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불정능엄신주

 

 

 

         스타타가토스니삼 시타타파트람 아파라지탐 프라튱기람 다라니
         나맣 사르바 붇다보디사트베뱧 
         나모 샆타남 사먘삼붇다 코티남 사스라바카삼가남 
         나모 로케아르한타남
         나모 스로타판나남
         나모 스크르타가미남
         나모 아나가미남
         나모 로케사먘가타남 사먘프라티판나남
         나모 라트나트라야야
         나모 바가바테 드르다수라세나 프라하라나라자야 

         타타가타야아르하테 사먘삼붇다야 나모바가바테 아미타바야
         타타가타야아르하테 사먘삼붇다야 나모바가바테 앜소뱌야
         타타가타야아르하테 사먘삼붇다야 나모바가바테
                           바이사이쟈구루바이투랴 프라바라자야

         타타가타야아르하테 사먘삼붇다야 나모바가바테

                           삼푸스피타사렌드라라자야
         타타가타야아르하테 사먘삼붇다야 나모바가바테 사캬무나예
         타타가타야아르하테 사먘삼붇다야 나모바가바테

                           라트나쿠수마 케투라자야
         타타가타야아르하테 사먘삼붇다야 나모바가바테

                           타타가타쿠라야 

         나모바가바테 파드마쿠라야
         나모바가바테 바즈라쿠라야
         나모바가바테 마니쿠라야
         나모바가바테 가르자쿠라야 

         나모데바르시남 
         나모싣다비댜다라남
         나모싣다비댜다라르시남 사파누그라하 사마르타남
         나모브라흐마네
         나모인드라야
         나모바가바테 루드라야 우마파티사헤야야
         나모나라야나야 랔삼미사헤야야 팜차마하무드라
         나마스크르타야
         나모마하카라야 트리푸라나가라 비드라파나카라야

                     아디뭌토카 스마사나바시니 마트르가나 
         나맣스크르타야 에뵤
         나맣스크르트바
         이맘 바가바타 
         스타타가토스니삼 시타타파트람 나마파라지타 프라튱기람
         사르바데바 나마스크르탐
         사르바데베뱧 푸지탐
         사르바데베스차 파리파리탐
         사르바부타그라하 니그라하카림 파라비댜체다나카림

               두남타남 사트바남 다마캄 두스타남 

              니바라님 아카라므르튜 프라사마나카림

         사르바반다 나뫀사나카림
         사르바두스타 두스바프나니바라님
               차투라시티남 그라하사하스라남 비드밤사나카림
               아스타빔사티남 낰사트라남 프라사다나카림
               아스타남 마하그라하남 비드밤사나카림
         사르바사트루니바라님
              구람 두스바프나남차나사님
              비사사스트라 아그니우다카우트라님 아파라지타구라 

         마하찬남
         마하디프탐
         마하테잠
         마하스베탐 즈바라
         마하바라 스리야판다라바시님
              아랴타라 브르쿠팀 체바잠 

         바즈라마레티 비스루탐 파드마크맘
         바즈라지흐바차 마라체바파라지타
         바즈라단디 비사라차 산타바이데하푸지타 사이미루파
              마하스베타 아랴타라
              마하바라아파라
         바즈라상카라체바
         바즈라코마리 쿠란다리
         바즈라하스타차
               마하비댜 타타캄차나마리카 쿠숨바라타나체바 바이로차나
               쿠다르토스니사 비즈름바마나차
         바즈라카나카 프라바로차나
         바즈라툰디차 스베타차카마랔사 사시프라바 이톄테무드라가나
               사르베랔삼 쿠르반투 마마샤

         옴리시가나 프라사스타 타타가토스니사
         훔브룸 잠바나
         훔브룸 스탐바나
         훔브룸 보하나
         훔브룸 파라비댜 삼밬사나카라
         훔브룸 사르바두스타남 스탐바나카라
         훔브룸 사르바얔사 랔사사그라하남 비드밤사나카라 
         훔브룸 차투라시티남 그라하사하스라남 비나사나카라
         훔브룸 아스타빔사티남 낰사트라남 프라사다나카라
         훔브룸 아스타남 마하그라하남 비드밤사나카라
                랔사랔사 맘 바가밤 

         스타타가토스니사
         마하프라튱기레
         마하사하스라부제 사하스라시르사이
         코티사타사하스라네트레 아벰댜
         즈바리타나타나카
         마하바즈로다라 트르부바나 만다라 

         옴 스바스티르바바투 마마
         라자바야
         초라바야
         아그니바야
         우다카바야
         비사바야 
         사스트라바야
         파라차크라바야
         두르빜사바야
         아사니바야
         아카라므르튜바야
         다라니부미캄파바야 
         우르카파타바야
         라자단다바야
         나가바야
         비듀바야
         수프라니바야 

