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천 진행방향|머리로 읽는 글

동곡(東谷) | | 조회 296 |추천 0 |2019.11.21. 12.20           http://cafe.daum.net/dongsehe/6uhq/154 

<잘 못 알려진 소주천의 진행 방향>

 

 기의방이 형성되고 운기가 시작된 다음에는 임맥任脈을 따라 기운이 아래에서 위쪽으로 흐르게 되어있습니다. 왜냐하면 임맥은 음맥陰脈이기 때문입니다. 음陰에 속하는 임맥은 밑에서 위로 흐르게 되어 있습니다. 회음會陰에서 시작하여 단전을 종단하여 중완, 전중, 옥당을 거쳐 승장까지 흐르고 그곳에서 독맥督脈과 이어지게 되어 있습니다. 단전에서 흘러나온 기운은 이처럼 기의 자연의 흐름을 타고 임맥을 올라가서 독맥내려 옵니다. 머리 백회를 지나고 뒤통수를 따라 척추 독맥을 따라서 하강합니다. 그리고 대체로 배꼽 부위에서 우리가 흔히 바지가 흘러내리지 않게 매는 허리띠와 같은 위치에 따라 좌우 4개씩 배열되어 있는 경혈을 통하여 허리를 한 바퀴 감아 흐릅니다. 바로 대맥帶脈을 한 바퀴 도는 것입니다.

 

 단전에서 흘러나온 기운이 왼쪽에부터 허리를 한 바퀴 뒤로 돌아 다시 단전으로 흘러 들어오게 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대맥유통이라고 합니다. 대맥유통을 끝낸 기운은 임맥을 따라 위로 흐르게 되어 있는 것입니다. 임맥을 따라 승장혈까지 올라간 기운은 잠시 멈추어 축기된 기운을 보충한 뒤에 다시 뻗어 올라갑니다. 혀끝을 통하여 입천장을 지나 독맥과 이어짐으로써 머리의 정 중앙을 종단하여 올라갑니다. 백회를 지나 몸 뒤쪽의 척추를 따라 정 중앙을 종단하여 아문, 명문을 거쳐 아래로 장강까지 아래로 흘러내리게 되어 있습니다. 장강에서는 임맥의 회음과 연결되어 임독을 일주하게 됩니다.
 

 선도에관한 대부분 책에는 거의 예외 없이 임독맥을 운기할 때에는 단전에서 회음으로 기운을 내려 장강을, 독맥을 타고 올라서 임맥을 통해 내려 옵니다. 그것은 소주천 운기 수련을 할 때 예부터 채택한 수련방법일 뿐이지 기의 자연스러운 흐름은 그와는 반대입니다. 연정화기煉精化氣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남자는 남근이 발기할 때 위쪽으로 뻗어 있으므로 미쳐 기화(氣化)되지 않는 정(精)이 남근을 통하여 밖으로 새어나갈 우려가 있으므로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입니다. 남근이 발기해서 기가 빠지는 방향과 반대로 해서 기운을 빠지지 않게 모아 들이는 방법입니다. 그것이 기운이 독맥으로 오르고, 임맥으론 내리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음의 기경에 속하는 임맥의 자연스런 기의 흐름은 아래서 위로 흐릅니다. 양의 기경팔맥에 속하는 독맥은 위에서 아래로 유통된다는 겁니다. 이것을 확실히 모르면 초보자들은 당황할 때가 있습니다. 이미 세상에 나온 모든 선도에 관한 책들에 쓰여 있는 대로 단전에서 기운을 회음으로 보내고 독맥의 장강, 명문을 거쳐 아문, 백회로 올린다는 것만 알고 있는 초보자들은 축기가 되면 기운이 이 자연의 흐름을 따라 임맥의 기운이 위로 오르는 것을 느끼고는 무엇이 크게 잘못된 줄 알고 몹시 당황할 때가 있습니다.

 

 삼공 김태영 선생 역시 초보자 시절에 이 같은 경험을 하고 그 원인을 알려고 했던 일이 있었습니다. 단전호흡의 전문가라는 사람들 중에 아무도 그 원인을 정확히 아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그들은 으레 기운이 단전에서 회음과 장강 , 명문을 통해 백회로 올라가는 줄 잘못 알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모든 음맥은 아래서 위로 그리고 모든 양맥은위에서 아래로 흐르고 있으며 임맥은 음맥이고 독맥은 양맥이라는 것을 모르고 있었습니다. (이는 오행생식을 창안한 현성 김춘식 선생이 자석조끼 등을 만들어 착용하는 등 기혈의 흐름을 연구하다가 기존의 소주천은 자연의 흐름과 반대로 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게 된 것입니다.

