-12 | 로비슨 (Robison) | 1959.4.28 | 1960.4.27 | 1961.12.9 | 1991.10.1 | Defoe Shipbuilding | 해체 |
DDG-13 | 호엘 (Hoel) | 1959.8.3 | 1960.8.4 | 1962.6.16 | 1990.10.1 | Defoe Shipbuilding | 해체 |
DDG-14 | 뷰캐넌 (Buchanan) | 1959.4.23 | 1960.5.11 | 1962.2.7 | 1991.10.1 | Todd Pacific Shipyards | 표적함 |
DDG-15 | 버클리 (Berkeley) | 1960.8.29 | 1961.7.29 | 1962.12.15 | 1992.9.30 | New York Shipbuilding | 그리스 양도 |
DDG-16 | 조셉 스트라우스 (Joseph Strauss) | 1960.12.27 | 1961.12.9 | 1963.4.20 | 1990.2.1 | New York Shipbuilding | 그리스 양도 |
DDG-17 | 커닝검 (Conyngham) | 1961.5.1 | 1962.5.19 | 1963.7.13 | 1990.10.30 | New York Shipbuilding | 해체 |
DDG-18 | 셈즈 (Semmes) | 1960.8.15 | 1961.5.20 | 1962.12.10 | 1991.4.14 | Avondale Shipyard | 그리스 양도 |
DDG-19 | 타트놀 (Tattnall) | 1960.11.14 | 1961.8.26 | 1963.4.13 | 1991.1.18 | Avondale Shipyard | 해체 |
DDG-20 | 골즈보로우 (Goldsborough) | 1961.1.3 | 1961.12.15 | 1963.11.9 | 1993.4.29 | Puget Sound Bridge and Dredging | 호주 매각 |
DDG-21 | 코크레인 (Cochrane) | 1961.7.31 | 1962.7.18 | 1964.3.21 | 1990.10.1 | Puget Sound Bridge and Dredging | 해체 |
DDG-22 | 벤자민 스토더트 (Benjamin Stoddert) | 1962.6.11 | 1963.1.8 | 1964.9.12 | 1991.12.20 | Puget Sound Bridge and Dredging | 표적함 |
DDG-23 | 리처드 E. 버드 (Richard E. Byrd) | 1961.4.12 | 1962.2.6 | 1964.3.7 | 1990.4.27 | Todd Pacific Shipyards | 그리스 매각 |
DDG-24 | 와델 (Waddell) | 1962.2.6 | 1963.2.26 | 1964.8.28 | 1992.10.1 | Todd Pacific Shipyards | 그리스 양도 |
호주 해군 퍼스급 3척
함번 | 함명 | 착공 | 진수 | 취역 | 퇴역 | 건조 | 비고 |
D 38 (DDG-25) | 퍼스 (Perth) | 1962.9.21 | 1963.9.28 | 1965.5.22 | 1999.10.15 | Defoe Shipbuilding | 수몰 |
D 39 (DDG-26) | 호바트 (Hobart) | 1962.10.26 | 1964.1.9 | 1965.12.18 | 2000.5.12 | Defoe Shipbuilding | 수몰 |
D 41 (DDG-27) | 브리즈번 (Brisbane) | 1965.2.15 | 1966.5.5 | 1968.1.24 | 2001.10.19 | Defoe Shipbuilding | 수몰 |
독일 해군 뤼톈스급 3척
함번 | 함명 | 착공 | 진수 | 취역 | 퇴역 | 건조 | 비고 |
D 185 (DDG-28) | 뤼톈스 Lütjens | 1966.3.1 | 1967.8.11 | 1969.3.22 | 2003.12.18 | Bath Iron Works | 해체 |
D 186 (DDG-29) | 묄더스 Mölders | 1966.4.12 | 1967.4.13 | 1969.2.23 | 2003.5.28 | Bath Iron Works | 박물관 |
D 187 (DDG-30) | 롬멜 Rommel | 1967.8.22 | 1969.2.1 | 1970.5.2 | 1998.9.30 | Bath Iron Works | 해체 |
운용 현황
파생형
퍼스급 (호주 해군)
구축함 크기의 선체에 함대방공 임무가 가능한 타타 함대공 미사일 체계를 탑재한 찰스 F. 애덤스급은 호주와 독일 해군도 채택하였다. 호주 해군은 방공구축함을 검토하면서 영국제를 포기하고 미 해군의 찰스 F. 애덤스급 3척을 퍼스(Perth)급으로 도입하였다. 퍼스급은 1965년부터 장기간 일선에서 활약하였으며 호바트(Hobart)급 호위함과 교체되어 2001년까지 모두 퇴역하였다.
