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뭉개져가는 자존심을 대변하는 전투기 Rafale이 미해군과 Joint Task Force Exercise "Operation Brimstone" 에 참가하여 대서양에서 미해군 항공모함 Theodore Roosevelt (CVN 71)에 이착함 훈련중인 장면입니다.

Rafale의 개발 목적은 멀티롤 전투기인데, 멀티롤 임무 근처도 아직 못가고 있으며 개량작업도 원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5~60년대 유아독존적 방식을 벗어나지 못한 무기체계 개발방식을 현재에도 적용한 프랑스의 실수를 볼 수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개  요 

1979년 말부터 프랑스 공군은 Mirage-2000 및 Jaguar의 대체기로서 차세대용 전투기 개발 착수,  Dassault사는 1983년 첨단기술의 다목적 전투기인 Rafale A 시제기 개발을 발표하였고, 1984년 6월 조립에 착수함. 1986턴 7월 첫 비행 실시하여  2000년 이후 프랑스 공군의 주 전력으로 운용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주요제원 및 성능      

구  분

내  용

구  분

내  용

항공기 크기(FT)

17.5×50.1×35.4

기  총

30mm×125발

중  량

최대이륙

54,000 lbs

최대속도

M 1.8

최대무장

20,944 lbs

최대 G

9G

엔  진

모 델

SNECMA M88-2E4

최대 항속거리

950 nm

추력(MIL)

2×10,950 lbs

이착륙거리

1,315/1,480 ft

추력(MAX)

2×16,400 lbs

무장장착대

14 POINT

레이더 TYPE

RBE 2(탈레스)

최대 상승고도

60,000 ft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주요 특성


   기 능

     - Rafale은 기본형태는 앞전후퇴각 45도이 델타익과 소형 카나드를 조합한 클로즈드 커플트 델타 형식으로 공기흡입구는 고정식

     - Rafale은 고속성능보다 천음속 영역에서 기동성과 가속성 중시

     - Rafale은 공대공 요격 공대지 공격 및 대공화기 제압 등의 임무에 적합한 다목적 전투기임.

     - 주익 배치는 미라지 2000식의 저익에서 중익으로 바꾸었으며, 동체의 단면적을 줄이고, 기체 아랫면을 많은 무장탑재가 가능토록 활용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기 술

     - 기체는 스텔스성을 가미하기 위해 최대한 소형 경량화 하도록 신소재를 많이 사용

     - 조종시스템은 디지털식 3중 FLY-BY-WIRE 시스템 구비

     - 고속, 고출력의 최신 컴퓨터에 의하여 비행제어와 엔진제어를 통합, 단순화시킴과 동시에 무장  시스템까지도 연계시켜 자동조종이 가능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장착능력

    - 무장은 최신형 DEFA 554 30mm 기총 1문이 탑재되며, 발사대가 12개소 마련되어 Matra사의 미카(mica)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및 Matra R550 매직(magic)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이 장착

    - 대지공격용으로는 엑조세 대함미사일, ASMP 핵미사일 탑재 가능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운용 현황 

프랑스 공군에 대한 라팔 C형의 인도는 2005년 6월부터 시작, 초도작전능력은 2007년 획득함. 라팔 해군형은 2002년 샤를르 드골 항모와 함께 아프칸에 파병되었으나, 아직 공대지 능력 미구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제원-


건조:  China State Shipbuilding Corporation(?)
크기:  -190m/22.6m/9m(Yuan Wang 1,2)
         -180m/22.2m/8m(Yuan Wang 3)
         -156.2m/20.6m/7.75m(Yuan Wang 4)
배수량:  -21,000톤(Yuan Wang 1,2)
            -16,792톤(Yuan Wang 3)
            -13,000톤(Yuan Wang 4)
            -25,000톤(Yuan Wang 5~6)
추진:  -Steam turbine,16,000hp(Yuan Wang 1,2)
         -Diesel(Yuan Wang 3)
         -Diesel, 18,000hp(Yuan Wang 4)
속도:  -18노트(Yuan Wang 1,2)
         -18~20노트(Yuan Wang 3)
         -20노트(Yuan Wang 4)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2004년 10월 7일 호주해군 HMAS Warramunga (FF-152) 호가

