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김포시에 무상 대여…개조후 올 연말 대명포구에 조성

 

 해군 상륙함 운봉함이 4일 경기도 김포를 향해 모항인 진해항을 출발하고 있다.


해군 상륙함으로 52년간 바다를 지켜온 운봉함이 수도권 최초의 함상공원으로 거듭난다.

해군은 4일 퇴역 상륙함인 운봉함을 경기 김포시에 무상 대여, 전시관과 영상관 설치 등 내부 개조 후 올 연말부터 김포시 대곶면 대명포구에 조성되는 함상공원에서 국민 안보의식 함양을 위한 안보전시관으로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오전 해군의 모항인 진해항을 떠나 김포시에 인도되는 운봉함은 1944년 미국에서 건조돼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연합군의 상륙작전에 참전하는 등 14년간 미 해군의 주력 상륙함으로 운용돼 왔으며, 이후 55년 한국 해군이 인수해 베트남전에 참전하는 등 52년간 임무를 완수하고 2006년 12월 퇴역했다.

운봉함의 무상 대여는 2007년 3월 김포시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해군의 적절성 여부 검토와 국방부의 승인을 거쳐 그해 5월 최종적으로 결정됐다. 해군은 국민 안보교육과 관광객 유치 등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99년 강릉시에 처음으로 구축함 전북함을 대여한 후 이번 운봉함까지 모두 11척의 퇴역함을 8개 지자체에 무상 대여했다.

지금까지 안보체험관 및 관광자원으로 활용되는 퇴역함은 강원도 강릉 안인진 통일함상공원의 전북함, 충남 당진의 삽교호 관광안보전시장의 전주함(구축함)과 화산함(상륙함), 충북 청주의 충주호 체험관광단지 내 고속정 PKM-219호, 경남 진해 해양공원에 있는 강원함(구축함)과 옥천함(소해함)·PKM-228호(고속정), 전북 부안 테마해양공원의 북한함(상륙함), 경남 고성 당항호 관광단지의 수영함(상륙함), 전북 군산 진포 해양테마공원의 위봉함(상륙함) 등이다.

이들 퇴역함은 안보전시관뿐만 아니라 TV 드라마나 영화 촬영 장소로 활용되는 등 관광자원으로도 크게 주목받고 있다.해군은 퇴역함을 지자체에 대여할 때 비군사화된 함포와 부착물 등 함정 외형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해군 홍보자료와 각종 자료, 전문 관리요원을 지원하고 청락 및 도장작업 시 상가 지원을 비롯해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군함다운 모습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후속 관리도 하고 있다.

지자체 대여 퇴역 함정의 지원 업무를 맡고 있는 해군군수사령부 보급관리처장 유응준 대령은 “그동안 해군과 역사를 함께한 운봉함이 김포의 관광명소로 국민 안보의식 함양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또 “앞으로도 해군은 지자체의 퇴역 함정 요청 시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지속적인 관리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2009.02.05 박영민기자 p1721@dema.mil.kr

<출처 : 국방일보>

52년간 바다지킨 상륙함, 국민 관광명소로 새출발

      - 해군, 퇴역상륙함 운봉함 김포시에 국민 안보교육관으로 무상대여

      - 내부 개조후 올 연말부터 김포시 대명포구에서 함상공원으로 개장 예정

      - 1999년부터 8개 지자체에 퇴역함정 11척 대여, 지역 관광명소로 인기

 

 

해군 상륙함으로서 52년간 바다를 지켜온 해군함정이 수도권 최초의 함상공원으로 재탄생한다.