         얔사그라하 
         랔사사그라하
         프레타그라하
         피사차그라하
         부타그라하
         쿰반다그라하
         푸타나그라하
         카타푸타나그라하
         스칸다그라하
         아파스마라그라하
         운마다그라하
         차야그라하
         레바티그라하 

         우자하리냐
         가르바하리냐
         자타하리냐
         지비타하리냐
         루디라하리냐
         바사하리냐
         맘사하리냐
         메다하리냐
         마자하리냐
         반타하리냐
         아수챠하리냐
         치차하리냐 

         테삼사르베삼 사르바그라하남
         비댬친다야미 키라야미 파리브라자카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다카다키니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마하파수파티 루드라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타트바가루다사헤야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마하카라 마트르가나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카파리카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자야카라마두카라

                                     사르바르타 사다나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차투르바기니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브름기리티카

                                     난디케스바라 가나파티 사헤야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나그나스라마나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아르한타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비타라가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바즈라파니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브라흐마크르탐

                                     루드라크르탐 나라야나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바즈라파니 구햐카디파티
         크르탐비댬 친다야미키라야미 랔사랔사맘 바가밤 시타타파트라 

         나모스투테 아시타나라르카
         프라바스푸타 비카시타타파트레
         즈바라즈바라 다카다카 비다카비다카
         다라다라 비다라비다라 친다친다
         빈다빈다 훔훔
         파트 파트
         스바하 헤헤 파트
         아모가야 파트
         아프라티하타야 파트
         바라프라다야 파트
         아수라비드라파카야 파트
         사르바 데베뱧 파트
         사르바 나게뱧 파트
         사르바 얔세뱧 파트
         사르바 랔사세뱧 파트
         사르바 가루데뱧 파트
         사르바 간다르베뱧 파트
         사르바 아수레뱧 파트
         사르바 킨다레뱧 파트
         사르바 마호라게뱧 파트
         사르바 부테뱧 파트
         사르바 피사체뱧 파트
         사르바 쿰반데뱧 파트
         사르바 푸타네뱧 파트
         사르바 카타푸타네뱧 파트
         사르바 두르람기테뱧 파트
         사르바 두스프렠시테뱧 파트
         사르바 즈바레뱧 파트 
         사르바 아파스마레뱧 파트
         사르바 스라마네뱧 파트
         사르바 티르티케뱧 파트
         사르바 운맘데뱧 파트
         사르바 비댜차례뱧 파트 

         자야카라 마두카라 사르바르타 사다케뵤 비댜차례뱧 파트 
         차투르바기니뱧 파트
         바즈라코마리 쿠란다리 비댜라제뱧 파트

         마하프라튱기레뱧 파트
         바즈라상카라야 프라튱기라라자야 파트
         마하카라야 마트르가나 나마스크르타야 파트

         인드라야 파트
         브라흐미니예 파트
         루드라야 파트
         비스나비예 파트
         비스네비예 파트
         브라흐미예 파트 
         아그니예 파트
         마하카리예 파트
         로드리예 파트
         카라단디예 파트
         아인드리예 파트
         마트리예 파트
         차문디예 파트
         카라라트리예 파트
         카파리예 파트 
         아디뭌토카스마사나 바시니예 파트 

         예케칱타
         사트바 마마 두스타칱타
         파파칱타
         로드라칱타
         비드바이사 칱타
         아마이트라칱타 

         우트파다얀티
         키라얀티
         만트라얀티
         자판티
         조한티 

         우자하라 
         가르바하라
         루디라하라
         맘사하라
         메다하라
         마자하라
         바사하라
         자타하라 
         지비타하라
         마랴하라
         바랴하라
         간다하라
         푸스파하라
         파라하라
         사샤하라 

         파파 칱타
         두스타 칱타 

         데바그라하
         나가그라하
         얔사그라하
         랔사사그라하
         아수라그라하
         가루나그라하
         킨다라그라하
         마호라가그라하 
         프레타그라하
         피사차그라하
         부타그라하
         푸타나그라하
         카타푸타나그라하
         쿰반다그라하
         스칸다그라하
         운마다그라하
         차야그라하
         아파스마라그라하
         다카다키니그라하
         레바티그라하
         자미카그라하
         사쿠니그라하
         난디카그라하
         람비카그라하
         칸타파니그라하 

         즈바라 에카히카 드바이티야카
         트레티야카 차투르타가 니탸즈바라 비사마즈바라
         바티카 파이티카 스레스미카 산디파티카
         사르바즈바라 시로르티 아르다바베다카 아로차카 

         앜시로감
         무카로감
         흐르드로감
         카르나수람
         단다수람
         흐르다야수람
         마르마수람 
         파라스바수람
         프르스타수람
         우다라수람
         카티수람
         바스티수람
         우루수람
         잠가수람 
         하스타수람
         파다수람
         사르방가프라튱가수람 