Parkes Wharf에서 HMAS Stirling (Fleet Base West)의 도움을 받아

Harpoon 대함미사일 발사기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Warramunga (FF-152) 호는 Anzac급 프리깃중 최초로 하푼을 장착하는 함정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zac급 제원
배수량: 3,300 tons (3,600 fl)
함치수: 117.50 (109.50 pp) × 14.80 (13.80 wl) × 5.99 (4.37 hull)
속도: 27+ kts (디젤만 사용시 20)
무장:
Harpoon 발사기 4연장 2기(8 RGM-84C Harpoon missiles)
8연장 Mk 41 Mod. 5 VLS (8 RIM-7P Sea Sparrow SAM) 1기
127-mm 54-cal. United Defense Mk 45 Mod. 2 DP 함포 1문
20-mm Mk 15 Phalanx CIWS 1기
12.7-mm 기관총 4문
3연장 324-mm Mk 32 ASW TT (Mk 46 Mod. 5 torpedoes) 발사기 2기
SH-60 헬기 1대
행동거리 900/27; 6,000/18 (1 diesel); 7,000+/
연료탑재량: 423 tons
승조원: 22 officers, 41 petty officers, 100 other enlisted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005년 4월 21일 Fremantle Harbour에 도착한 HMAS Stuart (FFH-153) 호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HMAS Toowoomba (FFH-156)호가

2005년 11월 12일 Diamatina Wharf에 HMAS Stirling (Fleet Base West)호와 정박중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일본 해상자위대 하야부사(Hayabusa)급 - HAYABUSA Class Fast Attack Craft Missile
2차 대전 당시의 일본해군함정의 이름이자 육군 항공대의 대표 전투기인 하야부사(송골매로 번역되는 peregrine falcon)의 이름과 같은 이 함정은 우리나라의 참수리와 같은 새종류이름을 붙였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제원
배수량: 200t
길이: 50.1m
폭: 8.4m
흘수: 1.7m
추진: 가스터빈 3기·3축 추진(워터 젯트)
출력: 16,200마력
속력: 44노트
승무원: 21명
무장: OTO멜라라(니혼 제강)62구경76mm 단장속사포 1문
90식 함대함 유도탄(SSM-1B)연장발사기 2기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미사일정 1호급 PG-01 은 속도면에서는 충분했지만 ,파도 중에 운용하는거라던지, 임무의 다양성에 한계가 있었다.
Hayabusa급은 선체를 대형화하고 가스터빈 3기를 탑재하여 속력은 44노트를 자랑하며, 탑재 장비는 「90식 함대함 유도탄」(SSM-1B) 과 「OTO멜라라」 76mm 단장포, 함교양옆에 12.7mm 기총용의 총좌를 설치해두고 있다.
또한 선체는 스텔스성을 고려한 디자인으로 되어 있고, 76mm 단장포는 해상자위대 함정으로서는 처음으로 스텔스 타입의 실드를 채용하고 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동급함 LIST
1 Hayabusa PG-824 2002.3~
2 Wakataka PG-825 2002.3~
3 Ootaka PG-826 2003.3~
4 Kumataka PG-827 2003.3~
5 Umitaka PG-828 2004
6 Shirataka PG-829 2004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일본본토에 상륙하는 적을 물리치는 것이 목적인 일본자위대가 강습상륙용인 LCAC을 운용하는 것은 역시나 다른 목적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단초입니다.

해상자위대가 발주하여 미국 US Textron Marine Co사가 건조하여 1998년부터 2003년 사이에 6척을 도입한 수륙양용 상륙함 LCAC입니다.
함번이 LCAC-2101 LCAC-1 과 LCAC-2102 LCAC-2 함은 1998년 취역한 Osumi 함에 탑재하며, LCAC-2106 LCAC-3, LCAC-2104 LCAC-4 는 2002년 취역한 Shimokita함에, 그리고 LCAC-2105 LCAC-5, LCAC-2106 LCAC-6는 2003년 취역한 Kunisaki함에 배치되어 운용하고 있습니다.

9월 1일 오늘 일본 정부가 발표할 2008년 방위백서 초안을 둘러싸고 '독도 영유권'에 대한 표현 수위에 촉각이 곤두세워지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일본 문부과학성이 지난 7월 중학교 사회과 새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기하면서 독도 영유권을 둘러싼 양국의 골이 갈수록 깊어진 가운데 일본 방위성이 매년 발표하는 방위백서는 지난 2005년부터 "우리나라 고유의 영토인 북방영토와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명칭)의 영토문제가 여전히 미해결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고 명기해 왔기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본 정부가 올해 방위백서에도 기존의 문구를 그대로 둘지 한발 더 나아가 영유권 주장을 강화할지 최종안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것입니다.