뤼톈스급 (독일 해군)
NATO 해군의 일원인 독일 해군은 함대방공 임무에 적합한 방공함으로 찰스 F. 애덤스급 3척을 도입하였다. 독일 해군의 마지막 구축함인 103형 뤼톈스(Lütjens)급은 1966년부터 2003년까지 현역으로 활동하였다. 독일 해군은 자체 건조한 작센(Sachsen)급 호위함으로 뤼톈스급을 대체하였다.
성능개량
취역 이후 장기간 운용에 따라 모든 찰스 F. 애덤스급을 대상으로 1980년대 초에 성능개량을 진행할 계획이었으나, 예산관계로 3척(DDG-19, DDG-20, DDG-22)으로 축소되었다. 성능개량된 찰스 F. 애덤스급은 하푼 함대함 미사일, 전자장비 개량 및 대함 미사일 방어(ASMD, Anti-Ship Missile Defense)체계, AN/SPS-48 레이더, AN/SYS-1 자동 목표탐지 및 추적체계, Mk.86 함포사격통제체계의 스탠더드 미사일 유도기능 추가, AN/SQS-23 소나 돔 등이 추가로 탑재되었다.
제원
함명 : 찰스 F. 애덤스급
함종 : 미사일 구축함(DDG)
기준배수량 : 4,104톤
만재배수량 : 4,900톤
전장 : 134.1 m
전폭 : 14.3 m
흘수 : 7.6 m
최대속도 : 30 kt
항해거리 : 6,000 nm/15 kt
승조원 : 354명 (사관 24명)
주기관 : 보일러 × 2, 증기터빈(35,000 마력) × 2, 2축 추진
무장(미사일) : Mk.11 2연장 미사일 발사기/Mk.13 단장 미사일 발사기 × 1(탄약 40발), Mk.112 ASROC 대잠로켓 8연장 발사기 × 1
무장(어뢰) : Mk.32 324 mm 3연장 어뢰발사관 × 2
무장(함포) : Mk.42 5인치(127 mm)/54 단장 함포 × 2
방어체계 : Mk.36 SRBOC × 4
ECM/ESM : AN/SLQ-32V(2)
전투정보체계 : NCDS, Link-11, SATCOM
레이더 : AN/SPS-52 3차원 대공탐색 레이더, AN/SPS-40 대공탐색 레이더, AN/SPS-67 해상탐색 레이더, AN/SPG-53A 사격통제 레이더, AN/SPG-51C 미사일 사격통제 레이더
소나 : AN/SQS-23 능동식 소나
저자 소개
이재필 | 군사 저술가
항공 및 방위산업 분야에 대한 깊은 관심과 실무적 경험을 바탕으로, 군용기와 민항기를 모두 포함한 항공산업의 발전과 역사, 그리고 해군 함정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국내 여러 매체에 방산과 항공 관련 원고를 기고하고 있다.
'$cont.escTitle > 미국nav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신형 전자기식 사출장치와 강제착륙장치 성능 입증 (0) | 2020.01.23 |
---|---|
토마호크 순항미사일 (0) | 2020.01.21 |
2차대전후 대잠.대공의 최강자. 구축함 (0) | 2020.01.05 |
브룩급 미사일 호위함 (0) | 2019.12.20 |
브론슈타인급 호위함 (0) | 2019.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