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한 물건(一物)

 

 

한 물건이 있으니

天地가 생기기 전에도 항상 있었고 天地가 다 없어진 후에도 항상 있다.

천지가 천 번 생기고 만 번 부서져도 이 물건은 털끝만치도 변동 없이 항상 있다.

크기로 말하면 가없는 허공의 몇 억 만배가 되어 헤아릴 수 없이 크다.

그래서 이 물건의 크기를 큰 바다에 비유하면

十方의 넓고 넓은 허공은 바다 가운데 있는 조그마한 물거품과 같다.

또 日月보다 몇 억 만배나 더 밝은 광명으로써 항상 十方世界를 비추고 있다.

밝음과 어두움을 벗어난 이 절대적인 광명은 항상 宇宙萬物을 비치고 있는 것이다.

이 물건은 모든 名相과 分別을 떠난 절대적인 것이다.

絶對라는 이름도 붙일 수 없지만은 부득이해서 절대라는 것이다.

 

한 물건이란 이름도 지을 수 없는 것을

어쩔 수 없이 한 물건(一物)이란 이름으로 표현하니

한 물건이란 이름을 붙일 때 벌써 거짓말이 되고 마는 것이다.

그러므로 十方의 모든 부처님이 일시에 나타나서 억천만겁이 다하도록 설명하려 해도

이 물건을 털끝만치도 설명하지 못하는 것이다.

自己가 깨쳐서 쓸 따름이요 남에게 설명도 못하고 할 수도 없다.

이 물건을 깨친 사람은 부처라 하여

生死苦를 영원히 벗어나서 미래가 다하도록 자유재한 것이다.

이 물건을 깨치지 못한 중생들은 항상 生死바다에 헤매어 四生六途에 윤회하면서

억천만겁토록 고생을 하게 되는 것이다.

아무리 작은 중생이라도 다 이 물건을 가지고 있다.

깨친 부처나 깨치지 못한 조그마한 개미 벌레까지도 똑같이 가지고 있다.

다른 것은 이 물건을 깨쳤느냐 못깨쳤느냐에 있다.

釋迦와 達磨도 이 물건은 눈을 들고 보지도 못하고 입을 열어 설명하지도 못한다.

이 물건을 보려고 하면 석가도 눈이 멀고 달마도 눈이 먼다.

또 이 물건을 설명하려고 하면 부처와 조사가 다 벙어리가 되는 것이다.

오직 깨쳐서 자유자재하게 쓸 따름이다.

그러므로 古人이 말씀하기를 ‘대장경은 모든 고름 닦아 버린 헌종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나는 말하노니

 ‘팔만대장경으로써 사람을 살리려는 것은

설비상으로써 사람을 살리려는 것과 같다’고 하겠다.

경정 가운데도 小乘과 大乘이 있으니,

大乘經에서는 말하기를

‘설사 비상으로써 사람을 먹일지언정 小乘經法으로써 사람을 가르치지 말라’고 하였다.

그러나 大乘經 역시 비상인줄 왜 몰랐을까? 알면서도 부득이한 것이다.

그러니 여기에서 크게 정신차려야 한다.

 

오직 이 한물건만 믿는 것을 바른 信心이라 한다.

釋迦도 쓸데없고 達磨도 쓸데없다.

八萬藏經이란 다 무슨 잔소리인가 ?

오로지 이 한물건만 믿고 이것 깨치는 공부만 할 따름이요

그 외에는 전부 외도며 마군이들이다.

모든 사람들은 모두 다 念佛해서

죽어 극락세계에 가서 말할 수 없는 쾌락을 받아도

그러나

나는 이 물건 찾는 工夫를 하다가 잘못되어 지옥에 딸어져

억천만겁토록 무한한 고통을 받더라도

조금도 후회하는 생각이 없어야 한다.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오직 이 工夫를 성취하고야 만다!

이러한 決心이 아니면 도저히 이 공부는 성취하지 못한다.

故人은 말씀하기를

‘사람을 죽이면서도 눈 한번 깜짝이지 않는 사람이라야 工夫를 성취한다’고 하였다.

나는 말하노니

‘청상과부가 외동아들이 벼락을 맞아 죽어도

눈썹하나 까딱이지 않을 만한

무서운 생각이 아니면 절대로 이 공부할 생각을 말아라’고 하겠다.

천근을 들려면 천근 들 힘이 필요하고 만근을 들려면 만근 들 힘이 필요하다.

열근도 못들 힘을 가지고 천근 만근을 들려면

그것은 어리석은 사람이 아니면 미친 사람일 것이다.

힘이 부족하면 하루 바삐 힘을 길러야 한다.