 

 해군은 4일(수) 퇴역 상륙함인 운봉함을 김포시에 무상으로 대여한다. 운봉함은 이날 오전 9시에 해군의 모항인 진해항을 떠나 전시관, 영상관 설치 등 내부개조후 올 연말부터 김포시 대곶면 대명포구에 조성되는 함상공원에서 국민 안보의식 함양을 위한 안보전시관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  이번에 김포시로 인도되는 운봉함은 1943년 미국에서 건조되어 제2차 세계대전시 연합군의 상륙작전에 참전하는 등 14년간 미 해군의 주력 상륙함으로 운용되었으며, 1955년 우리 해군에서 인수하여 월남전에 참전하는 등 52년간 해양수호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고 지난 2006년 12월 퇴역하였다.

 

 이번 운봉함의 무상 대여는 2007년 3월 김포시의 요청에 따라 해군에서 적절성 여부를 검토, 국방부의 승인을 거쳐 2007년 5월 최종적으로 결정되었다. 해군은 국민 안보교육과 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해 1999년 강릉시에 처음으로 전북함(구축함)을 대여한 이후 이번 운봉함까지 총 11척의 퇴역함을 8개 지자체에 무상으로 대여하였다.

 

 해군에서 지자체에 대여한 퇴역함정은 안보전시관뿐만 아니라 관광자원으로서 크게 각광 받고 있다. 실제로 지자체들은 강릉 안인진 통일함상공원, 진해 해양공원, 삽교호 공원 등에 해군 퇴역함정을 군함 전시관으로 개조하여 많은 관광객들을 유치하고 있고 TV 드라마나 영화 촬영장소로도 인기를 얻고 있다. 강원함 등 경남 진해시「해상공원」에 전시된 해군 퇴역함정 3척은 연 인원 25만여명의 관광객을 유치하는데 한 몫을 하고 있다.

 

○  해군은 퇴역함의 지자체 대여시 비군사화된 함포, 부착물 등 함정 외형이 최대한 유지될 수 있도록 조치하고 ▲ 해군 홍보자료 등 각종 자료지원 ▲ 전문 관리요원 지원 ▲ 청락 및 도장작업시 상가지원 ▲ 주기적인 점검 등 군함다운 모습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후속 관리를 하고 있다.

 

지자체 대여 퇴역함정의 지원업무를 맡고 있는 해군 군수사령부 보급관리처장 유응준 대령은 “그동안 해군과 역사를 함께한 운봉함이 김포의 관광명소로서 국민 안보의식 함양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해군은 지자체의 퇴역함정 요청시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지속적인 관리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참고자료

 

해군 퇴역함정 대여현황

 

출처 : 대한민국해군동지회중앙회
글쓴이 : 해군동지회 원글보기
메모 :

Tromp class command & air defense destroyers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번함 F806 De Ruyter

제원:

만재배수량: 4,308 tons full load
선체크기: 138.2 x 14.8 x 6.6 meters (453 x 49 x 22 feet)
추진기관: 2 shafts, 2 RM1A cruise gas turbines, 8,200 shp, 18 knots;
          2 TM3B boost gas turbines, 44,000 shp, 28 knots
승무원: 306
탑재헬기: aft helicopter deck and hangar; 1 Sea Lynx helicopter
레이더: Signaal MTTR/SPS 01, 3-D air search
소  나: CWE-610 hull mounted
화력제어레이더: WM-25 Sea Sparrow control, 
                2 SPG-51C SM-1MR control,
전투정보시스템: Signaal SEWACO-1 VIIB
통신장비:   WSC-6 twin aerials, Link 11
전자전장비: Sphinx intercept, Ramses jammer, 4 SRBOC, SLQ-25 Nixie
무  장: 1 Mk 13 missile launcher(40 SM-1MR), 
        4 Harpoon SSM, 1 
        8-cell Sea Sparrow (16 missiles, manual reload), 
        1 dual 120mm/50 cal DP,
        1 30 mm Goalkeeper CIWS, 
        2 triple 12.75 inch torpedo tubes
Number  Name                 Year    Notes
F 801   Tromp                   1975    
F 806   De Ruyter               1976

지휘함 겸 방공구축함. 대잠전대의 기함으로 사용되는데, 공식적으로는 프리게이트로 분류된다. 하지만, 그들은 구축함으로 사용하고 있다. 탑재한 120mm 함포는 구형함에서 철거한 것이다.

source: http://www.uss-salem.org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Sachsen Type 124/ADCF

F-124 작센급은 독일해군의 최신예 프리게이트 브란덴부르크의 선체를 연장하고발달된 대공장비와 스텔스 디자인을 도입한 차세대 방공 프리게이트이다.