         부타베타다 다카다키니
         즈바라다드루칸듀키티 바로타바이 사르파로하링가
         소사트라 사가라 비사요가 아그니 우다카
         마라베라 칸타라 아카라 므르튜
         트라이무카 트라이라타카 
         브르스치카 사르파나쿠라 심하 
         뱌그라 맄사 타라맄사
         차마라지비베 테삼 사르베삼
         시타타파트라 마하바즈로오스니삼
         마하프라튱기람 야바드바 다사요자나 

         뱐타레나 사마반담 카로미
         디사 반담 카로미
         파라비댜 반담 카로미
         테조 반담 카로미
         하스타 반담 카로미
         파다 반담 카로미
         사르방가프라튱가 반담 카로미 

         타댜타
         옴 아나레 아나레
         비사다 비사다
         반다반다 반다니반다니
         바이라바즈라파니 파트
         훔브룸 파트 스바하 

         나모스타타가타야 수가타야르하테
         사먘삼붇다야 시댬투 반트라파다 스바하

 

 

 

 

 

 

 

 

출처 : 대불정능엄신주
글쓴이 : 정혜스님 원글보기
메모 :

     원형 휠터 불교영상

      

     

    바람의 종/명상음악

     

    ***

     

     

    하루 선한 일을 행하면
    복이 비록 금새 오지 않더라도
    화는 저절로 멀어진다

    하루 악한 일을 행하면
    화는 비록 금새 오지 않더라도
    복은 저절로 멀어진다

    선을 행하는 사람은 봄동산의 풀과 같아서
    그 자라나는 것이 보이지 않으나
    나날이 더 늘어간다

    악한 일을 행하는 사람은
    칼을 가는 숫돌과 같아서
    돌이 갈리어서
    닳아 없어지는 것이 보이지 않으나
    나날이 더 이지러진다
      

    - 동악성재(東岳聖宰) -
     
     
     
     
     

     

출처 : 행복 에너지
글쓴이 : 마야 원글보기
메모 :

 

 

 

 

 

 

 

 #

 부처님은 온갖 지혜를 갖춘 사람이어서

 자연히 스승이 없으니, 다른 이에게

 법을 듣고서 말씀하시는 것이 아니다.

 

 불법은 부처님의 입으로 말씀하신 것만이 아니라,

 온갖 세간의 모든 진실하고 착한 말씀이나 미묘하고

 좋은 말씀은 모두가 부처님의 법에서 나온 것이다.

  

 부처님께서 비니(毘尼) 가운데,

 

 "어떤 것이 불법인가? 불법에는

 다섯 종류의 사람이 말씀하신 것이 있으니,

 첫째는 부처님께서 직접 입으로 말씀하신 것이요,

 둘째는 부처님의 제자들이 말씀하신 것이요,

 셋째는 선인(仙人) 말씀하신 것이요,

 넷째는 모든 하늘이 말씀하신 것이요,

 다섯째는 변화한 사람(化人) 말씀하신 것이니라." 하셨다.

 

 

 석제환인득도경 [釋提桓因得道經] 에서

 부처님께서,

 "교시가(憍尸迦),

 세간의 진실하고 착한 말과 미묘하고 좋은 말은

 모두가 나의 법에서 나왔느니라." 하셨.

 

 

 

 

 #

 부처님을 찬탄하는 게송

 

 

   모든 세간의 착한 말씀은

    모두가 불법에서 나왔으니

    말씀하여 실수없고 허물없는 것이

    바로 부처님의 말씀이라네.

  

     착하고 허물없는 말씀이

    다른 곳에도 있기는 하지만

    일체가 모두

    불법의 나머지라네.

  

    외도들의 법에도

    좋은 말씀이 있기는 하나

    벌레가 나뭇잎을 먹다가

    우연히 글자를 이룬 것과 같다네.

  

     처음과 중간과 나중의 법들이

    서로 부수고 있어

    무쇠에서 금을 내려 함과 같으니

    누가 능히 믿으랴.

 

    냄새 나는 이란(伊蘭) 가운데

    우두전단(牛頭栴檀) 같고

    쓴 과일 가운데

    맛과 빛깔 좋은 과일과도 같다네.

 

  설령 믿는다 하여도

   사람은 믿기를

   그렇게 좋은 말씀이

   외도의 경전에서 나온다 하리라.

  

   온갖 좋고 진실한 말은

   모두가 부처님에게서 나왔나니

   마치 전단향(栴檀香)

   마리산(摩梨山)에서 나옴과 같다네.

 

  마리산 밖에서는

   전단이 나오지 않듯

   부처님을 제하고는

   진실한 말씀을 이가 없다네.

 

 

 

 

 #

  .....  이제 감로법의 문을 여노니,

  .....  누군가가 믿기만 하면 기쁨 얻으리.

  .....  모든 사람 가운데 묘한 설함은

  .....  남을 괴롭히려 함이 아니라네.