자기를 낳아 길러준 가장 은혜 깊은 부모가 굶어서 길바닥에 엎어져 죽더라도

눈 한번 거들떠 보지 않는 무서운 마음 이것이 古人의 志操이다.

常王이 스승으로 모시려 하여도 목을 베이면 베였지

절대로 마음을 움직이지 않는 것이

古人의 지操이다.

四海의 當貴는 풀잎 끝의 이슬 방울이요

만승의 천자는 진흙 위의 똥덩이라는 이런 생각,

이런 안목을 가진 사람이라야 꿈결같은 세상 영화를 벗어나

영원불멸한 행복의 길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털끝만한 利害로써 칼부림이 나는 소위 지금의 工夫人과는 하늘과 땅일 것이다.

다 떨어진 헌 누더기로써 거품같은 이 몸을 가리우고

심산 토굴에서 감자나 심어 먹고 사는

최저의 생활로써 최대의 노력을 하여야 한다.

오직 大道를 성취하기 위하여 자나깨나 죽을 힘을 다해서 工夫해야 한다.

大를 위해서 小를 희생시키지 않으면 大는 도저히 성취하지 못한다.

 

사람 몸 얻기도 어렵고 佛法 만나기도 어렵다.

모든 佛菩薩은 중생들이 항상 죄 짓는 것을 보고 잠시도 눈물 마를 때가 없다고 한다.

중생이란 알고도 죄짓고 모르고도 죄 짓는다.

항상 말 할 수 없이 많이 지은 罪報로서

四生六途에 돌아 다니며 말 할 수 없는 苦生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사람 몸 얻기란 사막에서 풀잎 얻는 것과 같다.

설사 사람 몸 얻게 된다 하더라도 워낙 罪報이 지중해서 佛法 만나기란 더 어렵고 어렵다.

과거에 수많은 부처님이 출현하시어 한량없는 중생을 제도했건만은

아직껏 生死苦를 면치 못한 것을 보면 佛法 만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알 것이다.

이렇게 얻기 어려운 사람 몸을 얻어 더 한층 만나기 어려운 佛法을 만났으니

生命을 떼어놓고 工夫하여 속히 이 한 물건을 깨쳐야 한다.

 

사람의 생명은 허망해서 믿을 수 없나니

어른도 죽고 아이도 죽고 병든 사람도 죽고 멀쩡한 사람도 죽는다.

어느 때 어떻게 죽을지는 알 수 없는 것이 사람의 생명이니

어찌 工夫하지 않고 게으름만 피우리오?

이 물건을 깨치기 전에 만약 죽게 된다면

또 짐승이 될런지, 새가 될런지, 지옥으로 떨어질런지,

어느 때 다시 사람 몸 받아서 佛法을 만나게 될런지,

佛法을 만나도 최상 최고의 길인

이 한 물건 찾는 工夫를 하게 될는 지 참으로 발 뻗고 통곡할 일이다.

이다지도 얻기 어려운 이 몸을 금생에 제도하지 않으면

다시 어느 生에 工夫하여 이 몸을 건지리오.

제일도 勞力, 제이 제삼도 勞力, 勞力없는 성공이란 있을 수 없는 것이다.

무슨 일이든지 勞力한 그 만큼 성공하는 법이니 勞力하고 勞力할 지어다.

 

 

 

 

 

 

 

 

 

 

 

 

 

 

 

 

출처 : 대불정능엄신주
글쓴이 : 정혜스님 원글보기
메모 :

 

 

 

 

 

      여여하게 그러할 뿐 옛것을 너무 좋아하지도 말고, 새것에 너무 매혹 당하지도 말라. 사라져 가는 것에 대해 너무 슬퍼할 필요도 없다. 유혹하는 자에게 사로잡혀서도 안된다. 이것이 바로 탐욕이며, 거센 격류이며, 불안, 초조, 근심, 걱정이며, 건너기 어려운 저 욕망의 늪인 것이다. - 수타니파타 -



      무상계(無常戒)  

       

    1560
    출처 : 밀양 불교 사랑
    글쓴이 : 목우거사 원글보기
    메모 :

     

     

     
     
     
    자기 본성대로 살아야 한다. 


    나 자신도 많이 반성하지만,
    신앙인들은 많이 알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
    그렇게 되면 자기 안이 시끄러워질 뿐이다.

    자기 본심대로 사는 것이 최선의 삶이다.
    본심, 우리의 근본 바탕은 똑같다.
    부처나 보살이나 내 자신이나 똑같다.

    불성은 똑같은 것이다.
    그러니 누구에게도 의존하지 말고,
    듣는 것에 너무 팔리지 말고,
    자기 본성대로 살아야 한다.
    본래 천진한 그 마음을 지키는 것이 으뜸가는 정진이다.

