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영국으로부터 도입한 오베론급 잠수함 6척의 대체 전력으로 신형 잠수함 도입 추진
- 1982년 부터 2001년까지 투자, 총 6척 건조 예정(추가 2척 건조 검토중)
- 1987년 스웨덴 Kockums社가 Type 17(베스테르 고틀랜드)을 확대, 개량하여 설계한 Collins급 채택
- 선체 건조의 70%, 전투 체계의 경우 1번함 45%, 6번함은 100% 국산화 예정

제원 및 성능
- 배수량 : 3,051톤(수상주행시)/3,353톤(잠항시)
- 크기 : 77.8m(길이)×7.8m(빔)×7m(흘수선)
- 최고속도 : 10kts(수상주행시)/20kts(잠항시)/10kts(스노클)
- 항속거리 : 9,000nm(10kts로 스노클주행시)/11,500nm(10kts로 수상주행시)
- 승조원(수용능력) : 42(장교 7명포함)
- 최대 잠항 심도 : 300m
- 최대 작전 일수 : 70일

무장 체계
- 어뢰 발사관 6문 × 533mm(21') / 어뢰 및 대함 미사일 최대 22발 / 기뢰 최대 44발
- MK 48 ADCAP 중어뢰 (Mark 48 Mod 4 : 유선유도식의 어뢰, 액티브/패시브식의 호밍방식, 탄두 267kg, 최대사정거리는 시속 55노트로 주행시 38km, 40노트로 주행시 50km)
- SUB H/P (보잉社, 액티브 레이더 추적, 마하 0.9, 30km범위내의 수상표적, 탄두 227kg)

전투체계
- 사격 통제, 대응 수단 전개, 탐색 추적, 지원 기능의 통합 전투 체계(MFCCs)탑재
- SUB H/P 대함 미사일의 운용 가능한 소프트 웨어 탑재

소나 체계
- ELEDONE 소나 시스템(TSM-2233) : 수동 소나(직경 3.5m 원통형 중저주파 Passive 소나), 능동 소나, 역탐지 소나, 자체 소음 탐지 소나등으로 구성
- 측면 배열 소나(FAS/TSM-2253) : 길이 30m, 선체 좌우에 설치 340。범위의 저주파 대역(50∼1,000㎐) 탐지
- 예인형 소나(TASS/Kariwara) : 함미X형 종회타의 상부에 수평으로 도출된 파이프속 수용, 어레이(Arrey) 직경 4cm 길이 70m, 견인 케이블 450m이상, 340。범위의 저주파 대역 탐지(측면 배열 소나와 연동하여 운용), 측면 거리 측정 소나(PRS), 중저주파(500∼5,000㎐)측정용 어레이로 구성

항해 및 통신 탐지 체계
- 잠망경 : CK043 수색 잠망경과 CK 093 공격 잠망경(Pilkington Optronics社), 열영상장비, 영상증폭기, 저광량 텔레비젼 센서등과 통합
- 항법레이더(I 밴드): Type 1007(Kelvin Hughes社), 안테나 유니트 송/수신기 디스플레이로 구성, 마스트에 장착
- ESM(electronic support measures) : Argo社 AR-740
- 수중 시그날/디코이 사출기(submerged signal and decoy ejectors, SSDE) : 스노클 마스트 위에 설치 (Strachan&Henshaw社)
- 광학 마스트(공격 잠망경 대체/ 정수집용) 및 위성통신 장비 설치 예정

추진 체계
- 3×Hedemora/Garden Island Type V18B/14 디젤엔진, 각 1475 kW출력
- 3×Jeumont Schneider 440 V 발전기, 각 1400 kW출력
- 추진축 1개, 7엽의 스큐드 프로펠러 : 1×메인모터, 5250 kW출력
- 디젤 발전기와 주 전동기는 충격 흡수용 고무와 스프링 위에 설치하여 방음, 방진 대책 적용
- 비상용 추진 동력용 유압 모터 보유 :1×MacTaggart Scott DM 43006
- AIP 체계는 Stirling엔진 시험중(?)