Type 123 VS 124


여기 탑재된APAR은 속칭 유럽형 이지스라고 하지만, 미해군의 AEGIS와는 그 개념이 좀 틀리다. 정확하게 말하면, 화력제어 레이더인 ST-180의 발전형이랄까?(물론 계보상으로야 틀리지만) 탐색은 회전식 3차원 레이더로 하고유도는 APAR이 맡는데, 위상배열 레이더의 특성상, 동시 다표적 공격력이뛰어날 것으로 추측된다. 이 함정은 지금까지 독일해군의 방공을 담당해왔던 뤼첸스(비스마르크와 프린츠 오이겐을 지휘한 독일해군 제독-대장의 이름)를교체할 것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F124급의 상상도. 후방에 있는 거대한 판 모양의 레이더가 바로 Signaal의 SMART-L 3차원 F-Band레이더이다. 함교의 제일 위에 우뚝 솟은 구조물이 바로 문제의 APAR X-band 레이더이다.

독일 해군은 이 작센급에 저층 TBMD를 담당할 시스템을 탑재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중이다. 최근 네델란드의 시그날사와 공동연구 결과 현재의 시스템으로도 대함미사일의 집중공격에 대한 완전한 동시 지역방어능력을 보유하면서 저층 TBMD 기능을 수행하는 능력을 작은 규모의 업그레이드로 실현하는것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작센급의 대공전 시스템(AAWA)은 2005년까지 SM-2 Block 3A, ESSM, RAM, SM-2 Block 4A를 발사할 능력을 가질 것이다.

네델란드 방산업체 시그날(Signaal)이 주도하는 AAWS 개발 팀에는 휴즈, 다이믈러 벤츠 항공, 노던 텔레콤등이 포함되어 있다. AAWS의 주요 구성품은 다음과 같이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 I/J Band APAR
  • SMART-L D Band 장거리 3차원 레이더
  • Mk-41 VLS
  • SM-2 미사일

AAWS는 처음에 연안해역에서 초음속 미사일 위협에 대배해서 만들어졌지만 연구 결과 TBMD에 대한 커다란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AAWS의 레이더 시스템인 APAR과 SMART-L은 TBM의 대기권 재진입시 생기는 급격한 감속이나 의도적, 비의도적으로 발생하는 파편들을 정확하게 구분하고 표적을 추적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APAR은 각종 장애물 속에서 탄두를 정확하게 식별, 추적한 뒤 탑재한 SM-2 미사일을 유도하여 표적을 격파한다.

TBMD에서는 장거리에서 표적을 탐지하는 능력이 중요한데 장거리 탐지를 맡은 SMART-L레이더는 고도 350-400km 상공을 비행하는 러시아의 미르 우주정거장을 600km 거리에서 추적하는데 성공하는등 우수한 능력을 보였다. 이정도라면 위성의 도움 없이도 독자적으로 TBMD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수준이라 한다. 물론 SMART-L은 70도 이상 고각으로 접근하는 물체는 탐지할 수 없는 약점이 있지만 TBMD에 있어서 큰 문제점은 아닌것으로 여겨진다. 오히려 탐지각도의 증대 보다는 표적 데이터 처리능력 부분이 핵심사항이다. 시리우스 장비를 사용하면 구름이 없을 경우 상승단계의 탄도탄도 탐지 할 수 있다.