LCAC같은 고속 강습상륙함은 독도같은 섬인근에 상륙전을 수행할 수 있는 지원을 할 수 있습니다.
일본 방위백서는 자국 국방문제를 총괄 보고하는 책자로 독도에 대하여 “한국이 독도를 불법점거하고 있다”는 표현을 사용한다는 소식은 영토방위 차원에서 무력이라도 사용하겠다는 의미이며, 정치군사적 협박이고 무력사용 의지를 드러낸 중대한 사건에 해당합니다.
치밀하고 조직적으로 일본이 독도 도발을 전개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의 방위백서가 이미 초안이 작성돼 주요 각료들이 회람하고 있다고 전해져 우리 정부의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9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미해군 미사일구축함 USS Ramage (DDG 61)호와 USS Roosevelt (DDG 80)호가 호위를 하는

가운데 유류보급함 USNS Big Horn (T-AO 198)호가 다목적 강습상륙함 USS Iwo Jima (LHD 7)호에게 연료를 보급하며 대서양을 항진중입니다.
Iwo Jima함을 중심으로한 Iwo Jima Expeditionary Strike Group은 미해군 5함대와 6함대 관할지역에 배치되어 해상보보안작전을 지원할 것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Iwo Jima ESG은 다목적 강습상륙함 USS Iwo Jima (LHD 7)를 중심으로 최신도크형 상륙함 
USS San Antonio (LPD 17)호가 최초로 원정군에 합류하여 임무수헹을 시작하였으며 USS Carter Hall (LSD 50) 상륙함과 미사일 순양함 USS Vella Gulf (CG 72), 미사일 구축함 USS Roosevelt (DDG 80), USS Ramage (DDG 61),그리고 공격잠수함 USS Hartford (SSN 768)등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막연하게 5함대와 6함대 관할해역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미해군은 발표하고 있는데, 우리는 가능한 배치 지역이 어디인지 다음과 같이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

Gulf of Guinea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닌 지역으로 5개월간의 임무를 마치고 귀국하는 Nassau ESG에 이어 금년들어 가장 중요한 해역중 하나인 곳입니다. 이곳에서는 MEND가 Shell사의 $36억달러 짜리 “
Bonga” Floating Production, Storage, 및 Offloading vessel (FPSO)에 대한 공격이 있었던 곳입니다.

Black Sea
1936년 Montreux Convention이후 몇가지 룰이 적용되는 곳으로 45,000톤급 이상의 타국 함정은 배치할 수 없으며 3주이상 흑해내에서 작전을 할 수 없는 지역으로 USS McFaul (DDG 74)를 대신할 함정으로 USS Ramage (61)호를, 탄도미사일 수색및 지휘함 USS Mount Whitney (JCC 20)호를 대신하여 USS San Antonio (LPD 17)가 인도적 지원활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Somalia
해적 출몰이 잦은 지역으로 Maritime Security Patrol Area (MSPA)이 설립된 해역입니다. NATO 소속의 Task Force 150이 초계임무를 수행중이며 소말리아에서 아라비아해까지는 전략적으로도 중요한 지역입니다.
현재 캐나다해군 함정이 중핵을 수행중이며 홍헤에는 USS Peleliu (LHA 5)가 있어 미해군입장으로 Iwo Jima ESG의 우선적 배치지역은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만 해적들의 활동을 강하게 억제하기 위한 배치 가능성도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Iran

이란 공격설이 잠잠해진 현재 이스라엘의 위험스런 행동등이 예견되는 시기에 배치가 될 것은 아닐까 추측할 수 있는 지역입니다.
특히 신냉전시대의 도래가 점쳐지는 현재의 미국과 러시아의 관계에서 이란은 중요한 변수이기도 하며 이들의 돌발적인 Strait of Hormuz의 봉쇄 조짐등잉 예상되면 지체없는 배치가 예상되는 중요지역입니다.
특히 소함정과 기뢰, 점수함 탄도미사일등 모든 무기류가 전개될 수 있는 전략요충지인 해협내 3개의 섬 Abu Musa, Greater Tunb, 그리고 Lesser Tunb등에 대한 감시한 견제를 위해 함대의 배치가 필요한 해역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프랑스해군 Cassard 급 (Type F70 AA) 대공프리깃은 Toulon에 있는 지중해사령부 기지의 Force d'Action Navale본부 소속으로 Cassard D614호와 Jean Bart D615호 두척이 DCN사의 Lorient 해군조선소에서 건조되어 1988년과 1991년 취역하였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Georges Leygues 급을 바탕으로 방공용 무장을 장착한 방공형으로 개발되었으며 독특한 선체에 선임급과 다른 추진장비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주임무는 함대, 항모전단 혹은 호위임무시 대공방어 임무를 제공하는 것이며 수색과 해상검문및 해외주둔배치등에 운용합니다. Cassard급을 설계하고 건조, 운용하면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신형 스텔스 프리깃 La Fayette형이 탄생하기도 하였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Cassard급은 DCN사가 개발한 Senit 전투데이터시스템과 OPSMER 지휘지원시스템을 장비합니다.
Senit는 함정의 각종 센서로 부터 얻은 정보를 모으고 분류하고 분석하여 표시해주며 Link 11 과 14 를 포함한 전술적 데이터연결을 통해 다른 장비들과 함께 데이터를 교환을 수행합니다. Syracuse는 위성통신시스템입니다.
DCN CTMS으로 사격통제를 하며 SAGEM DIBV 1A Vampir적외선 감지기는 표적을 추적하기 위해 함의 수색레이더와 통합되어 있습니다. Najir 광학식 사격지시기는 EADS Matra Systèmes & Information사제로 주포 사격통제용으로 장비합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Cassard 급 제원
승무원 245 명
길이 139 metres
함폭 14 metres
만재배수량 4,750 tons
추진기관: SEMT-pielstick 18 PA6 v 280 BTC 디젤엔진 4기
출력 31.75 MW (10,800마력 x 4기)
2축추진 가변피치 프로펠러
최대속도 30 knots
경제속도 18 knots
항속거리 8,000 miles/경제속도 운항시