선체 구조
- 누적형 선체 및 내압 선체내에 프레임이 설치된 단각 구조
- 선체 재질은 니켈 크롬 합금강인 프레임이 설치된 단각 구조
- 합교탑에 잠항타, 함미에 X자형 종횡타 설치
- 전장 대 직경비 9.98

주요 특징
- 현존하는 디젤/전기 추진 잠수함 중 가장 대형이며, 우수한 소나와 전투 체계를 탑재
- 통합 전투 체계에 세계 최초 완전 광섬유 케이블 구조 기술 사용
- 피탐지율 감소를 위해 선체상 흡음 타일 부착

함번 함명 진수 취역 모항 건조회사
73 COLLINS 1993년 8월 28일 1996년 7월 27일 HMAS Stirling Australian Submarine Corporation
74 FARNCOMB 1995년 12월 15일 1998년 1월 30일 HMAS Stirling Australian Submarine Corporation
75 WALLER 1992년 2월 7일 1999년 4월 HMAS Stirling Australian Submarine Corporation
76 DECHAINEUX 1998년 3월 12일 1999년 10월 HMAS Stirling Australian Submarine Corporation
77 SHEEAN 1999년 5월 1일 2000년 8월 HMAS Stirling Australian Submarine Corporation
78 RANKIN 2000년 1월 2001년 6월 HMAS Stirling Australian Submarine Corporation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빙하와 함께한 캐나다해군 Operation NANOOK 07 훈련 이모저모


캐나다해군 HMCS FREDERICTON, HMCS SUMMERSIDE, HMCS CORNER BROOK 등이 참가하여 빙산과 함께한 Nanook 07 훈련장면들입니다.
Operation NANOOK 07은 Canada Command 관할하에 Baffin Island Coastal 와 Hudson Strait에서 8월 7일부터 17일까지 실시되었습니다.
Operation NANOOK 07은 육해공군외에 왕립캐나다 기마경찰 (미국 FBI와 같이 연방범죄를 다루는 경찰조직), 캐나다 해안경비대도 참여 합동으로 실시하는 훈련입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미해군 7함대 관할지역인 서태평양과 인도양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미해군 항공모함 USS Ronald Reagan (CVN 76)호가 Military Sealift Command소속 고속전투지원함 USNS Bridge (T-AOE 10)호와 대양을 기동하면서 해상보급을 받고 있습니다.
이 항모를 주축으로 구성된 Ronald Reagan Carrier Strike Group은 미해군 7함대 관할지역인 서태평양과 인도양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키티호크항모가 퇴역을 위해 미본토로 이동하였으며 대체항모인 워싱톤항모가 함정 수리관계로 아직 일본에 전진배치되지 못한 상황에서 레이건항모는 바쁘게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프랑스 해군이 2009년부터 건조에 들어갈 예정에 있는 Foch의 후계 차세대 항공모함인 PA2 (Deuxieme Porte Avions) 입니다.
당초에는 프랑스 해군이 Charles de Gaulle 2번함을 도입할 계획에 있었지만, 초도함의 건조계획에서부터 문제를 많이 일으킨 것을 잘 아는 프랑스 의회에서 추가 건조비용을 좀처럼 승인하지 않았고, 취역 이후에도 계속 제기되는 Charles de Gaulle의 문제점으로 인해 프랑스 해군 수뇌부에서조차도 신뢰성을 잃어 재래식 추진의 신형항모를 구상하게 되었습니다.

초기에는 DCN이 제안한 독자적인 신형 디자인의 만재 55,000t 급 항공모함의 설계안이 제안되었으나, 예산절감 이외에 영국 해군의 CVF계획 진행상황의 영향(계획 출발당시 40,000t급이었으나 현재 65,000t)을 받아 더 대형의 항공모함 도입필요가 제기되어 영국의 차세대 항공모함인 Queen Elizabeth(CVF)급 항공모함의 설계안을 전용, 변경하여 건조하기로 결정된 상태입니다(Thales사의 설계안을 DCN과 절충한 형태).

탑재될 함재기는 Rafale M인 만큼 캐터펄트 이착륙 방식을 사용하며, Chales de Gaulle 항모 건조사업 때 짧은 함의 길이로 인해 혼쭐이 난 만큼 영국해군의 Queen Elizabeth(CVF)급보다 (아주)약간 더 긴 넉넉한 길이 및 선체크기를 보유합니다.