    금강경에 보면 '법도 오히려 버려야 하는데
    하물며 법이 아닌 것이랴!' 라는 구절이 있다.
    진리도 버려야 할 것인데 하물며 진리 아닌 것이랴!
    바깥에서 들려 오는 소리에 너무 의존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이다.

    설령 부처의 말이라 해도,
    그건 그 상황에서 그렇게 얘기된 것이다.
    오늘 내가 그 얘기를 들었다면
    오늘 상황에 맞도록 그와 같이 살라는 것이다.
    그 가르침을 통해 오늘의 현실을 살아야 한다.





     

     


     
     

     

     

    출처 : 밀양 불교 사랑
    글쓴이 : 목우거사 원글보기
    메모 :

        행(行) 그리고 업(業) 우리가 살아가면서 무심하게 하는 말과 행동은 내자신은 물론 나의 인연(因緣)있는 모든 것에 영향을 미처, 내자신의 자성(自性)의 변화(變化)는 물론이고, 그 결과로 인연(因緣)이 변(變)하고, 그 인연이 바뀔 때마다 우주(宇宙)전체의 인연(因緣)이 바뀝니다. 연기(緣起)의 바다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매시 매초, 찰나(刹那) 찰나 찰나생 찰나멸의 인연(因緣)따라 변화합니다. 한 사람의 삶은 우주전체에 영향을 주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의 생(生)은 이 세계의 운명(運命)과 직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드러나지 않을지라도 분명합니다. 나의 염(念)과 원(願)은 세상 전체의 연기(緣起)를 바꾸고, 내 인생을 바꾸며, 동시에 전 인류의 운명(運命)을 바꿀 수 있습니다. 전 인류의 운명에 미치는 영향은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그러나 아무리 사소하더라도 변화(變化)는 분명합니다. 그 변화는 새로운 인연(因緣)이 되어 나의 업(業)으로 그 결과를 내가 받고, 나에게 돌아옵니다. 내가 살아가면서 쌓는 업(業)은 나와 우주전체의 선인선과(善因善果) 악인악과(惡因惡果)로 이어집니다.

    출처 : 생활불교
    글쓴이 : 본사(本師) 원글보기
    메모 :

     

     

     

     

     

     

     

    출처 : 한국티벳센터
    글쓴이 : 있는그대로 원글보기
    메모 :

     

     

     

     

     

     

     

     

    출처 : 한국티벳센터
    글쓴이 : 있는그대로 원글보기
    메모 :

     

     

     

     

     

     

    출처 : 한국티벳센터
    글쓴이 : 있는그대로 원글보기
    메모 :

    마음을 구하고 마음을 다스려라


    성인은 마음을 구하고 부처를 구하지 않으며,

    어리석은 사람은 부처를 구하고 마음을 구하지 않는다.

    지혜로운 사람은 마음을 다스리고 몸을 다스리지 않으며,

    어리석은 사람은 몸을 다스리고 마음을 다스리지 않는다.


    聖人求心不求佛 愚人求佛不求心

    성인구심불구불 우인구불불구심

    智人調心不調身 愚人調身不調心

    지인조심불조신 우인조신불조심


    - 돈오입도요문론

     

     

       대주혜해(大株慧海) 스님은 마조도일(馬祖道一) 스님의 제자다. 이 논문 하나로 세상에 크게 알려진 스님이다.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은 특히 선가에서 매우 중요시하는 어록이다. 세상의 모든 일이 다 그렇지만 불교공부란 무엇보다 근본을 알아야 쉽게 들어간다.


       무엇이 근본인가. 마음이 근본이다. 성인과 어리석은 사람의 다른 점도 이 근본을 아는가 모르는가에 달려 있고, 지혜로운 이와 어리석은 이도 이 근본을 아는가 모르는가에 달려 있다. 그래서 성인은 근본인 마음을 구하지, 지엽인 부처를 구하지 않는다. 어리석은 사람은 지엽인 부처에게만 매달리고 근본인 마음은 내팽개친다.


       또 지혜로운 사람은 마음을 다스리는 데 마음을 쓴다. 어리석은 사람은 몸을 다스리는 데 마음을 쓴다. 사람이 사는 데는 몸도 중요하다. 그러나 인생을 좀 의미 있고 보람 있게 살다가 가려면 마음을 잘 다스려야 한다. 몸을 잘 다스려 건강하고 연년익수하는 것도 좋은 일이다. 그러나 사람이 천년을 살고 만년을 사는 것이 아닌 바에야 마음을 잘 다스려 뜻있게 살다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을 잘 다스리면 금생뿐이지만 마음을 잘 다스리면 세세생생 좋은 인생이 보장된다.

    출처 : 무진장 - 행운의 집
    글쓴이 : 유당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