 

 청ㅇ선사 역시 소주천을 역방향으로 오래 하다가 지나치게 기운을 모아 들이는 주천을 했기에 마음도 욕심이 많아 졌다고 합니다. 그래서 임금질 하겠다는 욕심을 품었는지? 끌려가 고문도 당하고, 그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일ㅇ대선사라는 사람도 지나치게 소주천을 역방향으로 오래 해서 돈이고 뭐고 모아 들이는 욕망을 이기지 못하고 도둑놈 심보가 되어 많은 문제를 일으키다가 결국 미국으로 도망을 갔지 않느냐고? 했습니다.)
 소주천 수련 때 기를 자연의 흐름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려도 의식적으로 소주천 수련을 하고 나면 기는 다시 자연의 흐름을 따라 흐르게 되어 있으므로 아무 지장 없다고 합니다. 연정화기를 위해 한때 성기의 발기 방향과 반대로 주천 하여 기운을 모으는 수련을 합니다.

 소주천 수련 때 제일 어려운 관문은 꼬리 뼈 부분에 있는 장강과 목뼈에 있는 아문혈입니다. 대체로 이 관문만 무사히 통과하면 처음에는 40분 내지 30분이 걸리지만 익숙해지면 점차로 시간이 짧아져서 1분대로 단축됩니다. 나중에는 소주천을 의식만 해도 즉시 일주를 하게 됩니다. 거꾸로 흐르라고 의식을 걸면 그 즉시 거꾸로 흐르고 자연의 흐름에 맡겨도 의식만 걸면 즉각 일주를 하게 됩니다. 의식만 걸어도 1분 이내에 임독으로 기운을 일주 시킬 수 있으면 소주천이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소주천이 완성되면 무엇보다도 몸이 뜨겁게 달아오릅니다. 양기陽氣가 임독을 통해 유통되기 때문입니다. 추위를 많이 타는 증세가 씻은 듯이 사라집니다. 또한 더위에 대한 적응력이 강해집니다. 찌는 더위 속에서도 선풍기나 에어컨을 이용하지 않아도 더위에 지치는 일이 없습니다. 중노동과 강한 운동에 대한 저항력도 생깁니다. 아무리 힘든 노동을 하고 나거나, 등산 후에도 금방 피로가 회복됩니다. 또한 피부에 좋은 기운이 발산되어 모기, 벌 그 밖의 독충에게 물리거나 돌이나 나무에 걸려 상처를 입어도 그전과는 비교도 안 되게 짧은 시간에 자연 치유가 됩니다. 몸이 가벼워지고 항상 수승화강이 이뤄져 머리가 맑고 가볍습니다



힘들고 괴로울때 따라 외치세요.|┣▶시,글,그림,영상들

지관 혜봉(만봉) | 조회 1 |추천 0 |2019.11.06. 07:43 http://cafe.daum.net/manbong4684/5YXV/9675 

힘들고 괴로울때 따라 외치세요.

나는 존경 받고 싶은 마음을 버리겠습니다.
나는 칭찬 받고 싶은 마음을 버리겠습니다.
나는 사랑 받고 싶은 마음을 버리겠습니다.
나는 대접 받고 싶은 마음을 버리겠습니다.
남을 이기고 남의 위에 서겠다는 생각을 버리겠습니다.
나의 참생명은 부처님 생명입니다.
내 생명은 따로이 있지 않습니다.
모두가 한 생명인 부처님 생명이 나의 참생명입니다.
그러한 까닭에 나에게는 남이 없습니다.
모두가 나일 뿐입니다.
남인 것처럼 보이지만
모두가 나인 그 모든 형제들에게
언제나 심부름하는 마음으로 살겠습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법회 때 한탑 스님을 따라서 합창했던 내용입니다.
괴로움은 "나"라는 생각에서 비롯되었고
절망은 나를 상대유한의 존재로 규정했을 때이므로
본래부터 영원한 아미타 절대생명이 드러나는
염불에 의지하라고 따뜻하게 일러주십니다.
공포스러워해야할 것은 본래 없다구요.

