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신비

 

 

자연의 신비

 


오스트레일리아 퀸즈랜드상공에 나타난

 길이가 무려 900Km나 되는 구름...

 


 우주 정거장에서 바라본 지구의 화산 폭팔 장면..

 


 

합성 같아 보이시죠?

 놀랍게도 합성이 아닌 실제 현상이라고 하네요..

 눈부시게 빛나는 무지개, 먹구름을

가르는 번개, 지평선을 휩쓰는 회오리바람

 드물지만 기상학적으로 가능한 현상이라고 합니다.

 해외 네티즌사이에서 포샵 및 합성 의혹이 컸었지만

 실제 촬영본으로 판명됐다네요

 

 

대륙에서 발견된 깊이 1,026m의 '수직' 동굴입니다.

 이 수직동굴의 바닥에는 푸른빛의

호수가 존재한다고 하네요.

 

 

 

애리조나의 은하수와 별이 빛나는 밤. 

 나사에서 촬영한 것으로 애리조나 플라그스타프에서는

 날씨가 좋은면 가끔 이렇게 미스테리할 정도의

모습이 나온다고 하네요

 


 

남극에서 발견된 거대한 파도 얼음.

 파도가 얼기 위해서는 순식간에 냉동이 되어야하는데

 영화 투모로우와 같은 급속 냉각현상이

과거에 있었던걸로 추측

 


 

미국 텍사스주에서 촬영 된 신기한 구름 현상.

 마치 한폭의 그림같은 ......

 

 

무지개 빛 구름?

 켐트레일 현상이라고 하네요.

 일몰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종의 스팩트럼

현상을 띈것이라고 함

 

 

짙게 낀 구름사이로 내려오는 햇빛이

신비함마저 들게하는 멋진 사진입니다.

 틴들 현상이라고 하네요.

빛의 굴절에 의해 일어난다고 함

 

 

캐나다 노바스코티아라는 곳에서 촬영된 오로라 현상 

 여기가 지구가 맞나? 싶은 정도로 기묘한 하늘이네요..

 

 

 

미국 캐롤라이나에서 촬영된 역시 오로라 현상.

 아름답기도 하고 무섭기도 하고... 


 


 

2005년 스위스 제네바에

불어닥친 가공할만한 추위..

 영화 투모로우가 생각나네요.. 

 나무의 고드름을 보면 바람에

휘날리는 채로 얼어붙었다는... 

 

 

 

여기는 프로토스의 아이어 행성이 아닙니다..

 미국 유타 주의 한 농가에서 촬영된 오로라 현상의 일종..

 이렇게 아름다룬 밤하늘 아래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있고 싶네요.

 

 

이라크 자이툰 부대에 불어닥치는 거대한 모래 폭풍

 사막이란 곳은 참 무서운곳...

 




 

볼리비아의 소금 사막이라 불리

우는 유우니(Salar de Uyuni)

 광활한 대지위에 모든것이

소금으로 이루워져 있다고하네요.

 


 

6000살 정도로 추정되는 아프리카의

바오밥나무라고 합니다..

 말이 필요없는 살아있는 '역사'네요.

 

 

 

2005년 미국 애리조나 투산지역에서

촬영된 모래 토네이도(dust devil) 

 매우 희귀한 현상이라고 합니다



 

캐나다 알버타주 에드먼턴 시에서

촬영된 에메랄드 빛 오로라.

 호수에 비친 자태도 아름답네요

 여러분은 어느 빛깔의

세상에서 살고싶나요? 

 

 

하루가 끝나가는 시점..

 지구가 만들어낸 아름다운 해질녘 

 

 

 

해가 빨리 지는 겨울 ..

 해질녘 쯤되면 볼수있는 야광운입니다. 

 빨리 겨울이 왔으면 좋겠네요

 

 

 

미국 알래스카 주(Alaska)의 어느 숲의 풍경

 광활한 하늘과 , 그 하늘이 비치는 맑은 물가..

 지상 낙원이 있다면 이런곳이 아닐까

 

 

 

新세계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고대 페루의 잉카문명의 성지 - 마추피츄 

 사람의 발길이 닿지않는 안데스산

해발 4,750m의 바위산

 꼭대기에 위치한 비밀의 공중도시

 고대 잉카인들이 스페인의 공격을

피해 이곳에 터전을 잡고

 무려 1만여명이 살았다네요..

아름다운 경관이 눈에 띔.