  

 부처님께서는 게송 가운데,

 보시하는 사람이 환희를 얻는다 하시지 않았고

 또한 지계인욕정진선정지혜를 행하는 사람이 환희를 얻는다고도

 하시지 않으신 채, 오직 믿는 사람이라고 말씀하셨다.

 

 

 부처님의 뜻은 다음과 같으리라.

 

 '나의 제일 가는 심히 깊은 법은

 미묘하여서 한량없고 헤아릴 없고 불가사의하고

 흔들리지 않고 치우치지 않고 집착되지 않고 얻을 없는

 법이어서 일체지(一切智) 얻은 이가 아니면 알지 못하리라.

 그러므로 불법에는 믿음의 힘으로써 첫머리를 삼으니,

 믿음의 힘으로써야 들어갈지언정 보시지계선정지혜 등으로써

 불법의 첫머리를 삼거나 들어갈 있는 것은 아니다.'

 

  

 

 

 #

 불법의 바다는

 믿음으로 들어갈 있고 지혜로 건널 있다.

 #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 _____________

대지도론 「 大智度論 」 .. 부분 편집.

 

 

 

출처 : 달마가 영어를 만났을 때
글쓴이 : 앤풀빛 원글보기
메모 :

 

                

오래전 한 스님이 문수보살님을 친견하고 지혜를 얻고자 했다. 스님은 그것을 수행의 제일목표로 삼고 자나깨나 문수보살님을 부르고 늘 그 생각에 젖어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길을 가다가 마을 어귀에서 늙은 농부 한명을 만났다. 농부는 처음 만난 스님에게 도움을 청하였다. 농부는 마을 쪽을 가리키며 “스님! 저 마을로 들어가서 몇 번째 골목을 지나게 되면 길가에 허름하게 생긴 집이 하나 있습니다. 그 집에 어미 돼지 한 마리가 새끼를 많이 낳아 젖을 먹이고 있을 겁니다. 그 돼지 밥통에 이 쪽지를 던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라고 부탁했다.

 스님은 어차피 지나가는 길이고 하니 “그러죠”하고 별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면서 쪽지를 받아들고 마을로 갔다. 농부가 말한 대로 찾아가니 역시 커다란 어미 돼지 한 마리가 누워서 이제 갓 태어난 여러 마리의 새끼들에게 젖을 먹이고 있었다. 스님은 농부의 부탁대로 무심코 그 쪽지를 밥통에 던져주었다. 그러자 어미 돼지가 주둥이로 몇 번 쪽지를 뒤적이더니 우적우적 삼켜버리는 것이었다.

 그런데 잠시 후, 그 어미 돼지가 죽어버리는 게 아닌가!

 스님은 이상하게 생각하며 새끼 돼지들을 난감한 마음으로 쳐다보고 있었다. 바로 그때 밖에 나가 일하던 집주인이 돌아오더니 어미 돼지가 죽어 있는 것을 보고는 깜짝 놀라면서 스님을 붙잡고 ‘아니, 이게 어찌된 영문이요?’라고 다그쳐 물었다.

 난감해진 스님은 자초지종을 말하였다. 하지만 농부는 그 말을 믿지 않고 종이쪽지 하나 먹고 돼지가 죽을 리가 없다며 이유를 대라고 우격다짐을 계속했다. 결국 돼지의 배를 가르게 되었는데 거기에는 이렇게 쓰여 있었다.


 이보게나, 축생의 몸으로 너무 오래 있다간 잘못하면 매하는 수가 있네!

 -문수가 보현에게


 보현보살이 돼지의 몸으로 변해서 신심 좋은 농부를 돕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문수보살은 보현보살이 축생의 몸으로 너무 오래 있다가 식識이 어두워질까 봐 걱정이 되어 쪽지를 보낸 것이었고, 어미 돼지가 쪽지를 보고 금방 죽은 이유는 보현보살이 문수보살의 충고를 듣고 축생의 몸을 버린 것이었다. 물론 축생의 몸으로 있다고 해서 보현보살의 식이 어두워질 리 없다. 두 보살님은 생사윤회에 속박되지 않고 보이지 않게 자유자재로 사바세계에 다니시며 중생을 제도하는 보살의 원력과 자비행을 보여주었던 것이다. 이렇게 해서 그 스님은 문수와 보현 두 보살님을 함께 친견하였으니 그 느낌은 어떠했을까?


 우리는 매일 오전11시를 전후해서 부처님 전에 공양을 올린다. 그러면서 부처님을 청하는 대목에서 다음과 같은 게송을 노래한다.

 

부처님 몸은 우주 안에 널리 가득 차 계시니

 佛身普遍十方中(불신보변시방중)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도 이와 똑같네.

 三世如來一切同(삼세여래일체동)

 그 크고 넓은 원력의 구름은 항상하여 다함이 없고

 廣大願雲恒不盡(광대원운항부진)

 넓고 넓은 깨달음의 바다는 아득하여 헤아리기 어렵네.