전투시스템: Senit command support system OPSMER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무장
대함미사일 Exocet MM40
대공미사일 Mark 13 Mod 5 단장발사기 1기, Standard SM-1MR 40기 탑재
근거리방공미사일 Sadral 6연장 발사기 2기, Mistral 미사일 39발 탑재 운용
Creusot Loire Compact 100mm/55 Mod 68 DP 함포 1문
Oerlikon 20 mm기관포 2문
12.7 mm 기관총 4정
Type Kd 59E 고정식 어뢰발사관 2기, 대잠어뢰 Ecan L5 Mod 4 어뢰 10발 탑재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전자전장비
전자지원기 DR-3000S
적외선 지시기 DIBv 1a vampir
레이더재머 ARBB-33
Dagaie 및 Sagaie 디코이 발사기 각 2기
LAD 디코이 시스탬
견인식 어뢰기만기 Nixie

운용헬기
비행갑판과 격납고 보유, 헬기 착용시스템 Samahe 장비
Lynx Mark 4 혹은 AS 565MA Panther 헬기 1대

레이더
3차원대공수색레이더 DRBJ 11B
대공및 수상 수색레이더 DRBv 26C - D band.
사격통제레이더 DRBc 33A
사격통제레이더 SPG-51C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소너 : hull mounted sonar SDUBa 25a 혹은 DUBv 24C

통신장비; Syracuse 위성통신시스템
전술테이터링크 : Link 11 , Link 14

DRBV26C sentry radar
1 DRBJ11B tri-dimensional air sentry radar
1 DIBV2A infra-red alert system
2 DRBN34 navigation and landing radar
1 DUBV 24C hull sonar
Syracuse II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1 ARBR 17 radar detector
1 SAIGON radio emission detector
1 ARBB 33 jammer
2 SAGAIE NG decoy launchers
2 DAGAIE decoy launchers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그루지야는 2001녀부터 2005년사이 군사력증강을 도모하여 친서방국가들로부터 다양한 무기들을 공여받았습니다.
우크라이나는 205P급, 360급과 함께 제공한 Matka (Vekhr)급 (Project 206MP) 하이드로포일 미사일정으로 Tbilisi라는 이름을 부여하여 운영해왔습니다.
아래 사진은 러시아와 전쟁이 발생한 후 지난 8월 13일 Poti항에 정박중 러시아함정의 공격을 받아 화재가 발생한 모습입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Georgian 초계정 P-21 Georgy Toreli 호는 러시아해군의 MRK Mirazh (617, project 12341, NATO명 Nanuchka III)호에서 발사한 "Malakhit" (SS-N-9) 대함미사일에 피격되어 침몰하였고 또다른 Georgian 해군함은 러시아해군 미사일 순양함 Moskva (121, project 1164, NATO 명 Slava급) 의 함포사격에 의해 손상을 입고 해상에서 철수하였다고 합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우크라이나는 4척의 초계정과 미사일정을 그루지야에 제공하였으며 이 함정들외 그루지야는 4척의 중요한 초계정을 보유하고 있는데, 터키가 제공한 “Turk” 급 1척, 그리스가 제공한 Dilos급 2척 및 프랑스가 건조하였고 그리스가 운영하다 공여한 Combatant-2급 1척등이 주전력입니다. 기타 소형의 106K 고속정을 불가리아에서 도입하며 구 러시아가 건조한 1176급 LCU 1척이 있습니다.