고층 TBMD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SM-3 운용을 위해 적절한 업그레이드가 이루어 진다면 현재 유럽 안보에 점차 큰 위협으로 다가오는 북아프리카와 중동 방면의 TBM위협에 대해 전 유럽을 방어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적절한 배치가 이루어 진다면). 대지공격용 무장(순항 미사일이나 기타)을 탑재할 여유를 가진 보다 큰 선체를 사용한다면 발사지점에 대한 직접적인 제압작전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네델란드 해군과 일부 유럽국가들은 미국이 개발중인 GPS 유도 LASM(지상 공격용 스텐다드 미사일)이나 FastHawk 공격용 미사일의 구입을 긍정적으로 검토중에 있다고 한다.

패스트 호크는 저가의 순항미사일 개념으로 속도는 마하 4, 추진부는 로켓+램 젯이며 해상에서 발사하는 지상 공격용 고고도 순항 미사일이다. 이 패스트 호크는 날개가 없다. 그래서 고속 순항이 가능하다. 추력변향 방식으로 조종되며 공중발사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미군의 지상공격용 미사일 개발 흐름을 보면 그렇게 추정됨).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유도방식은 GPS/INS유도이며 고도 70,000피트를 마하 4로 비행한다. 사거리는 700nm(약 13000km)이다. 표적에 대한 타격각도는 발사 초기에 설정하며 장차 강화표적에 대한 파괴력을 높이기 위해 관통탄두도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 데이터

Type 124 destroyers
배수량: 5,960 tons full load
제원: 143 x 17.2 x ?? meters (469 x 56 x ?? feet)
추진기관: 2 shafts; 2 cruise diesels, 19,848 bhp,
                    1 LM2500 boost gas turbine, 32,500 shp, 
          29 knots
승무원: 230 + 14 기함요원
탑재 항공기: helicopter deck and hangar for 2 NH-90 helos
레이더: APAR 3-D multifunction(X-band)
        Signaal SMART-L 3-D F-Band
        AN/SPS-67
소나: DSQS-21B
전자전 장비: FL-1800S II intercept, chaff
무장: 32 cell VLS (24 SM-2MR and 32 ESSM),
       8 Harpoon SSM, 2 21-cell RAM launchers,
       76 mm OTO DP, 2 triple 12.75 inch torpedo tubes,
       2 20 mmNumber
  Name                    Year            Homeport        Notes
[F219   Sachsen                 12/2002 building]
[F220   Hamburg                 12/2004 ordered]
[F221   Hessen                  12/2005 ordered]
[F222   Thuringen               12/2006 planned]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작센급과 교체될 뤼첸스 급이다. 미국이 수출용으로 제작한 CF Adams급 구축함으로 SPS-40 2D, SPS-52 3D 레이더와 2기의 SPG-51C 화력제어 레이더로 Mk-13 단장 발사대에서 발사되는 40발의 스텐더드 SM-1을 운용한다. 1기의 SPG-60 화력제어 레이더는 2문의 5인치 함포를 통제한다. 이외에 2기의 21연장 RAM 발사대를 장착하고있고, 다시 대잠용 아스록 8연장 발사기를 연통들 사이에 장비하고 있는 강력한 함정이다.

source:
http://www.uss-salem.org
http://www.boeing.com
Jane's IDR 98.1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2008년 02월 타겟용으로 생을 마감한 Arthur W. Radford함입니다
1971/01/15 명명식을 가졌으며 Ingalls Shipbuilding에서

1974/01/31에 건조에 들어가

1975/03/21 진수식을 가지게 되며

1977/04/16취역

1997/05 Advanced Enclosed Mast/Sensor System을 장착

2003/04/18 퇴역 합니다

1번사진: VLS 탑재전

2번사진: VLS 탑재형

3번사진: AEMSS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항모, 상륙강습함, 순양함이 전단으로!!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 처음 입항하는 니미츠

Nimitz급은 30여년동안 건조가 이루어졌고 미 해군에서 가장 핵심적인 함정인 까닭에 지속적인 개량이 이루어져 왔고, 이에 따라 각 함정마다 약간씩의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 초기형, 중기형, 후기형으로 나뉘어질 수 있습니다.