 汪洋覺海渺難窮(왕양각해묘난궁)


 이처럼 부처님은 원력의 구름으로서 이 우주에 가득 차 계신다. 그러니 부처님 뵙기를 간절히 그리워하면 뵐 수 있다. 우리는 과거 의상대사가 낙산사 관음굴에서 각고의 기도 끝에 살아계시는 관세음보살님을 몸으로 뵈었던 일이나, 진표율사가 금산사 근처에서 피나는 용맹정진으로 역시 살아계시는 지장보살님과 미륵보살님을 친견했던 일, 그리고 오대산 상원사에서 세조 임금이 문수동자를 만나 나병을 고쳤다는 사실을 역사를 통해서 알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섯 살 난 동자승을 혼자 놔두고 멀리 탁발을 나갔는데 그만 눈이 와서 올라가지 못하게 되어 간절한 마음으로 기도를 하니 눈이 녹을 때까지 관세음보살님이 다섯 살짜리 동자승을 키워주었다는 데서 이름 지어진 ‘오세암’에 얽힌 이야기를 늘 듣고 있다.

 다시 몇 년 전 이야기이다. 잘 아는 신도 보살이 절을 많이 하다가 무릎에 이상이 생겼다. 여러 가지로 치료해 보았으나 잘 낫지 않던 차에 피를 빼면 좋아진다는 소리를 들었다. 그래서 피를 빼는 치료를 했지만 상태는 오히려 훨씬 악화되어 절에 나오는 것마저 어렵게 되었다. 당시 그 신도가 절에서 맡고 있던 소임은 새벽 일찍 절에 가서 절의 대문을 여는 것이었다. 그래서 누구보다  새벽 일찍 일어나 절에 나가야 하는데 무릎이 심하게 아파 난감한 상황에 빠지게 되었다.

 그렇게 지내던 어느 날이었다. 여전히 무릎은 아프지만 법당문을 열어야 하니 새벽 일찍 일어나 법당에 나갔다. 법당 탁자 청소를 하다가 문득 아무 생각 없이 어린아이처럼 부처님 무릎을 살며시 만지며 ‘부처님 제가 새벽에 법당문을 열어야 되잖아요? 그러니 제발 제 무릎 좀 고쳐주세요!’하고 말했다. 그랬더니 순간 무릎이 시원해지면서 그 자리에서 무릎 통증이 깨끗하게 낳는 것이었다. 그 후 지금까지도 아프지 않고 잘 지내고 있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부처님께 공양 올릴 때 외우는 게송처럼 언제 어디서나 불보살님이 계시다는 것을 알려준다. 그럼 어떻게 하면 불보살님을 뵐 수 있을까? 그것은 불보살님을 뵙고자 하는 마음이 간절하여 정말 진실한 일념一念이 되었을 때나 부처님의 진실한 뜻이 세상에 널리 퍼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을 때이다.

 세상의 라디오나 TV 방송국에서는 항상 전파를 보내고 있는데 거기에 주파수나 채널을 잘 맞추면 방송을 듣고 볼 수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부처님께서도 원력의 빛과 전파를 항상 보내고 계시는데 우리가 기도와 정진이라는 방법을 통해 마음을 부처님의 주파수에 맞추면 항상 부처님을 보고 들을 수 있다. 우선 주파수를 맞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깨끗한 화질과 음질로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트랜지스터라디오나 TV 단말기가 불순물이 없이 깨끗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참회하는 마음과 오롯한 신심 그리고 간절한 일념이 되어 의심이나 망상 분별이 없는 상태가 되어야 비로소 우리도 맑은 삼매 속에서 부처님을 만날 수 있다.


 <금강경>에서도 ‘부처님은 이 금강경을 듣고 청정한 믿음을 일으키는 사람들을 다 아신다’ 고 하였다. 또 ‘미래 선남자 선여인이 이 경우 수시 독송하면 여래는 부처의 지혜로 이 사람들이 모두 한량없는 공덕을 성취하게 될 것임을 다 알고 다 본다’고 설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부처님께서 늘 우리 주변에 계시다는 사실을 굳게 믿고 뵙고자 해야 한다.

 그러나 한편 <금강경>에는 ‘부처님께서는 오고 감이 없고, 앉거나 누움이 없다’고 설해져 있고 또 ‘형색이나 음성으로써 부처님을 찾으면 그 사람은 삿된 길을 가는 사람’이라고 설해져 있으니 우리와 같은 형색이나 인격성으로만 부처님을 찾는다면 그것 또한 부처님의 형색이나 음성을 집착하는 것이 되어 크게 문제가 된다.

 그럼 우리는 불보살을 어떻게 생각하고 뵙고자 해야 할까?