그루지야 보유 함명
PFM Anninos/Dioscuria Combattante II- 그리스해군 제공
PHM Konotop/Tblisi Matka 우크라이나 제공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그루지야는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 코카서스 지역에 있다. 유럽과 중앙아시아, 중동의 길목으로 오랫동안 문화적, 지정학적 충돌지역이었다. 그리스·로마, 페르시아와 투르크, 아랍이 차례로 지배했고 19세기 말 러시아에 복속됐다. 50여 민족이 뒤엉켜 살아 세계에서 인종 분포가 가장 혼란스럽다.
▶그루지야 출신인 스탈린은 1920년 독립을 요구하는 이 지역에 붉은 군대를 보냈다. 각 민족 간 연대를 끊고 분열시켰다. 그루지야 이웃 체첸족을 잉구슈족이 사는 북부로 보내 '체첸·잉구슈 자치공화국'을 만들었다. 같은 말을 쓰는 이웃 체르케스족과 카바르딘족은 갈라서 다른 민족과 살게 했다. 북쪽 오세트족은 단일민족 국가를 허용하면서도 남쪽 오세티야지역은 그루지야에 편입시켰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1990년대 초 그루지야는 소련으로부터 독립했지만 다시 소수민족들의 독립 요구에 부닥쳤다. 독립을 선언한 남오세트족이 그루지야를 공격해 내전을 벌였다. 그루지야는 남오세트 민족을 죽이는 '인종청소'를 했고 오세트인들은 북오세티야에서 그루지야인들을 학살했다. 2003년엔 선거 부정에 시민들이 장미꽃을 들고 궐기해 정권을 바꾼 '장미혁명'을 이뤘다. 그러나 영토 30%가 분쟁에 휩싸여 소련 독립국 중 가장 가난한 나라로 꼽힌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그루지야가 베이징올림픽 개막식 날 남오세티야 지역을 공격하자 러시아가 전투기와 탱크, 지상군을 투입해 그루지야를 공격했다. 어제까지 남오세티야 사람 2000여 명과 그루지야인 수백 명이 숨졌다. 러시아는 그루지야를 견제하며 남오세티야를 지원해왔다. 흑해로 통하는 요충지인 데다 터키까지 이어지는 가스관이 지나가는 곳이기 때문이다.

▶그루지야 군대는 2만1150명, 러시아군은 102만 명이다. 친미정책을 펴온 사카슈빌리 그루지야 대통령이 미국의 지원을 기대해 무모한 전쟁을 시도했다는 관측이 있다. 그러나 '3차대전'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그루지야가 그동안 러시아의 영향력 때문에 국제사회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이곳 분쟁상황을 알리기 위해 전쟁을 벌였다는 분석도 나온다. 그것도 평화의 상징인 올림픽 개막식에 날짜를 맞췄다. 어떤 명분이든 전쟁은 일어나지 말아야 할 참극이다. '광고 효과'를 노린 전쟁이라니 기가 막힌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그루지야는 미국과 EU 등 서방세계와 러시아가 대치하는 ‘경계 국가’다. 그루지야 내 자치 공화국이었던 남오세티야와 압하지야 공화국은 1991년 그루지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이후 정부군과 내전에 들어갔고 94년 러시아 평화유지군 주둔을 조건으로 정전협정이 체결됐다. 친러시아 성향의 두 자치공화국은 독립 국가라고 주장해 왔으나 아직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두 지역 주민 80% 이상이 러시아 시민권자로 러시아 여권과 루블화를 사용하고 있고 투표권도 행사하고 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그러다 2004년 시민혁명으로 정권이 교체된 후 그루지야가 친서방 노선을 걸으면서 러시아와 갈등의 골이 깊어졌다. 특히 미국이 동유럽에 미사일 방어(MD) 시스템을 구축하려 하는 등 동진 정책을 강화하고, 올해는 코소보가 세르비아로부터 일방적으로 독립해 친서방 외교를 펼치자 러시아의 위기감은 더욱 커졌다. 이런 가운데 미국이 그루지야의 나토 가입을 추진하자 러시아는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인정할 것”이라며 강력 반발해 왔다. 그러다 그루지야가 남오세티야에 대한 군사 행동을 확대하자 러시아가 직접 개입하게 됐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감동의 피아노 연주곡모음



     아드리느를 위한 발라드

     소녀의 기도

     하얀 연인들

     천사의 세레나데

     첫 발자욱

     파리의 아가씨

     눈물의 토카타

     짚시 바이올린

     슈베르트의 아베마리아


     노란색

     라팔로마

     어메이징 그레이스




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