초기형 : 1번함부터 4번함까지
USS Nimitz (CVN 68)
USS Dwight D. Eisenhower (CVN 69)
USS Carl Vinson (CVN 70)
USS Theodore Roosevelt (CVN 71)

중기형 : 5번함부터 8번함까지
USS Abraham Lincoln (CVN 72)
USS George Washington (CVN 73)
USS John C. Stennis (CVN 74)
USS Harry S. Truman (CVN 75)

후기형 : 9번함부터 10번함까지
USS Ronald Reagan (CVN 76)
USS George H.W. Bush (CVN 77)

중기형의 경우 아일랜드에 추가적인 신형 전자장비의 장착에 따라 아일랜드 상부의 마스트가 약간 전방으로 이동 배치되고 함의 측면에 대한 경사설계가 이루어졌으며, 이외에도 함의 피격시를 대비한 발전된 데미지 컨트롤 시스탬과 방호력이 강화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전 세계 최초로 취역당시부터 만재배수량 10만톤을 돌파하는 함정(102,000t)으로 기록됩니다.

후기형에 와서는 아일랜드와 후방 레이더 마스트가 통합되어 전체적으로 대형화된 신형 아일랜드가 장착되었으며, 어레스팅 와이어의 갯수가 5개에서 4개로 줄어들었다는 점입니다. 이외에도 원자로의 연료수명주기가 초기형의 13년에서 26년으로 2배 증가하였습니다. 아울러 만재배수량 또한 104,000t으로 증가합니다.

자위용 무장 부문의 경우 중기형(및 현대화개량이후의 초기형 일부)들이 Mk.29 Sea Sparrow/ESSM 발사기 2기, RIM-116 RAM 발사기 2기, Mk.15 Phalanx CIWS 2기 내지 3기씩을 모두 장착, 초기형들에 비해 더 많은 자체 방어무장을 장착하는데 비해 후기형에 와서는 초기형 2척(개장이후)이 그러하듯 Mk.29 Sea Sparrow/ESSM 발사기 2기와 RIM-116 RAM 발사기 2기만 장착, 다시 원래대로 회귀하게 됩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첫번쨰 사진은 맨 앞에 일본의 무라사메급(유다찌)과 그 뒤로 싱가롤의 포미다블급, 인도의 라줍트급 구축함, 미국의 알레이벅급이 차례로 폼을 잡으며 항진하는 모습입니다.
저 맨 앞에 우리 KDX-2가 있었더라면 정말 멋있었을텐데... 아쉽습니다.
우리도 이제 좋은 배들이 있어 저런데 끼어도 기 안죽는데... 안끼는건지...끼지 못하는건지...

그다음은 호주의 올리버하자드페리급 프리깃과 인도 미국의 군함들..

마지막은 인도의 라줍트급 구축함 독사진. 이런걸 가지고도 이런 훈련에 끼는데 우리는?
***라줍트급 구축함****
Standard - 3950
Full - 4950 - 4974  
Length 146.5 m  
Beam 15.8  
Draft 4.8  
Speed 35 kts  
Armament 4 x SSN-N 2D Styx SSM
2 x SA-N-1 Goa SAM twin launchers
2 x 76 mm twin forward
8 x 30 mm (4 twin) AA
5 x 533 mm torpedoe tubes (quin)

Aircraft 1 x Ka-25 or Ka-28  
Crew 35 Officers
285 Enlisted  

우리 KDX-2보다는 약간 작은 군함이군요. 인도는 현재 이 클래스의 구축함이 5척 있습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키티호크를 호위하고 있는 LA급 원잠  Chicago (SSN 721)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노르웨이 이지스 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worldnavy.info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