바꿔야 할 남은 없다.
내가 바뀌면 남도 바뀐다.
내가 바뀔 때 가정이 바뀐다.
내가 바뀔 때 나라가 바뀐다.
내가 바뀔 때 세계도 바뀐다.
무엇으로 바뀌느냐?
나무아미타불로 바뀐다.

법문 감사합니다.

오늘도 집과 직장과 거리에서 만나는 일체 모든 부처님 생명,
그러나 저는 제가 맞다고,
제가 본 것만 옳다고 우기면서 괴로워하네요.
불쌍하게 봐 주세요.
나무아미타불
(052-1217)

'인연과 정신세계 > 법문과 염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의 주인이 되라   (0) 2019.12.17
내가 알게 된 참 겸손  (0) 2019.12.12
지혜있는 자의 덕목  (0) 2019.09.17
법문  (0) 2019.03.11
[스크랩] 모든 것은 다 지나간다  (0) 2018.10.08

14세기 고려 불화 수월관음도                 조회 4 |추천 0 |2014.10.21. 07:01                               


	미쓰이(三井) 기념미술관 전시 도록/조선일보DB

        

고려 불화 수월관음도


700여년 동안 존재조차 모르고 있던 최상급 고려불화(佛畵)가 발견됐다. 일본의 개인 소장자가  

소유하고 있던 14세기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가 도쿄 미쓰이 기념미술관 '히가시야마 보물의   

 미'전에 출품되며 세상에 나온 것이다                                                                               

고려불화는 세계적으로 160여 점밖에 남아 있지 않은 유물이다. 특히 달빛 아래 바위 위에서 반  

가좌(半跏坐)로 앉은 관음보살이 불법(佛法)을 일깨우는 모습을 그린 ‘수월관음도’는 전 세계에  

 약 40점만이 남아 있을 정도로 희소성이 있는 그림이다                



 [불갑사]   전남 영광군 불갑사.     

| 조회 43 |추천 0 |2019.09.22. 05:31 http://cafe.daum.net/disica/NB5/19260 



















 

다음검색



지혜있는 자의 덕목
 
 말(言)
말을 많이 하면 필요 없는 말이 나온다
양 귀로 많이 들으며, 입은 세번 생각하고 열라

 

 책(讀書)
수입의 1%는 책을 사는데 투자하라
옷이 헤어지면 입을 수 없어 버리지만
책은 시간이 지나도 그 위대한 진가를 품고 있다

 

 노점상
할머니 등 노점상에서 물건을 살 때
깎지말라 그냥 돈을 주면 나태함을 키우지만
부르는대로 주고 사면 희망과 건강을 선물하는 것이다

 

 웃음(笑)
웃는 연습을 생활화 하라
웃음은 만병의 예방약이며 치료약이며
노인을 젊게하고 젊은이를 동자(童子)로 만든다

 

 TV(바보상자)
텔레비젼과 많은 시간 동거하지 말라
술에 취하면 정신을 잃고 마약에 취하면
이성을 잃지만 텔레비젼에 취하면
모든게 마비 된 바보가 된다

 

 성냄(禍)
화내는 사람이 언제나 손해를 본다
화내는 사람은 자기를 죽이고 남을 죽이며
아무도 가깝게 오지 않아서 늘 외롭고 쓸쓸하다

 

 기도(祈禱)
기도는 녹슨 쇳덩이도 녹이며
천년 암흑 동굴의 어둠을 없애는 한줄기 빛이다
주먹을 불끈 쥐기보다 두손을 모으고 기도하는 자가 더 강하다
기도는 자성을 찾게하며 만생을 유익하게 하는 하나의 묘약이다

 

 이웃(隣)
이웃과 절대로 등지지 말라
이웃은 나의 모습을 비추어 보는 큰거울이다
이웃이 나를 마주할 때 외면하거나 미소를 보내지 않으면
목욕하고 바르게 앉아 자신을 곰곰히 되돌아 봐야 한다

 

 사랑(慈愛)
머리와 입으로 하는 사랑에는 향기가 없다
진정한 사랑은 이해. 관용. 포용. 동화 자기 낮춤이 선행된다

존경하는
김수환 추기경 말씀 "사랑이 머리에서"
가슴으로 내려온는데 칠십년 걸렸다.

 

 멈춤(止觀)
가끔은 칠흑같은 어두운
방에서 자신을 바라보라
마음의 눈으로 마음의 가슴으로
주인공이 되어 나는 누구인가
어디서 왔나...
어디로 가나...
조급함이 사라지고
삶에 대한 여유로움이 생기나니...