2007년에 정식으로 주문되어 2009년에 건조에 들어갈 예정이며, 2011년 진수, 2015년 정식취역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할 예정에 있습니다.


제원

전장 : 284m
전폭 : 73m
흘수 : 11.5m
만재배수량 : 70,000 - 75,000t?
추진기관 : RR MT-30 가스터빈 2기 (IFEP), 디젤 4기, 2축추진, 항속거리 15kt시 10,000nm
속력 : 25kt
무장 : Sylver VLS 16 cell (Aster 15 단거리 함대공미사일 16기), Giat 20F2 20mm 기관포 4문
탑재기 : 평시 Rafale M 32기, E-2C 3기, NH-90 6기
승조원 : 1,000명, 항공요원 650명
예정함명(추정) : Richelieu (R92?)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460mm 괴물주포를 탑재한 놈이죠.

가끔 상상으로 이놈이 종전까지 침몰하지 않았다가 미국으로 넘어가 SPY-1 위상배열 레이더와 NR-1 항법 레이더, SR-1 수중 레이더와 골기퍼와 수중어뢰 발사관, 하푼 발사기에 전자동 재장전&레이더 링크 조준장치등등등 달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중국 인해전술 오는데 포격해 보고 싶어 지는군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091한급잠수함임니다

 

401 ChangZheng 1 North Sea  26 Dec 70 1 Aug 74 Type 091 Han Class Decommissioned in 2000
402 ChangZheng 2 North Sea  20 Dec 77 30 Dec 80 Type 091 Han Class Decommissioned in 2001 
403 ChangZheng 3 North Sea  31 Oct 83 25 Dec 84 Type 091 Han Class  
404 ChangZheng 4 North Sea  26 Dec 85  27 Dec 87  Type 091 Han Class  
405 ChangZheng 5 North Sea Apr 90 Dec 90 Type 091 Han Class  

 

한급잠수함이 2대가 연달아 찍힌건 처음이라요

내래 중국최초의 핵잠수함이니 한국은 그저 돌핀잠수함 & #50043;을때

중국은 한급잠수함으로 제해권을얻은것임나 마찬가지조

 

어뢰는 중국이 스스로 개발한 yu-3이라는

어뢰 20기가 탑재되는데 액티브/패시브 물론 둘다되지요 

 

근데 고작 10기도탑재못하는 한국해군 214보다 훨신앞서갔지요

어차피 214도 침몰되면 똑같이 침몰될건데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Typhoon급 잠수함은 핵추진 탄도미사일 잠수함으로 1980년대에 배치된 러시아해군 잠수함입니다.
최대 배수량 26,000 ton의 Typhoon은 전세계에서 가장 큰 잠수함으로 NATO보고에 따르면 1974년 Leonid Brezhnev 가 신형 탄도미사일 잠수함을 발표하면서 "typhoon" (тайфун) 이라고 명명하였다고 합니다. 러시아 개발명은 Type 941 Akula라고 부릅니다.
러시아 소련 잠수함은 아주 튼튼하고 특히 Typhoon급 전략핵잠수함은 북극의 얼음 15~20m 가량을 깨고 부상핵미사일 발사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1981년 당시 소련은 Typhoon 잠수함의 광고 필름을 제작합니다.
그 필름에서 처음으로 공개된 Typhoon급과 Oscar급에는 내부에 작은 수영장시설과 휴개실,헬스장사우나실을 갖추고 있는 거대한 잠수함이였습니다. 마음만 먹으면 미국을 초토화 시킬정도로 엄청난 양의 핵탄두 미사일을 장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전세계를 불안에 떨게하였습니다.
당시 CIA에서는 Typhoon의 출항소식과 함께 미 해군에게 TK-208을 추적해달라고 요청하여 미해군 LA급 5번함인 SSN-692 Omaha호가 북극해 근처에서 Typhoon을 찾아내고 약 3일동안 추적하게 됩니다.
Omaha가 27노트로 순항중이던 Typhoon을 놓친것은 10월 1일로 서서히 감속하기 시작하더니 순식간에 소나시스템의 모니터에서 사라져 버렸고 그 소식이 미국 국방성에 전달되자 미국은 발칵뒤집히게 됩니다. 그날 이후 북극해에서 러시아와 미국의 끝없는 추격전이 시작됩니다.
북극해에는 그당시 건조& #46124;었던 LA급 10대가 모두 모이게 되고 러시아도 Typhoon의 안전을위해 Alpha급 한척을 호위함으로 동행하면서 그때부터 타이푼은 항상 알파급이 호위하게 되었고. 나토코드명이 정해진것 역시 그때입니다.
함이력
함명: Akula ( Акула ) (NATO 암호명 : Typhoon )
건조사: Rubin Design Bureau
전기함: Delta 급 잠수함
후속함: Borei 급 잠수함
취역: 1981 년 12월 12일
완성척수: 7 척
운영척수: 1 척
Laid up: 2 척