 우선 불보살님들께서는 중생을 떠받치는 불가사의한 원력과 빛으로 그리고 복전으로 항상 어디에나 계신다. 그러나 결코 형색이나 음성으로서의 집착 대상이 될 수 없다. 오직 사량思量이나 분별分別을 넘어선 간절한 원력과 순수한 무념삼매無念三昧 속에서만 그때그때 불가사의하게 뵐 수 있다. 부처님을 뵈면 <반야심경>에 나오듯 사바세계에 넘실대는 일체 고액의 바다를 건널 수 있다.


출처; 현종스님 ‘너와 나의 마음고향‘

출처 : 인도네시아 해인사
글쓴이 : 無 碍 원글보기
메모 :

출처:뉴스천지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22684

 

[종교기획]불멸 후 ‘경장·율장·논장’으로 체계화된 불경
2009년 09월 29일 (화) 15:17:33 박준성 기자 pjs@newscj.com

붓다의 깨달음(法) ‘4차 결집(結集)’ 과정에서 교파별 교리 해석차로 수많은 경전 탄생

   
▲ ⓒ천지일보(뉴스천지)

불교 경전의 유래

불교의 창시자인 붓다는 모든 부귀영화를 버리고 생로병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길을 찾아 나선다. 그는 6년의 고행 끝에 부다가야(Buddhagaya)에서 ‘깨달음’을 얻게 됐다.

그 깨달음의 내용이 4체(四諦)·12연기(十二緣起)이고 그것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제시된 것이 8정도(八正道)이다. 이후 붓다는 깨달음을 법(法, Dharma)이라 하고 이 법을 제자들에게 최초로 설법(說法)을 하게 된다.

이로써 불교의 경전이 시작된다. 불경(佛經)은 붓다와 그 제자들의 가르침을 모아놓은 불교의 경전이다. 붓다의 말씀을 담은 불교경전은 삼장(三藏, 경장·율장·논장)이라는 3가지 체계로 분류된다.

경(經)장은 부처님의 말씀을 담았다. 율(律)장은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계율이다. 논(論)장은 이름 있는 논사(論師)들에 의해서 쓰여진 경전의 해석이나, 그의 불교 사상을 적은 글이다.


경전 해석차로 불경과 교단분열

   
▲ 불경 담은 상자.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불경에는 붓다의 가르침을 전하는 근본경전과 대승불교의 발흥과 함께 나타난 대승경전이 있다. 근본경전은 북방불교권에 전해진 한역(漢譯) ‘아함경’과 남방불교권에 전해진 상좌부 전승의 ‘빠알리 니까야’를 가리킨다.

아함이란 본 뜻은 ‘전승(傳承)’인데, 절대적 권위를 지니고 전승되어 오는 성스러운 가르침을 의미한다. 그리고 ‘빠알리’는 성전(聖典)을 의미하고 ‘니까야’는 수집(收集)을 의미하므로 ‘빠알리 니까야’는 ‘성전을 모아놓은 것’이라는 뜻이다. 아함경은 4부로 되어 있고, 빠알리 니까야는 5부로 구성되어 있다.

붓다가 열반한 후 불교가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고 승려와 신자들의 수가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의 가르침에 대해 서로 다른 이해를 하게 됐다. 교단의 분열은 계율 해석상의 차이에서 시작됐지만 교단이 분열되자 경의 해석에도 부파마다 다른 견해를 갖게 됐다.

그 결과 각 부파는 자신들의 철학적 입장에 따라 아비달마(abhidhamma)라 불리는 독자적인 교리해설서, 즉 논(論)을 편찬하였다. 아비달마란 붓다가 설한 ‘법(dhamma)에 대한(abhi) 해석’이라는 의미이다.

이들 논서(論書)를 통해 각 부파는 자신들의 해석이 진정한 붓다의 뜻이라고 주장함으로써 불교는 사상적으로도 분열 대립하게 된다. 이렇게 부파에 의해 분열 대립하게 된 불교를 부파불교 또는 아비달마불교라고 부른다.


불교경전 4차 결집

   
▲ ⓒ천지일보(뉴스천지)
불교경전은 부처님 입멸 후 4차례의 결집(結集)을 통해 이루어졌다. 불멸 후 불제자들이 모여서 부처님의 말씀이 산실(散失)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교권(敎權)의 확립을 위해 부처님의 말씀을 외워 내어 부처님의 말씀을 정리하고 집대성해 바른 가르침이 전승되도록 한 것이 결집의 취지였다.

당시는 문자로 정리하지 않았던 시대였기 때문에 부처님이 설하신 말씀을 합송(合誦, 신자들이 모두 같은 말씀을 소리 내어 외움)함으로써 말씀을 전승했다.

그러한 이유로 결집은 합송이라 부르기도 했다. 제1결집은 불멸 후 백 일이 채 못 되어 라자가하(王舍城) 교외의 비파라산에 있는 칠엽굴(七葉窟)에서 교단 제일의 장로인 대가섭존자(大迦葉尊者)를 상수(上首)로 5백 명의 비구가 모여 거행했다.