 

 
 


01.청산
02.명상
03.마음
 
04.윤회의 수레바퀴
05.화엄사
06.일장춘몽
 
07.태자 싯달타의 출가
08.남겨둘 줄 아는 사람
09.농담같은 인생
 
10.청산(연주곡)
11.명상(연주곡)
12.마음(연주곡)
 
13.윤회의 수레바퀴(연주곡)
14.화엄사(연주곡)
15.일장춘몽(연주곡)
16.태자 싯달타의 출가(연주곡)
 


 

[스크랩] Re: 봄을 그대에게 / 유심唯心(오직 마음뿐)|좋은글 나누기

유당 | | 조회 26 |추천 0 | 2019.04.09. 04:17 http://cafe.daum.net/truenature/KIMF/7169 



유심(唯心, 오직 마음뿐)



마음은 법계에도 두루하고 허공계에도 두루하여


드넓은 하늘도 마음의 당체를 결코 덮을 수 없고,


마음은 영원히 빛을 비추고 영원히 나타나있기에


쇠로 만들어진 산도 마음의 빛을 결코 감추지 못하며,


마음은 머물지도 않고 의지하지도 아니하기에


인간의 노력으로 마음의 본성을 결코 바꿀 수 없고,


마음은 순수하지도 않고 잡스럽지도 않아


이 세상 모든 것이 마음의 참됨을 결코 숨기지 못하네.



遍界遍空  穹蒼不能覆其體  常照常現  鐵圍不能匿其輝

변계변공  궁창불능복기체  상조상현  철위불능닉기휘


無住無依  塵勞不能易其性  非純非雜  萬法不能隱其眞

무주무의  진로불능역기성  비순비잡  만법불능은기진


- 영명(永明) 선사 「유심결(唯心訣)」/ 장백산님 제공


부처자리와 중생자리|마음공부 생활수행

법상 | 조회 371 |추천 2 |2019.02.16. 12:49 http://cafe.daum.net/truenature/7qUb/338 


우리의 두 눈으로 모든 대상들이 끊임없이 보여집니다.

억지로 보려고 애쓰지 않더라도, 이 보는 작용은 저절로 이루어집니다.

이렇게 저절로, 있는 그대로 보이는 작용을 '보는 작용', 혹은 '보는 놈' 혹은 '첫 번째 자리에서 본다', 혹은 '있는 그대로 본다', '분별없이 본다', 정견(正見)한다', '중도로 본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첫번째 자리에서는 있는 그대로의 대상이 있는 그대로 보일 뿐! 이지만, 우리는 곧장 그 대상에 대해 자기식대로 해석하고 이름을 붙이고 분별하기 시작합니다.

이것을 '분별해서 본다', '의식으로 본다', '안식으로 본다', 두 번째 자리에서 본다, 두 번째 화살을 맞는다, 왜곡해서 본다, 있는 그대로를 자기식대로 해석해서 본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전자의 첫 번째 자리에서 분별없이 있는 그대로 보는 작용이 곧 말로 하자면 불성의 작용이고, 자성이 보는 것이며, 부처로써 보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후자의 두 번째 자리에 떨어져서 대상을 해석하고 분별하고 좋거나 나쁘다고 나눈 뒤에, 좋은 것은 취하고 싫은 것을 버리려고 애쓰기 시작하는 등의 취사간택심이 시작되면서, 본래 부처였던 우리가 곧장 중생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온갖 문제가 생겨나고, 취해야 하고 버려야 할 일들이 생겨나고, 얻지 못해 괴롭고, 거부하지 못해 괴로운 등의 온갖 문제가 생겨납니다.

대상은 있는 그대로일 뿐이지만, 우리의 분별, 견해, 중생심이 대상을 좋거나 나쁜 것으로 분별하고 그것이 옳다고 믿기 시작한 것이지요.

이것이 바로 중생이 중생인 이유입니다.

첫 번째 자리에서, 있는 그대로를 있는 그대로 볼 때, 아무런 문제도 없고, 지금 이대로 모든 것은 본래 완전했던 자리로 돌아갑니다.

여러분은 첫 번째 자리와 두 번째 자리 중 어디에 계십니까?
..........