  



 

붉게 타는 하늘

 노을은 지구가 우리에게 보여주는

가장 큰 아름다움이라고 생각함. 

 

 


 

이스트섬의 모아이 석상..

 1000개의 돌 석상들이 모여있는 곳.

평균 키3.5-4m 에 무게 20t

 가장 큰것은 높이 10m에 무게가

 90t이나 나간다고 한다.

 11세기경 만든것으로 추측되며,

그 방법은 아직까지 풀리지 않은 미스테리..

 


 

미국 아이다호 지역에서 발생한 희귀현상인

두루마리 눈(snow roller)

 북미 지역에서만 관측되는 이 현상은 말

그대로 눈이 바람에 의해

 돌돌 두루마리 휴지처럼 돌돌

말려지는 현상이라고 한다.

 하지만 인위적으로 굴리는 것이 아니라

바람에 의해 굴려지는거라 속은 텅텅 비었다네요

 

 

 

칠레에서 발생한 화산 폭발 중 내리치는 번개..

 화산 분출시 연기에 다량의 금속이 함유 되어 있고,

많은 전자를 띄고 있기 때문에

 화산 폭발하는 구름안에는 저런

현상이 보인다는 군요.

 저 현장에 있다면.. 마치 세상의 멸망을

보는것 같겠군요

 

 

 

북극점으로 부터 약 1000km 떨어진

노르웨이의 한 섬에서 촬영된

 완벽한 하트 모양의 연못사진

 큐피트가 만들었을 법한 이 연못이 만들어진

연유를 알게 되면 조금은 안타깝다.

 지구온나화의 영향으로 이 지역의 빙하가

녹아내리면서 대지가 늘어나고..

 그 한가운데 녹아 내린 물이

고이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미국에서 촬영된 '땅에서 하늘로

솟구치는 번개'입니다.

 지면이 음전하이고 구름이 양전하일 때

땅으로부터 하늘로 뻗는 번개가 발생한다고 하는데..

 이를 양형 번개(positive lightning)라고 하네요.

 




 

 

팔레모 도시에 위치한 카푸친 수도원 지하

묘지의 미이라들과

 시간이 멈춰버린 소녀 로잘리나

 1920년 12월 2살의 나이에 기관지

감염으로 죽은 뒤 90년 동안

 생전의 모습으로 현재까지 보존되어 있다..

뭔가 묘하네요.

 

 

노르웨이에서 관측된 일종의 오로라

현상인 The Deep blue sky

 지구가 아닌것 같아요..

 

 



 

미국 노스이스트 오하이오의 한 마을에서 촬영된

 자연의 분노가 느껴지는 거대 메조

사이클론 (Mothership Mesocyclone)입니다.

 자신의 눈 앞에 저런 폭풍운이 몰려온다면..

 


 

수많은 나방 애벌레가 네덜란드

로테르담을 습격(?)해 도심이

 공포 영화의 한 장면 같이 변했다.

 기후 변화로 인해 이같은 애벌레가

도심에 나타났을 것이라는게

 과학자들의 추측이라네요..

무서우면서도 씁쓸합니다.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의 한 평원의 거대한 모래산..

 어떻게 해서 이렇게 큰 모래산이 생기는 걸까?

 그리고.. 왜 없어지지 않는 걸까?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거대한 큐모의 크레이터(Crater)

 아주 먼 옛날 바로 이곳에 운석이 떨어졌겠지요..

 그리고 시간은 흐르고 흘러 그 흔적에서도

자연과 생명이 터전을 잡았네요.

  

 

이집트 카이로에서 촬영된 피라이드

너머로 지는 푸른 태양(Blue Sun)

 블루선은 산불로 작은 기름방울 입자가

태양을 파랗게 보이게 하는 현상이다.

 붉은 노을아래 지는 푸른 빛의

태양이 신비로워 보이네요


 

 

지금으로부터 백년전 꽁꽁 얼어붙은 나이아가라 폭포..

 1911년경 촬영된 장면으로써

100년전 불어닥친 엄청난

 한파로 인하여 폭포가 송두리째 얼었다고 하네요..

 공사로 인해 상류부분을 막아서 수량이

적어 유속이 느려진 결과라네요.

 

 

세계에서 가장 무서운 호수

 미국 몬태나주에 존재하는

죽음의 블랙폴(Black Pool)

 신비해보이는 호숫물은 강력한 산성으로

되어있어 빠지면 5초 이내로 녹아버린다고 한다.