일반제원
형식: 탄도미사일
배수량: 수상 - 23,200-24,500 tonnes, 수중 - 33,800-48,000 tonnes
길이: 175 metres
함폭: 23 metres
홀수: 12 metres
추진기관:
2×OK-650 pressurized-water nuclear reactors →90 megawatt each
2×VV-type steam turbines →37 megawatt each
2 축 7 엽 shrouded screws
속도: 수상 - 12 knots, 수중 - 27 knots
시험잠수심도: 400 metres
승조원: 163
무장:
1×9K38 Igla SAM
4×650 mm 어뢰발사관을 통해 →RPK-7 Vodopad AShMs, →Type 65K 어뢰
2×533 mm 어뢰발사관 →RPK-2 Viyuga 순항미사일, →Type 53 어뢰
D-19 발사기 →20×RSM-52 SLBMs
건조함 내역

함번 건조착수 진수 취역 현황
TK-208 March 3, 1977 September 23, 1980 December 12, 1981 Bulava 미사일 시험용으로 운용중
TK-202 October 1, 1980 April 26, 1982 December 28, 1983 1995년 퇴역하여 2003-2005 스크랩처리
TK-12 April 27, 1982 December 17, 1983 December 27, 1984 1996년 퇴역하여 2006년 스크랩처리 대기중 
TK-13 January 5, 1984 February 21, 1985 December 29, 1985 1997년 퇴역, 2006년 스크랩처리 대기중 
TK-17 February 24, 1985 August 1986 November 6, 1987 예비역으로 보관중, 현대화 예정 
TK-20 January 6, 1987 June 1988 September 1989 예비역으로 보관중, 현대화 예정
TK-210 건조취소


러시아부여 함명과 함번
TK-208 : Dmitri Donskoi.
TK-12 : Simbirsk in 2001.
TK-17 : Arkhangelsk on November 18, 2002.
TK-20 : Severstal
TK-208 : Dmitri Donskoi.
TK-12 : Simbirsk in 2001.
TK-17 : Arkhangelsk on November 18, 2002.
TK-20 : Severstal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러시아 해군 순양함 RFS  Kerch입니다.

kara급 순양함의 3번함으로 1974년 취역 하였으며 현재 동형함정중에서는 유일하게 러시아 해군에서 유일하게 현역으로 활동중이며 흑해함대 30수상함사단 11대잠함여단 소속입니다.

 

제원  

길이 : 173.3m

폭 : 18.6m

홀수 : 6.7m  

배수량: 9,900t

추진기관 : 가스터빈4기, 출력 : 120,000hp

항속속도 ; 9000nm

속력 :32kt

 

무장

RPK-3 (NATO명 SS-N-14 Silex) 대잠미사일 8기

M-11 Shtorm (NATO명 SS-N-3 Goblet) 함대공 미사일 2연장 발사기2기(미사일80기)

9K33 Osa (NATO명 SA-N-4 Gecko) 함대공 미사일 발사기1기 (미사일 40기)

AK - 726  76mm 함포2문

AK - 630  30mm 기관포4문  

RBU - 6000 대잠로켓발사기2문

RBU - 1000 대잠로켓발사기2문

탑재헬기 :Ka - 25  1기

승조원 : 380명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중국군의 스텔스 고속정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유용원의 군사세계, 똘이 장군님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sklove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