2월 10일 금련사 일요법회 설법
https://youtu.be/FYyw6ArWpQc


 

    모든 것은 다 지나간다 개울가에 앉아 무심히 귀 기울이고 있으면 물만이 아니라 모든 것은 멈추어 있지 않고 지나간다는 사실을 새삼스럽게 깨닫는다. 좋은 일이든 궂은 일이든 우리가 겪는 것은 모두가 한때일 뿐 죽지 않고 살아 있는 것은 세월도 그렇고 인심도 그렇고 세상만사가 다 흘러가며 변한다. 인간사도 전 생애의 과정을 보면 기쁨과 노여움 슬픔과 즐거움이 지나가는 한때의 감정이다. 이 세상에서 고정불변한 채 영원히 지속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세상일이란 내 자신이 지금 당장 겪고 있을 때는 견디기 어려울 만큼 고통스런 일도 지내 놓고 보면 그때 그곳에 그 나름의 이유와 의미가 있었음을 알아차린다. 이 세상일에 원인 없는 결과가 없듯이 그 누구도 아닌 우리들 자신이 파놓은 함정에 우리 스스로 빠지게 되는 것이다. 오늘 우리가 겪는 온갖 고통과 그 고통을 이겨 내기 위한 의지적인 노력은 다른 한편 이 다음에 새로운 열매가 될 것이다. 이 어려움을 어떤 방법으로 극복하는가에 따라 미래의 우리 모습은 결정 된다. - 법정스님의 글 중에서 -

 

               토지사랑  http://cafe.daum.net/tozisarang/           

                토지투자동호회밴드


        추천하기  추천부탁드립니다 .

       


출처 : 토지사랑모임카페
글쓴이 : 인제토지사랑 원글보기
메모 :



인생살이 네 가지 소중한 지혜

제행무상(諸行無常)
태어나는 것은 반드시 죽는다.
형태 있는 것은 반드시 소멸한다.
나도 꼭 죽는다. 라고 인정하고 세상을 살아라.
죽음을 감지하는 속도는 나이별로 다르다고 한다.
청년에게 죽음을 설파한들 자기 일 아니라고 팔짱을 끼지만,
노인에게 죽음은 버스 정류장에서 차를 기다림과 같나니
종교, 부모, 남편, 아내, 누구도 그 길을 막을 수 없고,
대신 가지 못하며, 함께 가지 못한다.
하루 하루, 촌음(寸陰)을 아끼고 후회 없는 삶을 사는 것,
이것이 죽음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유일한 길이다.

회자정리(會者定離)
만나면 헤어짐이 세상사 법칙이요 진리이다.
사랑하는 사람, 일가친척, 남편, 부인, 자식, 명예, 부귀영화,
영원히 움켜쥐고 싶지만 하나 둘 모두 내 곁을 떠나간다.
인생살이는 쉼 없는 연속적인 흐름인 줄 알아야 한다.
매달리고, 집착하고, 놓고 싶지 않는 그 마음이 바로
괴로움의 원인이며 만병의 시작이니,
마음을 새털같이 가볍게 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원증회고(怨憎會苦)
미운 사람, 싫은 것, 바라지 않는 일, 반드시 만나게 된다.
원수, 가해자, 아픔을 준 사람, 꼴도 보기 싫은 사람도 만나게 되며,
가난, 불행, 병고, 이별, 죽음 등 내가 피하고 싶은 것들이

나를 찾아온다. 세상은 돈다.
빙글빙글 주기적 사이클로 나도 자연의 일부인 만큼

사이클이 주기적으로 찾아온다.
이를 '라이프사이클(life cycle)'이라한다.
현명하고 지혜롭고 매사에 긍정적인 사람은 능히 헤쳐 나가지만
우둔하고 어리석고 매사에 소극적인 사람은 그 파도에 휩쓸리나니
늘 마음을 비우고 베풀며 살아라.


구부득고(求不得苦)
구하고자, 얻고자, 성공하고자, 행복하고자,
하지만 세상살이가 그렇게 만만치 않다.
내가 마음먹은 대로 다 이루어지면 고통도 없고 좋으련만
모든 것은 유한적인데 비해 사람 욕심은 무한대이므로
아무리 퍼부어도 채워지지 않는 항아리와 같다.
그러므로 욕심덩이 가득한 마음을 조금씩 덜어 비워가야 한다.
자꾸 덜어내고 가볍게 할 때, 만족감, 행복감, 즐거움이 그를 따른다.
마치 형체를 따르는 그림자와 같이……

☞《지혜의 향기》중에서 ☜







출처 : 화 목 한 사람들
글쓴이 : 안개꽃12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