 유황과 아황산등이 섞여있어 냄새가 심하다는

이 호수의 깊이는 무려 270m(지하까지 연결)

  



 

네브라스카에서 형성되었던 유방운의

일종으로 상당히 드문 형태입니다.

 귀엽기도 하고 징그럽기도 하네요..

 


 

1991년 아이슬란드의 헤클라 화산이

폭발할 때 나타난 오로라 현상

 화산폭발과 오로라의 모습을 동시에

볼 수 있는 매우 희귀한 사진입니다.

 

 

무려 45년째 불타고 있는 마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콜럼비아 카운티에

위치한 센트레일리아 마을은

 이미 유령마을이라고 한다.

 40년 전까지만 해도 석탄채굴로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곳이었으나

 1962년 작은 화재 때 남은 불씨가

석탄광맥에 붙었고,

 이후 지하에 매장된 석탄에 타들어갔다네요

 마을은 서서히 연소되기 시작했으며

지하에 매장된 석탄이

 모두 연소되려면 앞으로도

250년이 걸린다고 합니다.

 




 

렌즈 모양의 구름이 여러겹 쌓인

모습의 렌즈 구름(Lenticularis)

 상부의 건조한 공기가 분함유량에 의해서

점점 층을 이루게 되어 생긴다고 하네요..

 

 

미국 플로리다 (上) 와 말레이시아 사라와크

(下) 에서 촬영된 "Sun Pillar" 현상입니다.

 이름 그대로 태양광의 기둥, 태양이

지평선 바로 아래 위치할 때 발생하는

 자연현상이라고 하네요. 하늘의 조각 한

부분이 떨어져 나간 느낌입니다.

 

 

 

자연 현상 중 가장 아름다운 현상 중

하나인 오로라 북극광(光)입니다.

 지구 위에서 본 오로라도 아릅답습니다.

오로라도 소리를 낸다는게 믿겨지십니까?

 북극 근처에 사는 이누이트들은 그 소리가

장작 패는 소리와 비슷하게 들린다고 하네요..

 

 

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자연의 신비현상★   


 

1991년 아이슬란드의 헤클라 화산이 폭발할 때

나타난 오로라 현상

 화산폭발과 오로라의 모습을 동시에 볼 수

있는 매우 희귀한 사진입니다.

 

 

무려 45년째 불타고 있는 마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콜럼비아 카운티에

위치한 센트레일리아 마을은

 이미 유령마을이라고 한다.

 40년 전까지만 해도 석탄채굴로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곳이었으나

 1962년 작은 화재 때 남은 불씨가

석탄광맥에 붙었고,

 이후 지하에 매장된 석탄에 타들어갔다네요

 마을은 서서히 연소되기 시작했으며

지하에 매장된 석탄이

 모두 연소되려면 앞으로도 250년이 걸린다고 합니다.

  





 

렌즈 모양의 구름이 여러겹 쌓인 모습의 렌즈 구름(Lenticularis)

 상부의 건조한 공기가 분함유량에 의해서 점점

층을 이루게 되어 생긴다고 하네요..

  


 

미국 플로리다 (上) 와 말레이시아 사라와크 (下) 에서

촬영된 "Sun Pillar" 현상입니다.

 이름 그대로 태양광의 기둥, 태양이 지평선

바로 아래 위치할 때 발생하는

 자연현상이라고 하네요. 하늘의 조각

부분이 떨어져 나간 느낌입니다.

 



 

자연 현상 중 가장 아름다운 현상 중

하나인 오로라 북극광(光)입니다.

 지구 위에서 본 오로라도 아릅답습니다.

오로라도 소리를 낸다는게 믿겨지십니까?

 북극 근처에 사는 이누이트들은 그 소리가 장작

패는 소리와 비슷하게 들린다고 하네요..

 

 


 

1991년 아이슬란드의 헤클라 화산이

폭발할 때 나타난 오로라 현상

 화산폭발과 오로라의 모습을 동시에 볼 수 있는

매우 희귀한 사진입니다.

 

 

 

무려 45년째 불타고 있는 마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콜럼비아 카운티에

위치한 센트레일리아 마을은

 이미 유령마을이라고 한다.

 40년 전까지만 해도 석탄채굴로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곳이었으나

 1962년 작은 화재 때 남은 불씨가 석탄광맥에

붙었고, 이후 지하에 매장된 석탄에 타들어갔다네요

 마을은 서서히 연소되기 시작했으며

지하에 매장된 석탄이

 모두 연소되려면 앞으로도 250년이 걸린다고 합니다.