이 결집은 7개월에 걸쳐 다문(多聞) 제일인 아난다존자가 법을, 지계(持戒) 제일인 우파리존자가 율(律)을 암송해 낸 것을 모두 확인해 불설(佛說)이라고 승인한다. 이를 왕사성결집, 오백결집이라고 한다.

제2결집은 불멸 후 약 1백년경에 계율 엄격주의자인 야사(耶舍)의 제의로 7백 명의 장로 비구가 베살리에 모여 계율에 관한 당시의 십사비법(十事非法. 그릇된 주장)을 바르게 하고자 한 결집이다.

베살리성결집 혹은 칠백결집이라 부르는 이 결집은 8개월간 십사비법(十事非法)에 관해 논의해 유법(遺法)의 전체가 교정됐다. 그러나 십사의 논쟁은 교단을 야사를 중심으로 한 상좌부와 진보적인 대중부로 나누는 ‘근본 분열’을 가져와 부파불교 시대를 여는 계기가 된다.

제3결집은 불멸 후 2백년경 외도들로부터 불교를 보호하기 위해 아쇼카왕(阿育王)이 제수존자를 상좌로 하여 1천 명의 비구가 모여 법장을 송출하고, 제수존자 다시 스스로 논사(論事) 1천 장을 지어 이의사설(異議邪說)을 격파했다.

9개월간 논의한 끝에 이루어진 제3결집은 화씨성에서 이뤄졌다고 해서 화씨성결집, 일천결집이라 부른다. 3차 결집 후에 구전돼 오던 경전이 비로소 문자화 됐으며, 경·율(經律) 외에 논장(論藏)도 결집된다.

제4결집은 불멸 후 6백년경 대월씨국 카니시카왕이 부파의 이설(異說)을 통일시키고자 협존자에게 의뢰해 이루어진다. 세우존자(世友尊者)를 상수로 5백 명의 대비구들이 모여 경·율·논장의 주석서 30만송(頌) 660만언의 대주석을 만들어 결집했다.


한국불교의 경전

   
▲ ⓒ천지일보(뉴스천지)
불교가 인도로부터 중국에 전파된 때는 기원전 1세기경이며 이는 붓다가 열반 후 500여년이 지난 때이다. 그리고 기원후 372년에 중국의 전진국(前秦國)의 왕 부견(符堅)이 사신 승려 순도(順道)를 통해 불상(佛像)과 불경(佛經)을 고구려에 보냄으로서 불교가 한국에 전래된다.

당시 인도에서는 이슬람의 침입으로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진 대승경전이 소실됐다. 때마침 중국에 한문으로 번역된 경전이 있어 한국으로 불경이 전래된 것이다. 중국 불교가 한국 불교에 여러 방면에 있어 영향을 끼쳤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은 수많은 불경을 전해주었다는 것이다.

1237년 고려 고종 24년에는 고려에 침입한 몽고군의 격퇴를 발원(發願)해 16년간에 걸쳐 8만여 개의 판에 8만 4천 법문을 담은 ‘팔만대장경’이 만들어지게 된다. 그 당시 우리나라에 수많은 불경이 들어와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수많은 종파로 나누어진 불교는 각 종파마다 소의경전이 있다. 소의(所依)는 의지할 바 대상을 의미하며, 소의경전은 개인이나 종파에서 신행(信行)·교의(敎義)상 근본 경전으로 삼아 의지하는 경전을 말한다.

소의경전은 불교에만 있는 개념이다. 한국불교의 최대종파인 대한불교조계종은 종헌(宗憲)에서 ‘소의경전은 금강경과 전등법어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태고종은 금강경과 화엄경을, 화엄종은 화엄경을, 천태종은 법화삼부경을 소의경전으로 하고 있다.

진각종은 대일경·금강정경·대승장엄보왕경·보리심론·실행론을 소의경전으로 한다. 각 종단은 소의경전을 통해 중생들이 깨달음에 도달하도록 설파하고 있으며 많은 불자들이 깨달음을 얻기 위해 불경을 읽고 있다.

출처 : 염화실
글쓴이 : 천년나무 원글보기
메모 :

 

       

    

 

인묵스님의 도량석/ 참선곡

 

             

 

 

출처 : 韓國佛敎 太古宗 만 봉 정 사
글쓴이 : 만봉스님 원글보기
메모 :
출처 : 韓國佛敎 太古宗 만 봉 정 사
글쓴이 : 만봉스님 원글보기
메모 :
◆ 팔단금 도인법(八端錦 導引法) 
                                     ◆ 제1식 고치집신 (叩齒集神)


 
양다리를 꼬고 앉아서
눈을감고 마음을 가라 않힌다.             
정신을 집중하여
아래윗니를 딱딱 부딪히기를 36회 반복한다.
뒤이어 양손바닥으로 뒤통수를 감싸쥐고
9회 숨을 들이쉬고 내쉰다.
양손을 조금 앞으로 이동시켜 양쪽귀를 덮고
집게손가락으로 가운뎃 손가락에 겹쳤다가
미끄러뜨리며 뒤통수뼈를 탁탁 퉁기는데
좌우각각 24회씩 왕복한다.
 