 

 



 

렌즈 모양의 구름이 여러겹 쌓인 모습의 렌즈 구름(Lenticularis)

 상부의 건조한 공기가 분함유량에 의해서 점점 층을

이루게 되어 생긴다고 하네요..

 

 


 

미국 플로리다 (上) 와 말레이시아 사라와크

(下) 에서 촬영된 "Sun Pillar" 현상입니다.

 이름 그대로 태양광의 기둥, 태양이

지평선 바로 아래 위치할 때 발생하는

 자연현상이라고 하네요. 하늘의 조각 한

부분이 떨어져 나간 느낌입니다.

 


 

자연 현상 중 가장 아름다운 현상 중 하나인 오로라 북극광(光)입니다.

 지구 위에서 본 오로라도 아릅답습니다.

오로라도 소리를 낸다는게 믿겨지십니까?

북극 근처에 사는 이누이트들은 그 소리가 장작 패는

소리와 비슷하게 들린다고 하네요..

 

 

 
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출처 : 신운 뉴욕 예술단 내한공연
글쓴이 : 하오따파 원글보기
메모 :

大暑, 더운 날씨 시원하시라고....

 

 

 











































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http://cafe.daum.net/niegroup
Sunlight


http://cafe.daum.net/niegroup
Summer Season



Wishful


http://cafe.daum.net/niegroup
Flight of Fancy


http://cafe.daum.net/niegroup

Sunday's Child

                                                                                              

밝은나라


        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너무 살이 쪄서 일을 할수 없다는 이유로,,,,
        년간 3000만원 이상의 사회복지 지원금을 받고 잇는 가족;

        이들 주장에 따르면,
        유전자 때문에 살이 찐거라고,,,

        하지만 지원받은 돈으로는 먹고 살기에 빠듯하다는 이들의 주장

        출처 : 이강산애
        글쓴이 : 초롱2 원글보기
        메모 :

         

         

         

         

         

         

        우주고속도로 (Interplanetary Superhighway)

         

         

         

         

        우리가 달리는 고속도로는 신호등도 없고, 직선으로 뻗어있어 일반도로와 달리 시간과 연료가 절약된다. 하지만 놀랍게도 우주공간에도 우주선을 빨리 달리게 할 수 있는 고속도로가 있다고 한다.

        대부분의 일반인들은 천체와 천체 사이의 우주 공간이 텅 비어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실제 우주공간에는 각 천체의 중력들이 서로 작용하면서 복잡한 힘의 흐름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우주선들이 우주를 비행할 때 각 천체의 중력이 비행에 도움을 주기도 하고, 또한 방해가 되기도 한다.

         

        과거의 우주 탐사에서는 태양이나 행성들의 중력을 이용하여 우주선의 가속을 얻었다. 이러한 비행 방법을 ‘플라이바이(Flyby, 근접비행)'라고 하는데 우주를 여행할 때 우주선이 낼 수 있는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를 얻기 위해 여행하는 도중 특정 행성에 접근하여 그 행성의 중력의 힘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다시 설명하자면 직선으로 비행하던 우주선이 특정 행성의 중력권 안에 들어가게 되면 중력의 영향을 받아 원래 비행하던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행성에 접근하게 된다. 이때 행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원 궤도를 돌기 때문에 접근하는 우주선 옆으로 서서히 비켜나가게 된다. (행성은 계속 공전하기 때문에) 그렇게 되면 우주선에 작용하는 행성의 중력은 점점 약해지게 된다.

         

        또한 이때 우주선은 원래의 속도에 행성의 중력을 통해 얻은 속도가 더해져 행성의 중력권을 벗어나 더 빠른 속도로 여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만약 이때 우주선이 행성에 너무 접근하게 되면 행성의 중력에 끌려 들어갈 충돌하게 된다. 이 때문에 ‘플라이바이 방식'은 행성과의 거리와 행성의 궤도를 충분히 고려하여 정확하게 시행 되어야 한다.

         

        미국의 우주 탐사선인 ‘파이오니어'나 ‘보이저' 같은 우주선들이 목성을 탐사 하고 난 뒤 태양계 외곽으로 날아간 것은 지구에서 출발해 목성을 지나면서 목성의 중력을 이용해 가속 에너지를 얻어 비행 속도를 높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컴퓨터가 발달하고, 천체의 궤도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이루어지면서 과학자들은 각 천체의 중력관계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에너지로 우주선을 멀리 보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를 모아 2002년 여름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선의 비행에 드는 연료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우주고속도로가 존재하며, 앞으로 이 통로를 이용하여 우주여행을 하게 될 것이라는 발표를 하였다.

         

        나사의 발표에 의하면 태양계 공간 속에는 중력들의 상호 관계에 의해 어느 천체의 힘도 느낄 수 없는 무중력 길이 존재하며 이 길들은 로프를 만드는 실처럼 서로 꼬여져서 여러 가지 가능성 있는 통로를 만들게 된다. 무중력 터널과도 같은 이 통로를 이용하게 되면 우주선들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먼 거리를 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행성 사이의 여행에서 가장 에너지가 적게 드는 통로가 바로 ‘행성 간 슈퍼고속도로(Interplanetary Superhighway)'로 불리는 우주고속도로이다.

         

        우주고속도로에는 땅의 고속도로 휴게소와 같은 우주 기지나 우주 휴게소를 만들 수도 있다. 어느 방향으로도 중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곳에 만들어지는 우주 기지는 항상 그 위치를 지키며 우주선들의 보급 기지 역할을 할 수 있다. 먼 훗날 우주선은 이 기지에서 에너지를 보급 받아 더 먼 우주로의 여행을 시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주고속도로를 연구하는 과학자는 우주를 날아다니는 혜성이나 소행성들이 이 우주 고속도로를 이용하고 있다고 한다. 지난 1994년 목성과 충돌했던 ‘슈메이커-레비' 혜성처럼 행성에 충돌하게 되는 천체들은 우주고속도로를 통해 이동하다 행성에 너무 근접하게 접근하여 우주고속도로에서 이탈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즉, 우주 고속도로에서 벗어나 특정 천체에 가까이 가게 되면 그 천체의 중력으로 인해 가속도 대신 고속도로를 벗어나 그 천체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앞으로 기술이 지금 보다 더 발전해 뛰어난 성능의 우주선들이 개발되면 지금의 고속도로를 달리는 자동차들처럼 많은 우주선들이 우주고속도로를 누비며 태양계의 각 천체를 여행하게 될 것이다.                                                                                                                                                                                                                                             

        천문우주과학과 03‘ 홍 성 훈  

         

         

        [Secret Garden]-Sometimes When It Rains



         

         A Spirit  

         of Alpus

         

         

         

         

         

         

         

         

         

         

         

         

        출처 : 행복 에너지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

        Butterfly Lovers

         

        출처 : 학송 김재찬
        글쓴이 : 학송 김재찬 원글보기
        메모 :

        3000계단의 논 - 중국 운남성 원양(元陽)의

        농부들의 애환이 담긴 절경


        중국에서 아랫쪽으로 베트남과 국경지역에 있는 운남성의 게단식 논의 풍경입니다.
        필리핀의 바나웨의 라이스테라세스가 5000년의 역사적 가치를 가지고 불가사이적인 가치를 가졌다면 이곳도 세계 자연유산 (自然遺産)으로 지정되어 대략 17만 마지기나 되는 이 계단식 논이 지금까지 30 여만 명의 사람을 먹여 살리고 있는 것입니다.
        윈난 성(雲南省) 애뢰산맥에 자리 잡고 있는 이 논들은 산정에까지 최고 3000여 단계나 된다고 합니다.

        수많은 사진 작가들이 탐내는 이곳의 풍경은 그야말로 장관이라 계단식의 논 정상에 서서 아래로 굽어보면 중첩되는 논들이 모든 산에 펼쳐져 있어 마치 수많은 사다리가 산정에서 산기슭으로 세워놓은 듯하여  그야말로 장관을 이루고 있습니다.
        망망한 구름바다 속에서 다락논은 그 모습을 감추었다가는 다시 나타나고 가옥들이 다락 논 가운데 자리 잡고 있는 풍경을  현지 사람들의 말에 의하면 서로 다른 계절과 다른 각도에서 심지어는 하루 중에 서로 다른 시간에 바라보는 것이 제 각각이라 그 절경을 어디에 비교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사진들이 작품사진도 물론 있지만 현지에서 일반 카메라로 찍은 것들이라 작품성은 없습니다.
        이점 참고하셔서 감상하시면 됩니다.













































         

         










        출처 : 나무아미타불
        글쓴이 : wonho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