 
                                     __제2식 요천주 (搖天柱)__
 

양다리를 꼬고 편한 자세로 앉아서
허리를 펴고 양손을 맞잡고서
고개를 좌우로 각각 24회 돌린다.
목운동에 따라 어깨도 함께 움직인다
 
 

 

 

 

 

 

 


 __제3식 설교수인 (舌攪漱咽)__

양다리를 꼬고 앉아서 주먹은 쥔다.
양손을 머리위로 뻗어 올린 채
입안에서 혀를 상하 좌우로 움직여
구개(입천장)와 아래윗 잇몸,
아래윗니 안팎을 문지른다.
입안에 침이 가득 고이면
꿀쩍꿀쩍 양치질을 한 후
세번으로 나누어 삼킨다.
혀의 동작은 36회 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횟수에 구애됨이 없이
타액이 그득 찰 때까지 하면 된다. 

 

 

 


___제4식 마신당 (摩腎堂)___
 

양손바닥이 뜨거워 지도록 맞비빈 후
그 손으로 허리 뒤쪽 신장부위 (신당)를
아래위로 천천히 36회 마찰한다.
다음에는 양손을 무릎위로 거두어
주먹을 쥔 채
호흡과 함께 하복부 단전이
점점 뜨거워 지는 것으로 의념한다. 

 

 

 

 

 


___제5식 단관녹로___
 

고개를 숙이고 왼손을 허리에 댄 채
왼쪽 어깨관절을 회전시키면서
흔들기를 36회 반복한다.
다음에는 좌우 손을 바꾸어
오른손을 허리에 댄 채
어깨를 회전 시키면서
흔들기를 36회 한다.
녹로는 도르래인데
도르래바퀴 돌리듯 어깨를 돌린다는 뜻이다.

 

 


 
                                     ___제6식 좌우녹로___

 양손을 허리에 댄 채
양쪽어깨를 동시에 회전 시키면서
흔들기를 36회 한다.
이때 단전의 뜨거운 기운이
어깨관절을 거쳐 뒤통수로 들어가는 것으로
상상한다.
코로 멁은 기를 들이마신 후
양다리를 앞으로 쭉 뻗는다. 

 

 

 


                                      

___제7식 좌우안정 (左右按頂)___
 

양다리를 뻗고 앉은 자세로 해도 되고
다리를 꼬고 앉은 자세로 해도 된다.
양손을 맞비비면서
커허'소리를 내며
숨을 토해내기를 5회 반복한다.
다음에는 양손을 맞잡거나 깍지를 끼고
양팔을 머리위로 뻗어 올려
손바닥을 위로 향하는데
마치 하늘을 떠받쳐 올리는 기분으로
3회에서 9회까지 반복한다. 

 

 

 

 


                                       ___제8식 구반 (駒攀)____
 

고개를 숙이고
양손으로 발바닥을 거머쥐고서
끌어당기기를 12회 한다.
뻗었던 양발을 거두어
양다리를 꼬고 단정하게 앉아서
입안에 고인 침을 꿀쩍거려 양치질 한 후
세번으로 나누어 삼킨다.
다음에는 제5식과
제6식의 녹로(어깨 돌리기)를
각각 24회 한다.
마지막으로 잠시 호흡을 정지한 채
단전의 뜨거운 기운이
온몸으로 퍼지는 것으로 상상한다. 

 

출처 : 불치병난치병연구소
글쓴이 : 까치 원글보기
메모 :



컴퓨터에 저장하여 보실 분은 이곳을 클릭하여 저장하기 하시거나 오른 마우스를 클릭하여 다른이름으로 대상저장하기 하여 보십시오.

본인 컴퓨터에 저장하고 보시면 염화실 트래픽 줄이기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다른 사이트에 이 강좌를 올리고 싶으신 분들은 필요한 강좌를 다운받아서

올리는 사이트에 동영상 올리기로 하여 보시면 역시 염화실 트래픽 줄이기에 도움이 됩니다

출처 : 염화실
글쓴이 : 文殊法供養會 원글보기
메모 :



컴퓨터에 저장하여 보실 분은 이곳을 클릭하여 저장하기 하시거나 오른 마우스를 클릭하여 다른이름으로 대상저장하기 하여 보십시오.

본인 컴퓨터에 저장하고 보시면 염화실 트래픽 줄이기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다른 사이트에 이 강좌를 올리고 싶으신 분들은 필요한 강좌를 다운받아서

올리는 사이트에 동영상 올리기로 하여 보시면 역시 염화실 트래픽 줄이기에 도움이 됩니다

출처 : 염화실
글쓴이 : 文殊法供養會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